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0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개요

1 등급. 2 등급. 3 등급.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개요.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일정기준 이상의 구내통신설비를 갖춘 건물에 대해 인증등급 을 부여하여 구내통신 고도화 유도 건설업체간 건전한 주택품질 경쟁 촉진 초고속인터넷 등 정보통신 이용에 대한 인식 확산. < 인증마크 (Emblem) >. 특등급 < 신설 >. Note) 관련 기술기준 개정으로 인하여 준 3 등급 폐지. 신청인. 체신청. 예비인증 신청. 서류심사. 예비등급 부여. 인증마크 사용가능. 인증신청서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개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등급 2등급 3등급 초고속 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개요 •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 일정기준 이상의 구내통신설비를 갖춘 건물에 대해인증등급을 부여하여 구내통신 고도화 유도 • 건설업체간 건전한 주택품질 경쟁 촉진 • 초고속인터넷 등 정보통신 이용에 대한 인식 확산 < 인증마크 (Emblem) > 특등급<신설> Note) 관련 기술기준 개정으로 인하여 준3등급 폐지

  2. 신청인 체신청 예비인증 신청 서류심사 예비등급 부여 인증마크 사용가능 인증신청서 설계도서 신청인 체신청 정식인증 신청 서류 및 현장심사 인증필증 부여 인증명판 부착가능 인증신청서 설계도서 인증업무 처리순서 • 예비인증 • 정식인증

  3. 인증제도 주요 개정방향 • 공동주택 특등급 신설 • FTTH 기반의 차세대 구내통신선로설비 구축 (FTTH : Fiber To The Home 댁내 광가입자망) • 향후 신규서비스 및 통신/방송 융합서비스 등 출현에 대비 • 기존 심사기준 보완 • 기술발전 및 표준화 진전에 따라 배선자재 등급 상향조정 • 구내 다수사업자간 공정경쟁 환경 조성 및 입주자 권익 보호를 위해 배선시설/통신장비 설치, 접속, 운용 공간 확보 • 집중구내통신실, 층별통신실 등의 설치환경요건 현실화 •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 개선 및 측정대상 확대 • 준3등급 폐지 • 민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인증업무처리지침 보완 • 구체적인 심사방법, 심사기준 등은 별표로 작성 • 입주자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심사기준 보완

  4. 특등급 심사기준(안)

  5. 일반적인 공동주택 특등급 배선시스템 예시도 • 세대단자함은 300mm(가로)X300mm(세로)X80mm(깊이) 이상의 크기로 설치할 것을 권장함 • 배선시스템 구분예시 1) 구내간선계 : 주배선반등에서 건물배선반등까지 2) 건물간선계 : 건물배선반등에서 중간배선반등까지 3) 수평배선계 : 중간배선반등에서 댁내 인출구까지

  6. 특등급 심사기준(안) • 구내간선계 : 구내에 설치되는 주배선반 또는 주단자함에서 각 건물(동)의 건물배선반, 동배선반 또는 동단자함을 연결하는 배선체계와 건물배선반등을 상호 연결하는 배선체계를 말함 • 건물간선계 : 동일한 건물내의 건물배선반등에서 중간배선반, 중간단자함, 층배선반 또는 층단자함을 연결하는 배선체계와 건물내 중간배선반등을 상호연결하는 배선체계를 말함. • 수평배선계 : 중간배선반등으로부터 각 실의 인출구까지 연결하는 배선체계를 말함

  7. 특등급 심사기준(안) 300세대 이하의 소규모 공동주택에 대한 집중구내통신실 면적기준 설정

  8. 특등급 심사기준 신설배경 및 심기기준 주요내용 • 공동주택 특등급 심사기준 신설배경 • 디지털 홈 및 홈네트워크 수용기반 마련 • 음성, 데이터, 영상서비스 통합서비스 환경에 대비 • FTTH(Fiber To The Home) 기반의 차세대 구내통신기반시설 기준제시 • 특등급 심시기준 주요내용 • 각 세대까지 4코어(최소 SMF 2코아)이상의 광케이블을 설치토록 함으로써 FTTH 기반 마련 • 구내간선계에는 6코어(최소 SMF 2코아)이상의 광케이블을 설치토록 함으로써 구내 다사업업자 환경에 대비하고 입주자의 사업자 선택이 가능한 기반 마련 • 세대단자함의 설치요건을 구체적으로 규정 • 각 실별로 인출구 4개 설치(2구씩 2개소 분리) • 각 동별 배선 및 통신장비의 설치관리를 위하여 세대내(세대단자함에서 거실 인출구 1개소까지)에 예비배관을 설치하도록 설치요건 강화 • 광통신용 배선설비 및 장비의 원활한 설치관리를 위해 종전 1등급 대비 20% 이상 증대된 집중구내통실 면적을 확보토록 규정 • Life line으로서의 전화서비스 제공을 위해 Cat 3 4페어 이상을 각 세대까지 설치하도록 규정

  9. 특등급 아파트 배선구성도 예시도 기존 1등급 아파트 특등급 아파트 UTP CABLE CAT.3 이상(4P) UTP CABLE CAT.5e 이상(4P); 실당 인출구 4개 이상 광케이블 (6C 이상); 구내간선계-SMF 2c 이상 UTP CABLE CAT.3 이상(4P) 광케이블 (4C 이상); 건물간선계(세대인입)-SMF 2c 이상 UTP CABLE CAT.5 이상(8P); 실당 인출구 2개 이상 세대 단자함 세대 단자함 인출구 인출구 광케이블 (2C) 20F 20F 중간 단자함 19F 19F 수평배선계 수평배선계 구내 간선계 (중간단자함이 없는 경우) 건물간선계 VOICE (FLC 또는 전화선) VOICE (FLC 또는 전화선) 3F 3F 동단자함 동 단자함 분계점 분계점 2F 2F MDF MDF 관리동 관리동 1F 1F DATA (ME 또는 전용선) DATA (ME 또는 전용선) 구내 간선계 구내 간선계 1. 세대단자함까지 광케이블 입선 2. 각 동단자함에 switch/splitter 설치 3. 전화선로는 세대까지 별도설치 1. 동 단자함까지 광케이블 입선 2. 각 동단자함에 switch 설치 3. 전화선로는 동단자까지 별도설치

  10. 구내배선 성능 시험기준 및 방법 • 구내배선 성능 측정 방법 주요개선(안) • UTP케이블 Cat5 기준을 Cat5e로 변경 • 광선로 구간에 대해서도 성능측정 실시 • UTP케이블의 성능측정 기준을 북미표준(EIA/TIA 568B)채널측정 방법으로 변경 • 구내배선 성능은 동일한 배선매체가 설치된 구간에 대하여 각각 측정한다. •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 내에 위치한 단자반 (배선반)등은 패치코드 또는 점퍼선 등으로 IN/OUT 단자를 직결하여 선로를 구성한 후 측정한다. • 측정하려는 구내배선 구간의 양단에서 패치코드(길이가 3M이상이고 전기적 성능은 Cat5e 이상인 것)를 사용하여 링크성능측정기와 접속한 후 구내배선 성능을 측정한다.

  11.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Copper) TIA/EIA-568-B채널링크 방식 링크성능 측정기 링크성능 측정기 < 구내배선 성능 측정을 위한 배선연결 예시도 –동(Twisted pair cable)선로>

  12.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Fiber Optic) . 레퍼런스 설정 TIA/EIA-568-B측정방법 광 선로 링크 권장 안 < 구내배선 성능 측정을 위한 배선연결 예시도 –광(Fiber Optic Cable)선로>

  13.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 • 동선로 성능시험 항목 • 선번확인시험(와이어 맵) : 정확한 배선연결 여부 확인 • 배선구간 길이측정 : 패치코드 포함 96 미터 이내(동선로) • 전기적 특성 시험 • 특성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 : Cat3 • 반사손실(Return Loss) : Cat5e • 최대 삽입손실(Max. Insertion Loss) : Cat3, Cat5e • 누화손실(NEXT) : Cat5e • 전력합 누화손실(PSNEXT) : Cat5e • ELFEXT 및 PSELFEXT : Cat5e •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 Cat3, Cat5e • 광선로 성능시험 : 최대 채널손실 측정 • 단일 케이블링 시스템 : 12dB 이하 (MDF ~ 세대단자함) • 이종 케이블링 시스템 : 각 11dB 이하

  14.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 선번확인시험 (와이어 맵)-(a) • 와이어맵은 설치에 있어서의 와이어링 에러들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케이블의 8개 pair를 각 컨덕터에 연결하는 것을 말하며, 와이어맵은 다음과 같이 지정해 준다. * 각 끝의 알맞은 핀 종단 * 떨어져 있는 끝까지이 연속성 * 두개나 이상의 컨덕터 사이의 단선, 단락 * 크로스 페어 * 리버스 페어 * 스플릿 페어 * 기타 연결 불량 • Wire Map에 대한 시험은 케이블 쌍과 커넥팅 블록의 종단 상태와 설치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증하기 위한 시험이다. 4쌍 꼬임쌍 케이블과 커넥팅 블록의 종단시 사용되는 규격은 568B의 규정에 따라 종단처리 된다.

  15.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 선번확인시험 (와이어 맵 페어의 종류) – (b-1) • 정상적인 페어 : 일반적으로 Ethernet 규정에서 Network devices가 pair”1과 “2”이 수신, 그리고 pins “3과 “6에 연결된 wire pair가 송신 한다고 규정되어 있다. • 리버스 페어 : 리버스페어(Reversed pair)는 가장 간단한 잘못 연결된 배선상태이다. 이것은 꼬인 pair가 서로 뒤바뀌어 연결될 때 발생한다. • Reversed pairs는punch-down block에서 대부분 발생한다.

  16.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 선번확인시험 (와이어 맵 페어의 종류) – (b-2) • 크로스 페어 • 이것은 꼬여 있는 페어가 반대쪽에서 서로 다른 페어에 연결된 것이다. • 때때로 이 크로스 페어는 의도적으로 만들어 지기도 하는데 두개의 Ethernet Hub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한쪽의 pins1과 2가 반대편의 pins3과 6에 연결된 것이다.) • 스플릿 페어 • 송신과 수신단의 페어가 각각 꼬여져 있지 않을 경우를 스플릿 페어라 부른다. 이것은 data 송신에 있어서 error를 유발한다. • 스플릿 페어에서 케이블에서는 통신이 되다 말다 하는 현상과 완전히 통신 두절되는 현상까지 초래할 수 있다. 통신 장애의 주요 원인이 된다.

  17.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패치판넬 아울렛 통합접속점(CP) 채널링크 성능 측정 시작점 채널링크 성능 측정 종단점 96미터 2. 배선구간 길이 측정 (Length) • 배선구간의 길이 측정 • 구내배선 구간의 길이를 측정 했을 때 패치코드를 포함한 동선로 구간의 길이는 96미터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18.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3. 특성임피던스 (Characteristic Impedance) • 특성임피던스 • 1Mhz부터 16Mhz까지의 주파수 영역에서 구내배선 구간에 대한 특성임피던스의 허용오차는 공칭임피던스의 ±15Ω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 임피던스는 교류회로에 있어서 전기 저항의 총칭으로 케이블의 전류 흐름에 대한 저항을 ohms으로 측정한 것이며, 이것은 저항의 영향,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포함한다. 특성임피던스는 전기적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들의 값으로 저항(DC),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포함한다. • UTP는 보통 100Ω으로 매겨 지는데 이 값은 케이블의 전 대역폭에 일률적이어야 한다. • 특성임피던스(Characteristic Impedance)의 변화는 시그널의 반향을 초래한다. 링크성능측정기에서 임피던스의 잘못된 지점을 알려준다.

  19.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Transmit (1 Volt) Return Loss= 20dB Reflected (0.1 Volt) 주파수(Mhz) 최소반사손실(dB) Category 3 Category5E 1 - 17 16 - 17 100 - 10 4. 반사손실(Return Loss) • 반사손실 • 링크의 반사손실(RL)는 일반 값(UTP의 경우, 보통 100ohms)과 관련된 링크의 임피던스 전체의 동일성에 관한 측정이다. • 한쪽 끝에서 다른 쪽 끝으로 신호가 지나갈 때, 일종의 장애물에 의해서 모든 신호가 다 지나가지 못하고 일부는 튕겨 나와서 시작점으로 되돌아 가다가 손실되는데, 이렇게 튕겨 나와서 손실되는 신호의 세기를 나타내는 것이 Return Loss항목이다. • 배선구간의 최소 반사손실은 아래 표를 만족하여야 하며, 구내배선 구간의 원단을 배선의 공칭임피던스와 동등한 저항값으로 종단하고 시험한다,

  20.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90 metres Transmit (1 Volt) Receive (0.1 Volt) Attenuation = 20dB 주파수(Mhz) 최대감쇠(dB) Category 3 Category5E 1 4.2 2.2 16 14.9 9.2 100 - 24.0 5. 최대삽입손실 (Insertion loss=Attenuation) • 최대삽입손실 • 모든 신호는 소스로부터 멀리 전달됨에 따라 점점 약해지며, 케이블링을 따라 흐르는 LAN 신호도 예외는 아니다. 멀어짐에 따라 신호 레벨의강도가 약해지는 것을 최대삽입손실(감쇠 손실))이라 한다. • 선로의 길이와 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주요 주파수에서의 최대 삽입손실값

  21.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Transmit (1 Volt) NEXT = 40dB Receive (0.01 Volt) 주파수(Mhz) 최소 근단누화손실(dB) Category 3 Category5E 1 39.1 >60.0 16 19.3 43.6 100 - 30.1 6. 누화손실(NEXT = Near End Crosstalk) • 누화손실 • 근단누화 라고도 하며, NEXT는 2개의 pair간에 발생 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또는 혼선을 의미한다. • 평소에 전화 통화를 하면 잡음이 많이 들린다든지 다른사람의 통화 내용이 들린다든지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처럼 음성통신에 있어서 잡음이 끼거나 혼선과 같은 현상이 데이터 통신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현상을 누화손실(NEXT)라 한다 • 주요 주파수에서의 최소 근단누화 손실

  22.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주파수(Mhz) 최소 전력합 누화손실(dB) Category 3 Category5E 1 - >57.0 16 - 40.6 100 - 27.1 7. 전력합 누화손실(PS NEXT = Power sum NEXT) • 전력합 누화손실 • NEXT는 2개의 페어간(Pair to pair)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 또는 혼선을 의미한다. 하지만 2pair 이상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에서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영향(신호의 간섭)을 측정하여 가장 나쁜 값을 갖게 된다. • 전력합 누화손실(PS NEXT)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누화손실을 말한다. • 주요 주파수에서의 최소 전력합 근단누화 손실 Telecommunications Outlet Patch panel Cabling Workstation Hub

  23.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8. ELFEXT / PSELFEXT (a) • FEXT (Far End Crosstalk)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페어가, 반대방향의 입력측에 신호를 전송하는 다른 페어에 간섭을 일으켜 입력측의 신호를 감쇠 시키는 현상을 말하며 dB로 그 값을 표현한다. • ELFEXT (Equal Lavel Far End Crosstalk) 반대편의 입력 측에서 발생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감쇠와 간섭이 발생하게 될 때 그 값의 차이를 말하며 일종의 ACR이라 할수 있다. • PSELFEXT (Power Sum Equal Lavel Far End Crosstalk) ELFEXT는 2개의 페어간(Pair to pair)에 발생되어지는 불필요한 신호의 간섭과 혼선에 대하여 감쇄의 정도를 의미하지만 멀티 페어 에서는 일대 다수의 영향력에 대한 ELFEXT값이 네트워크의 신뢰성 정도를 가늠하게 된다. 즉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모든 페어들이 동시에 감쇠와 간섭을 끼치는 값이다 ELFEXT = FEXT - Attenuation

  24.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Patch panel Telecommunications Outlet Cabling Hub Workstation Signal 1 FEXT ELFEXT (FEXT – Attenuation) attenuation 주파수(Mhz) 최소 ELFEXT 최소 PSESFEXT Category 5E Category 5E 1 57.4 54.4 16 33.3 30.3 100 17.4 14.4 8. ELFEXT / PSELFEXT (b) • 그림을 이용한 ELFEXT / PSELFEX 이해 • 주요 주파수에서의 최소 ELFLEX / PS ELFEXT LAN Equipment Workstation FEXT Transmit (Output) Receive (Input) ELFEXT PSELFEXT

  25.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동선로) 9.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Delay Skew) • Propagation Delay UTP케이블의 꼬임 차이로 Pair간의 실제 길이는 서로 다르며 신호의 전달 속도도 차이가 발생된다. 이때 UTP 4pair 모두의 신호가 전달되는 전달시간을 말한다. • Delay Skw UTP cable의 가장 빠른 페어와 가장 느린 페어의 전파지연 사이의 차이이다. 각 페어의 Propagation Delay가 다를 때, 가장 빨리 도달한 페어를 기준으로 각 페어의 도달 시간차를 나타내는 것이 Delay Skew이다

  26.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10. 광 케이블의 (Optic cable) 특성 • Copper의 거리 제한 • Cross-talk, EMI, RF interference에 영향을 받지 않음 • Fiber가 copper보다 신뢰성이 좋음 • 금속성 부식이 없음 • Fiber가 보다 큰 주파수 영역에서 활용 • 보안성

  27.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Core Cladding Singlemode(싱글모드) 9/125 micron Multimode(멀티모드) 62.5/125 micron 11. 광 케이블 (Optic cable) 종류 • Singlemode (Yellow jacket) • Small core diameter로서 모든 빛은 난반사하지 않고 직진성으로 이동 • 고주파 대역과 원거리 활용(최대 48Kms)를 위하여 laser sources 사용 • 1300 과 1550 nm에서 테스트 • Multimode (Orange jacket) • Larger core diameter로서 다양한 경로와 모드로서 빛이 이동 • 비교적 낮은 주파수대역 및 근거리에서 활용 • 850 과 1300 nm에서 테스트

  28.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SignalReceiver SignalSource dB Loss 12. 광(Optic cable) 선로의 구내배선 성능 측정 • Optical power loss 또는 Attenuation • 링크를 통하여 움직이는 동안의 파워손실을 측정 • Fiber의 양방향 측정 • Fiber의 연결 관계 측정

  29.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13. 광(Optic cable) 선로의 구내배선 성능 측정 • 동일한 배선매체가 설치된 광선로 구간에서 최대 채널손실을 측정했을 때 다음기준을 만족하여야 한다. 1) 단일케이블링 시스템으로 구성된 경우(예, 단일모드 혹은 멀티모드 광케이블만으로 배선된 경우), MDF에서 세대단자함에 이르는 채널 손실은 12dB 이하 이어야 한다. 2) 이종의 케이블링 시스템으로 구성된 경우(예, 싱글모드 광케이블 시스템 + 멀티모드 광케이블 시스템으로 배선된경우), 각각의 부분 케이블링 시스템의 채널손실은 11dB 이하 이어야 한다. 3) 참조 : 광케이블링 시스템은 구현하고자 하는 광전송 장비의 채널 성능을 기준으로 아래방법으로 광케이블 손실, 커넥터접속손실, 융착접속손실을 계산했을 때 최대 채널 손실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설계할 것을 권장한다.(TIA/EIA 568B 권고안) ① 광케이블 시스템 ≤ 최대 채널손실 ② 채널손실 = 케이블 손실 + 광커넥터 접속손실 + 융착접속 손실 = 케이블 손실율(dB/km) x 케이블 길이(km) + 커넥터 접속점수 x 0.75db(커넥터 손실) + 융착접속 수 x 0.3dB(융착접속손실)

  30.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14. 광(Optic cable) 선로의 구내배선 성능 측정 < 표> 광케이블 전송손실율(dB/km) 주1) 광배선구간이 짧을 경우 광섬유의 크래딩에 가하는 광파워는 수신기에 과부하를 주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주2) 공동주택(특등급)의 경우, 전송데이터가 집중되는 구내간선계는 단일모드 광케이블 설치를 권장한다.

  31.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13. 광(Optic cable) 선로의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 A to B 양방향 측정 B to A 양방향 측정

  32.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광선로) 광 선로 측정 결과 14. 광(Optic cable) 선로의 구내배선 성능 측정방법

  33. 구내배선 성능 측정 항목 - REPORT 15. 구내배선 성능 측정 인증을 위한 측정 결과 리포트 • 정식인증 신청 시 신청대상의 건물의 모든 인출구에서 측정한 구내배선 성능시험 결과를 CD 또는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34. 사용전검사 개요 ◑ 사용전검사란? 정보통신 시설물의 시공품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구내통신 선로설비 등 대하여 이용자가사용하기 전에 동 설비가 기술기준에 적합하게 시공되었는지를 확인 하는 제도◑ 검사대상 공사범위 구내통신선로설비, 이동통신 구내선로설비, 종합유선방송 전송선로설비의 공사

  35. 사용전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방법 전기통신기자재 ㅇ 전기통신기본법의 형식    승인을 득한 제품- 단, 형식승인 대상제품이       아닐 경우 KS 및 기타       국내표준규격의 성능기       준 규격에 적합한 제품ㅇ 단말기 접속용 콘넥터는6핀, 8핀 모듈러 잭 ㅇ 제품의 육안검사(필요시 승인서,성적서등 요구) 회선수 주거용건물 ㅇ 단위세대당 국선용 1회선    이상ㅇ 20%이상의 예비회선(예비배관 확보시 예외)ㅇ 20%이상의 예비 단자대 ㅇ 단자함, 인출구등    육안검사 업무용건물 ㅇ 단위장소당 단위면적(10㎡)별로 기술기준 별표2에 의     한 산출회선수 이상ㅇ 20%이상의 예비회선(예비배관 확보시 예외)ㅇ 20%이상의 예비 단자대 구내통신실 면적(업무용건축물) ㅇ 6층 이상이고 연면적 5천㎡    이상인 경우- 층별 전용면적 1,000㎡이상 : 층별 10.2㎡이상- 층별 전용면적 800㎡이상 : 층별 8.4㎡이상- 층별 전용면적 500㎡이상 : 층별 6.6㎡이상ㅇ 6층 미만이고 연면적 5천㎡     미만인 경우- 5.4㎡이상 ㅇ 실측확인 및    육안검사 ◑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에 대한 검사기준 (1)

  36. 사용전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방법 국선인입 지하인입 지하인입관로의 표준도에 의한 설치여부 ㅇ 표준도와 부합되게 시공여부 가공인입 가공인입의 표준도에 의한 설치 여부 맨홀·핸드홀 및 전주설치 위치 ㅇ 최단의 인입거리로 설치ㅇ 분계점에 설치 가공선로의 높이 ㅇ 도로상 4.5m이상ㅇ 보도상 3.0m이상 인입배관 배관확보 주거용 및 기타건축물(공동주택 포함) 1공이상의 예비공을 포함하여2공이상 ㅇ 육안검사 및 필요시 실측 업무용 건축물 2공이상의 예비공을 포함하여 3공이상 배관의 요건 ㅇ 최소 54밀리미터 이상(공동주택의 경우)ㅇ 배관의 내경은 선로외경(다조인 경우에는 그 전체의 외경)의 2배이상 ㅇ 표준도와 부합되게 시공여부 ◑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에 대한 검사기준 (2)

  37. 사용전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방법 옥 내 배 관 배관의 요건 ㅇ 내부식성 금속관 또는 통신용합성 수지관ㅇ 곡률반경은 내경의 6배이상ㅇ 내경은 수용케이블단면적 총합계가 배관단면적의 32%이하 ㅇ 육안검사 및 필요시 실측 구내간선계, 건물간선계 배관 ㅇ 1공이상의 예비공을 포함하여 2공이상ㅇ 트레이·닥트설치시 여유공간 확보 수평배선계 배관구조 성형구조 또는 성형배선이 가능한 구조 강전류전선과의 이격거리 요건 옥내통신선 조건 ㅇ 300V이하 : 6㎝이상ㅇ 300V이하(벽내설치)     12㎝이상ㅇ 300V이상 : 15㎝이상ㅇ 300V이상(벽내설치)     30㎝이상ㅇ 다만, 격벽설치와 접지 및 전선관 수용시 제외 ㅇ 실측 및     육안검사(위험) 가공통신선 조건 닥트설비 바닥닥트구조 용도고료 성형·망형등 설치 ㅇ 육안검사 및 필요시 실측 선로받침대의 간격 60 ∼ 150㎝이내 닥트의 내부시설 유지·보수용 조명 또는 전기콘센트 설치여부(바닥설치시 제외) ◑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에 대한 검사기준 (3)

  38. 사용전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방법 통 신 분 배 함 국선수용 300회선미만 주단자함 또는 주배선반 ㅇ 육안검사로 설치여부 확인 300회선 이상 주배선반 구내교환기설치시 주배선반 단자함요건 국선단자함 ㅇ 회선수용 공간 및 구조확보ㅇ 30㎝이상 높이에 설치ㅇ 설치장소의 적정여부ㅇ 별표요건에 의한 설치ㅇ 신호변환장치 설치시 전원설비 ㅇ 육안검사로 설치여부 확인 중간단자함 ㅇ 배관굴곡점, 분기·접속위치ㅇ 별표요건에 의한 설치ㅇ 신호변환장치 설치시 전원설비 세대단자함 ㅇ 공동주택시 세대별 설치ㅇ 별표요건에 의한 설치ㅇ 신호변환장치 설치시 전원설비 접지시설 접지저항 ㅇ 100회선 이하 : 100옴 이하ㅇ 101회선 이상 : 10옴 이하 ㅇ 육안검사 및 실측 접 지 선 1.6㎜이상의 피복절연전선 사용 주배선반의 접지 주배선반의 철가와 절연시공 ◑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에 대한 검사기준 (4)

  39. 사용전 검사기준 검사항목 검사기준 검사방법 구 내 배 선 구내선의 배선 ㅇ 꼬임케이블, 광섬유케이블 또는 동축케이블 사용ㅇ 옥외포설시 옥외용케이블 사용 ㅇ 육안검사로 설치여부 확인 배선방식 주거용건축물 세대단자함 ∼ 인출구간 성형배선 업무용 및기타건축물 층단자함 ∼ 인출구간 성형배선 선로절연저항(기존 건축허가 건축물) 선로 상호간, 선로와 대지간 10㏁이상 ㅇ 측정장비 사용 링크성능 주거용건축물 1㎒이상(동단자함에서 인출구까지) ㅇ 측정장비 사용 업무용건축물 16㎒이상(동단자함에서 인출구까지) 기타건축물 1㎒이상(동단자함에서 인출구까지) ◑ 구내통신선로 설비공사에 대한 검사기준 (5) - 구내배선

  40. 사용전 검사기준 ◑ 구내통신선로 구내배선 링크성능 기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