1 / 42

민선 5 기 지방자치시대와 여성의 정치참여

민선 5 기 지방자치시대와 여성의 정치참여. 김 정 숙 ( 교육학박사 )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 제 14,15,16 대 국회의원. 차 례. 21 세기와 변화의 물결 우리나라 여성의 정 치 참여 현황 여성의 정 치 참여 확대 방안. 21 세기와 변화의 물결. 21 세기와 변화의 물결 (1). 21 세기 - 유비쿼터스 시대. 21 세기와 변화의 물결 (2). 21 세기와 변화의 물결 (3). 여성성의 심화

wei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민선 5 기 지방자치시대와 여성의 정치참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민선5기 지방자치시대와여성의 정치참여 김 정 숙 (교육학박사)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회장 / 제 14,15,16대 국회의원

  2. 차 례 •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참여 현황 •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3.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4.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1) 21세기 - 유비쿼터스 시대

  5.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2)

  6.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3) • 여성성의 심화 - 21세기는 여성의 시대(카렌 멀로니, 마인드연구소 소장) - “미래사회에 맞는 인간의 특성은 3F” (Feminine, Feeling, Fiction) - 섬세함, 감성, 영성, Networking, 보살핌, 봉사, 사랑 • 여성리더십 시대 - 정보통신기술발달로 인해 여성들 스스로 여성교육강화, 다양한 국제인권 및 여성권리증진 운동 - 여성운동, 빈곤퇴치, 환경운동, 평화운동 등 사회운동의 여성화 - 여성의 정치, 사회, 경제, 교육 리더십 증가 추세 - 여성 국가원수 및 여성 대통령 증가, 국회의원 ∙지방의회 등 여성의원 수 증가

  7.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4) • 미래 사회에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음과 동시에 사회 변화에 전반적 영향을 미칠 분야–“교육” •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교육개혁 - 첨단기술 발달로 죽을 때까지 신기술 재교육, 전국민 평생의무교육시대 - 언제 어디서나 교육 가능(가상세계와 온라인의 발달), 개별화 교육, 능력인증제로 경쟁력 증명, 사이버대학 천국, 세계통합대학, 대학 간 자매결연 및 지부설립 활성화, 국제화 등 - 창의력, 봉사정신, 리더십이 입학/채용기준, 인성개발교육 강화

  8.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5) • 출산율 저하 2009년 10월 18일 유엔인구기금(UNFPA)가 발표한 <2009 세계 인구 현황>에 따르면, - 우리나라 여성 1인당 평균 출산율 1.22명으로 186개국 중 최저수준 - 미국 2.08명, 프랑스 1.88명, 독일 1.32명 일본 1.26명 - 전 세계 평균 합계출산율: 2.54명 - 선진국 평균: 1.64명

  9.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5-1) 여성 결혼 희망연령 30세 넘어 “자녀 반드시 필요해” 24% 뿐 보건사회연구원, 1만여 가구 설문 불임여성 4년 새 3배 증가, 중산층도 출산 포기가 늘어가고 있음 미혼남녀의 결혼관도 2006년비해 남성이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경제위기에 따른 고용불안이 남성의 결혼 의지마저 꺾고 있는 것으로 보임

  10. 21세기와 변화의 물결 (6) - 우리나라 25-49세의 ‘핵심 생산연령인구’가 2008년부터 줄들기 시작하여,현재 4830만 명에서 2010년 4410만 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 - 이 기간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54만 명 증가해 인구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름. - 65세 고령인구(한국) : 2018년-14.3%, 2026년-20.8%, 2050년- 38.2% - 2050년: 세계인구 93억, 인도 16억, 중국 14억, 미국 4억2천, 인도네시아 3억 3천, 한국 3천 4백만. 우리나라 55세 이상 인구가 전체 ½이상 (인도 40명, 중국 35명, 미국 4명, 한국 1명이 경쟁하는 시대) 고령사회 출현: 2037년 평균수명 100세 시대 예고

  11. 21세기 변화의 물결(7) 기후 변화(1) √ 지난 100년간 지구의 평균 기온 0.6℃ 상승. 2100년에는 1990년보다 1.5~5.8℃ 상승할 것. √ 해수면 10~25cm 상승. 2100년에는 최대 88cm 상승할 것. √ 지난 100년 동안 서울의 온난화 속도는 세계 평균의 3배 이상 1908년~2007년 서울의 연평균 기온은 2.4℃ 상승. 연 강수량 27% 증가 한국의 온실가스 배출 현황 √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10위 (5.9억 CO2eq톤) √ 세계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가 중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 1위 (2000-2005 사이 12.1% 증가) 자료출처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2. 813 21세기 변화의 물결(7-1) 온실가스 배출전망 (BAU : Business As Usual) 배출전망 900 단위 : 백만톤 800 700 594 600 500 400 298 300 200 100 0 2020 1990 2005 출처:국가온실가스 중기 감축목표의 설정방안(녹색성장위원회)

  13. 21세기 변화의 물결(7-2) “기후변화가 빈곤을 악화시키고 소외 및 취약계층의 부담을 가중시켜” -유엔인구기금(UNFPA)따르면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사는 2억 2000만 명의 빈곤층은 보건서비스나 다른 안전망을 활용하기 어려워 기후변화에 특히 취약 - 즉,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자는 주로 여성, 노인, 어린이가 될 수 밖에 없음 - 7%의 부유층이 전세계 이산화탄소의 50%를 배출하고 있는 반면에 빈곤층 50%는 7%만 배출하고 있는 실정임 -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인 노력이 촉구 됨

  14. 21세기 변화의 물결(7-3) • 기후 변화에 대한 국내적 대응 현황 • 2008년 7월 G8 정상회담 중 이명박 대통령의 발표 “기후 변화와 에너지 분야에 있어서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얼리 무버 (early mover)가 되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 • 신국가발전 패러다임 ‘저탄소 녹색성장(Low Carbon, Green Growth)’ 발표 (2008년 8월 15일) •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 활성화 방안 마련 • 지방자치 차원의 그린 저탄소 성장 노력

  15. 녹색성장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여성친화적인 생활, 문화, 교육, • 소비, 나눔 분야에서 여성이 주도하는 "범국민 실천 운동" • 녹색생활문화 확산을 위해 우리 가정과 사회에서 • 주도적으로 활동하는 실천단으로써 • [WE Green 매니저]와 [WE Green 서포터즈]로 구성 G-Korea WE Green 녹색 생활 녹색 교육 녹색 문화 녹색 나눔 녹색 소비 21세기 변화의 물결(7-4) 출처: G-Korea 여성협의회

  16. 21세기 변화의 물결(7-5) •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적 대응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패널 (IPCC / 1988년) • 유엔환경개발회의 기후변화협약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 1992년) • 교토의정서 (1997년) : 선진국 온실가스 감축 목표, 2005년 공식발효 • 13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발리, 2007년) • 14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폴란드 포즈난, 2008년) • G8정상회의(일본 도야코, 2008년) • 15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덴마크 코펜하겐, 2009년 12월) 선진국 평균(1.64명)

  17. 코펜하겐 기후회의

  18. 21세기와 새로운 리더십 ‘여성’이 미래사회의 새로운 대안 • 경제, 정치, 사회, 환경, 복지, 교육문제 등에 있어서 여성의 섬세함, 치밀함, 감수성, 유연성, 관계지향성, 구체성 등이 대안적 리더십으로 바람직함. • 미래 국가경쟁력은 여성인력을 얼마나 잘 활용하고, 여성인재들이 사회에 진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갖추어져 있느냐에 따라 좌우됨. • 유엔밀레니엄선언 및 유엔미래포럼의 Millenium Project 15대 과제 (빈부격차, 환경오염, 물∙에너지 부족, 기후변화, 질병예방, HIV/AIDS 등) 중 하나로 ‘여성∙아동의 역량 강화’를 주요 아젠다로 채택하고 해결방안 강구 중에 있음.

  19. 우리나라 여성의 정치참여 현황

  20. 21세기와 여성지위 현황 “유엔개발계획(UNDP)의 인간개발 보고서” • 인간개발지수(Human Development Index, HDI) : 각국의 교육수준, 국민소득, 평균수명 등을 근거로 산출 • 남녀평등지수(Gender-related Development Index, GDI) : 문자해독율, 남녀취학율, 평균수명 등에 의거 산출 • 여성권한척도(Gender Empowerment Measure, GEM) : 여성의원비율, 고위행정관리직 비율, 전문관리직 비율 등에 의거 산출

  21. 국가별 여성권한지수 자료: HUMAN DEVELOPMENT REPORT 2009, http://hdr.undp.org/en/media/hdr_2009

  22. 세계성격차지수(Global Gender Gap )

  23. 국가별 성 격차 지수(Gender Gap Index) • 세계경제포럼(WEF) “2009 글로벌 성 격차 보고서” • - 2009년 조사 대상 134개국 중 한국 115위(2008년 130개국 중 108위 차지) 참고: 성 격차 지수가 클수록 더 평등한 상태로, 순위가 높을수록 평등한 상태임. 자료: 세계경제포럼(WEF), ‘2009 글로벌 성 격차 보고서” (2009. 10. 27) (http://www.weforum.org/)

  24. 초•중•고교학생 성평등 인식 초등학생 성평등인식, 기성세대와 별반 차이가 없음 - 남학생, 전통적 사고방식이 강해

  25. 여성의 정치 참여 - 지역별 분석 자료:IPU(http://www.ipu.org),Women in Parliaments(2009. 10)

  26. 세계의 여성정치 참여 (단위 : 명, %)

  27. 세계의 여성정치 참여 (단위 : 명, %) 자료: IPU(http://www.ipu.org/wmn-e/classif.htm) Women in National Parliaments: World Classification (2009. 10)

  28. 한국의 여성정치 참여국회와 지방의회 (단위 : 명, %) * 2010 제5기 지방 선거 결과자료: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electoral statistics, 1995-2008

  29. 우리나라 여성정치 참여율 (단위: 명, %)

  30. 역대 여성국회의원 비율(1) (단위: 명, %)

  31. 역대 여성국회의원 비율(2) (단위: 명, %)

  32. 2008년 18대 국회의원선거 여성참여 출처: 중앙선거관리위원회(http://www.nec.go.kr:7070/abextern/index.html) 참고

  33. 광역의원 선거 후보자 및 당선자 현황 (단위: 명, %) 주 : ( )는 비례대표 광역의원 수 및 비율 자료 : 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DB (2007).

  34. 기초의원 선거 후보자 및 당선자 현황 (단위: 명, %) 주 : ( )는 비례대표 기초의원 수 및 비율 자료 : 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DB (2007).

  35. 광역단체장 선거 후보자 및 당선자 현황 (단위: 명, %) 자료 : 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DB (2007). 한국여성개발원, 「정치 분야의 여성 대표성」(2007).

  36. 기초단체장 선거 후보자 및 당선자 현황 (단위: 명, %) 자료 : 선거관리위원회, 역대선거정보시스템 DB (2007). 한국여성개발원, 「정치 분야의 여성 대표성」(2007).

  37. 여성의 정치참여가 저조한 이유 • 사회, 문화적 이유 : 유교 및 가부장적인 인식구조 • 정치적 이유 : 권위주의적인 정치행태 • 법/제도적 문제 • 사회, 가정의 성차별화 과정 촉진 • 학교 및 교육에서 성차별적 관행

  38.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39.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여성인력 양성의 전략적 방안 • 평생교육 서비스 확대를 위한 법·제도 보완(학점은행제, 독학제 확대 실시, 시민교육법 제정, 산학 연계) • 현장성 강한 직업교육 및 훈련 강화 • 직업능력개발프로그램, 창업지원프로그램 등 제공

  40.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 방안 적극적 조치: 할당제 • 스웨덴: 사민당, 좌파당, 녹색당이 50% 여성공천 할당 • 영국: 노동당 40% 여성공천 할당 • 독일: 사민당 40%, 녹색당 50% 여성할당 • 남아프리카공화국: 모든 선출직 공무원후보에 여성 50% 할당 • 인도, 아르헨티나: 법으로 제도화(모든 선출직 공직후보에 여성 33% 할당) • 프랑스: 50% 여성할당 위해 1999년 헌법 개정, 2000년 선거법 개정 • 우리나라: 지역구 30%, 비례대표 50% 여성할당

  41. 여성의 사회 참여 도전과제 • 정치분야 성공의 열쇠는, 1. 민주시민 교육을 위한 제도 미련 2. 여성의 역량강화 (전문성+조직능력+대중성) 3. 여성정치 엘리트 발굴 및 양성 4. 공천제도 개선 (민주적, 공개적) 5. 여성의 경제활동 지원제도 구축 6. 여성비율 확대 제도 내실화 7. 할당제 등 적극적 조치 확대

  42.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