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4

Resin bonded bridge

Resin bonded bridge. -History 1955 년 Buonocore- 레진의 유지를 증가시키기위해 식각시키는방법을 소개 1973 년에 Rochette 가 레진가공치의 하부구조물로 금속구조물을 이용하는방법을 소개 1977 년에 Howe 와 Denehye 등이 술식의 타당성을 입증. 분류. - 금속하부구조물의 형태와 피착면의 처리술식에 근거 Rochette bridge Maryland bridge Cast mesh fixed partial denture Virinia bridge.

cari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Resin bonded bridge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Resin bonded bridge -History • 1955년 Buonocore-레진의 유지를 증가시키기위해 식각시키는방법을 소개 • 1973년에 Rochette가 레진가공치의 하부구조물로 금속구조물을 이용하는방법을 소개 • 1977년에 Howe와 Denehye등이 술식의 타당성을 입증

  2. 분류 -금속하부구조물의 형태와 피착면의 처리술식에 근거 • Rochette bridge • Maryland bridge • Cast mesh fixed partial denture • Virinia bridge

  3. Rochette bridge • 날개모양의 유지장치를 처음 사용 • Funnel 모양으로 천공 시켜 레진의유지를 증가 시킴 • Rochette가 하악전치를 고정시킬 목적으로 처음 개발 • 1982년에 Livaditis와 Thompson은 천공된 금속 구조물을 뚫고 나온 레진돌기가 마모와 변연누출,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고 보고

  4. Maryland bridge • Maryland 대학의 Livaditis와 Thompson은 Dunn과 Reisbick이 사용 해온 전기화학적 pit부식 술식을 채택하고, 이를 “Maryland bridge”라고 명명 • 일반적으로 Ni-Cr-Be합금은 10%의 황산과 300mA/㎠의 전류를, Ni-Cr과 Co-Cr합금은 3.5%의 질산과 250mA/㎠의 전류를 사용해서 식각시켰으며 18%염산용액에서 초음파로 세척

  5. Cast mesh fixed partial denture • 작업모형상의 설면에 망상의 나일론망을 올려놓고 그 위에 납형조각을 함으로써 유지장치의 하부면이 주조시 망상으로 됨 • 장점-no etching, 귀금속 합금도 사용가능 • 단점-미세한 부위에 대한 적합성이 떨어짐 -wax가 망속으로 흘러들어갔을경우 유 지능력 저하

  6. Virginia bridge • 1984년에 Moon과 Hudgins등이 소개 • 내면을 거칠게 하기 위해 납형내면에 소금결정을 뿌려 유지장치를 만든다 • 다이위에 분리제를 도포한후 140~250㎛ 정도의 소금결정을 뿌리고 그위에 레진납형을 만든다 • 레진중합후 초음파세척기로 소금용해

  7. Advantage & Disadvantage -장점 • 최소의 치아삭제-치수의 손상 최소화 • 마취할 필요가 없다 • 치은연상변연-치은연상변연이필수적 인상채득단순화, 최소한의 치주자극 • 비용절감-초창기에 지대치 형성을 거의하지 않았을때에만 장점으로 볼수있음 • 재사용이 가능함-wing이 변형되지 않았을경 우 재부착이 가능

  8. -단점 • 불확실한 수명-시간경과,치아삭제를 위한 설계, 합착재의 선택과 장착부위 • 비가역적임 • 공간수정과 치아의 배열 수정이 불가능 • 임시수복물 제작이 어렵다

  9. Indication & Contraindication -적응증 • 우식증이 없는 지대치 • 상악 및 하악절치의 대치 • 치주고정 • 교정치료후의 고정 • 단일구치수복

  10. 금기증 • 광범위한 우식증 • 짧은 임상치관과 좁은 치간공극 • 니켈과민증-대부분 Ni-Cr합금으로 제작 -다른합금을 사용하거나 다른보철물을 사용 • 평균 이상의 측방력이 예상될때 • 과도한 수직피개 교합-상악전치설면에서 많은 법랑질이 제거되어 상아질과 결합

  11. Tooth Preparation • 처음 사용시는 지대치삭제없이 사용 • 저항을 증가시키기위해서 지대치 형성시 groove, box, occlusal stop등 많은 특징이 부여된 삭제 시행

  12. 일반적인 원칙 • 확실한 삽입로 확보후 인접면 undercut 제거 • 저항 형태 부여를 위한 rest seat • 명확하고 분명한 1.0mm정도의 치은연상 light chamfer 변연 형성 • 필요하면 교합공간을 위하여 대합치조정 • 충분한 법랑질면 확보 • 금속 유지장치가 180도 이상 치질을 피개 • 모든 지대치에 vertical stop를 부여

  13. 전치부의 치아삭제 -최소한 0.3mm의 두께는 가져야 함 • 중심교합위 접촉부위 제거 • 전방 및 측방운동시 접촉부위 제거 • 최대풍융부를 치아의 중앙부까지 내림 • 치은연상에 명확한 minichamfer변연부를 형성 • Wraparound retention을 위한 인접면 삭제 • Vertical stop형성 • 인접면에 짧은 groove형성

  14. 구치부 치아삭제 • 인접면과 설면을 삭제함으로써 명확한 삽입로 부여 • 협설면 만곡을 유지하며 치아의 최대풍융부를 치은상부 1.0mm까지내려 최대한 표면 피개 • 심미적으로 허용하는한 최대한 협측으로 연장 • 전형적으로 두개의 교합면 rest를 부여

  15. 인상채득 • Elastic impression재료라면 어느것이나 상관없음 • Agar인상재, condensation silicone, polyether, polysulfide, addition type의 silicone인상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원칙적으로 alginate는 부적합 • 치은연상변연을 가지기 때문에 인상채득은 쉬운편

  16. 금속구조물제작 • 변형이나 탈락되지 않도록 적절한 금속두께 • Wraparound arm의 두께를 0.6mm로 두껍게 하고 인접면으로 연장시켜 스트레스 감소 • 금속구조물제작방법 1)내화성 die를 이용하는 것으로 die위에서 납형을 형성하고 die와 납형이 분리되지 않은채 매몰, 주조 2)stone이나 epoxy die를 이용하는 것으로 납형이 레진 혹은 wax로 형성되고 die로부터 제거되어서 주조

  17. Resin cement • Rochette에 의해 소개된 최초의 레진접착 가공의치는 unfilled resin에 의해 식각된 법랑질에 부착되었다 • 최근에는 화학적으로 활동성인 레진 시멘트가 나왔으며, 이들 시멘트는 결합력이 금속표면내에 생긴 미세유지가 아닌 금속자체에 대한 부착(adhesion)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사실상 더 이상의 복잡한 etching과정은 필요없다

  18. 장착 • 최종적으로 치아에 접촉되는 금속 피착면을 다시 air abrasion • Micro-etcher를 이용하여 30~50㎛ aluminum oxide로 60~100psi 압력하에서 표면 처리 • 흐르는 물에 1분간 수세하고 초음파 세척 • 귀금속으로 만들어 졌다면 유지장치 내면을 약 0.5㎛두께의 주석으로 plating처리 • 지대치를 40~50%의 인산용액을 60초간 적용하여 etching한후 추가로 15초간 다시 etching

  19. 지대치를 씻고 건조후 지대치와 인접치를 mylar strip으로 격리 • ED primer A와 B용액을 혼합 용기속에서 약 4초간 혼합한 후 60초 동안 접착될 치아면에 적용 • Dispenser의 레진을 짠 다음 가급적 넓게 혼합해서 혐기성인 PANAVIA가 미리 경화되는것을 예방 • 20~30초간 혼합후 유지장치내에 도포

  20. 60초동안 손가락으로 수복물을 제위치에 고정시킨 후, 작은 솔을 이용하여 과잉의 레진제거 • 변연부에 Oxyguard II를 도포하여 산소차단 • 5분후에 면구와 water spray를 이용하여 oxyguard를 제거하고 잔여레진 제거

  21. 사후 관리 • 보철물의 완전한 상실 없이 탈락 또는 부분탈락이 발생 • 초음파 스케일러를 이용해서 부분탈락된 보철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성공적으로 재부착할 수 있다 • 자주탈락한다면 치아 형성의 재평가와 보철물의 재제작 또는 통상적인 고정성 국소의치로의 변환을 고려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