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3

21C 업계 초우량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Vision-21 생산혁신 추진 제안서

21C 업계 초우량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Vision-21 생산혁신 추진 제안서. 제안의 취지. “ 21 세기 초우량 기업 ” 은 이제 우리에게 있어서 취사선택의 대상이 아니라 반드시 달성해야 할 목표로 인식되고 있으며 , 이러한 목표는 새로운 기업문화의 창달과 이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에 의해서 가능해 질 수 있습니다 .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21C 업계 초우량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Vision-21 생산혁신 추진 제안서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1C 업계 초우량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Vision-21 생산혁신 추진 제안서

  2. 제안의 취지 • “21세기 초우량 기업”은 이제 우리에게 있어서 취사선택의 대상이 아니라 반드시 달성해야 할 목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러한 목표는 새로운 기업문화의 창달과 이를 위한 지속적인 혁신에 의해서 가능해 질 수 있습니다. • 이제 우리는 세계적 경쟁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도전의 출발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중요한 것은 부분적 최적화의 단계에서 벗어나 업무 프로세스와 경영 시스템 전반의 혁신을 통해 기업내부역량을 강화하고 “Best Practice”의 구현을 통한 “전체적 최적화”를 이룩함으로써 “21C 환경 친화적 반도체 장비 선도하는 기업” 으로서 새로운 경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는 (1) 계량관리를 기반으로 한 전략적 경영품질 관리체제의 구축 (2) 경영전략목표를 Total Optimization의 관점에서 수립,실행,평가 및 개선하는 능력 배양 (3) World Best Practice에 대응하는 시스템과 프로세스구축을 통한 신 기업문화의 창출 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본 제안서는 귀사의 신 기업문화창달과 World Best Practice의 구현을 위하여 “전사적 경영혁신” 을 통한 경영성과와 기업문화의 혁신을 이룩하자는 데 제안의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3. 목차 목 차 • 경영혁신 추진배경 • 경영혁신 추진기본철학 • 경영혁신 추진개요 • ASP-21 경영혁신 이미지 • 경영혁신 추진전략 • 경영혁신 추진 목표 • 세부내용 • 목표달성방법 • 추진일정 • 추진조직 • 추진 소용비용 • 전문위원 프로필

  4. 추진 배경 – 1 환경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조직은 살아 남을 수 없다. 날로 치열해지는 시장 경쟁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21C 세계시장에서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기업의 새로운 전략의 수립과 실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 Market Global화 가격파괴 기술발전 고도화 경영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 ? 고객요구 다양화 경쟁심화 지속적 경쟁우위확보를 위한 핵심역량의 강화를 위해서는 ? 도전적 미래조직을 위한 평가와 체질강화방안은 ? Quick Response 대응을 위한 유연한 프로세스구축 방안은?

  5. 추진 배경 – 2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경쟁력 있는 체질구축을 위해서는, 최고의 품질을 고객에게 제공하는 총체적 경영혁신 시스템의구축이 요구됨. 총체적 신 기업문화 구축 국 내 내 부 환 경 ◈ 낮은 수익성/활동성으로 기업활력 낮음 ◈ 원가절감 및 수율 향상 절실 ◈ 고 품질 및 종합 생산능력 확보로 매출 신장 필요 ◈ 단납기 서비스 측면에서 총체적 고객만족 대응체제 구축 필요 ◈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Skill 부족 ◆ 조직의 자율성 부족, 피동적 업무 형태 ▣ 강력한 Top Down 위주의 총합 혁신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 전사경영혁신 활동 추진 ▣ 품질특성의 명확화를 통한 과제해결 →품질차별화, 공정능력, 개발능력, 업무수행 경쟁력 확보 ▣ 신속, 정확한 의사결정 지원을 통한 품질/원가/납기/서비스 평가 관리 시스템 구축 ▣ 능력 있는 인재육성을 위한 체계적인 Training Program 개발, 운영

  6. 추진 배경 – 3 개발~생산~판매에 이르는 각 Biz 부문별 연계미흡 및 Total System적 관리가 미흡 하여 종합적 경영체질 혁신활동이 필요함. * 개발목표의 도전의지 약함 * 고객요구조건 파악 미흡 * 문제의 원류단계 해결미흡 * 개발능력향상 Skill 부재 * 부서간 유기적 협조체계 미흡 * 체계적인 생산기술 적용 미흡 * 개발 Event 조기 참여 미흡 * 문제의 원류단계 해결미흡 으로 생산준비 기간이 길어짐 * 개발능력향상 Skill 부재 개 발 생산기술 영 업 생 산 * Order변동에 따른 대응력 미흡 * 고객정보Needs가 반영되지 못함 * 중장기적 영업기획 /전략 부재 품질관리 자재/구매 * Loss에 의한 실가동율 및 생산성 저하 * 만성적인 문제가 해결 되지 않아 Trouble빈번 * 현장 개선MIND 혁신 필요 * 5S/3정 의 내실화 필요 * 전략적 발주/구매 시스템 결여 * 협력업체 품질 및 생산성 열악 * 부품 품질 불안정 * 공정품질/출하품질 수준 떨어짐 * 품질문제의 근원적 해결 대책 미흡 * 품질정보의 활용 및 Skill 부재

  7. 추진기본 철학 원점지향 BACK TO THE BASIC! 중지결집 모두의 지혜로써 한다. 無化思考 철저히 없앤다. 원점지향, 중지결집, 무화사고(無化思考), 3대혁신 사상을 기반으로 꼭 해내고야 말겠다는 열정을 발휘하여 신제품 조기 안정화는 물론 인재양성을 통하여 경쟁력 있는 모델공장을 구축하여 외부로는 고객감동과 내부로는 고수익 창출을 실현시켜 나가야 합니다. 21세기형 모델 구축 革 • 21C 형 경영관리시스템 구축 • 21C 인재양성 • 신제품 조기 안정화 新 ASPIRATION • ZERO BASE THINKING • 초기 CONSEPT 명확화 • BOUNDRYLESS TEAMWORK • CONCURRENT한 진행 • SIMPLE IS BEST • 비부가가치 ZERO化

  8. 추진개요 –정의 고객만족과 경영수익개선을 위하여 원류단계에서부터 전 부서의 중지를 모아서 상품과 생산시스템 및 조직의 혁신을 이룩하여 가치를 창조하는 총합적 경영혁신 활동 Vision-21 우리기업 목 적 고객만족과 경영수익 개선 수 단 상품과 생산시스템 및 사람, 조직, 일의 혁신 결 과 회사 VISION을 실현 APS : Atto Profit System of 21C

  9. 추진개요 –특징 진정한 고객 의사 반영 고객이 원하는 고객만족 상품개발 Simplicity Stretch TOP의 의지 과감한 도전 목표 설정 熱 情 폭 넓은 활동 범위 경영이익에 직결되는 개선효과 Business Process 전영역을 포함 요소 기술 활용 Boundarylessness 품질, 가격, 납기개선을 위한 다양한 요소 기술적용 조직적인 활동 Speed One Team지향의 중지를 모은 CFT 활동

  10. Vision-21 경영혁신 이미지 - 철저한 고객지향적 사고로, 고객의 요구품질과 기업의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 경영방침을 설정하여 기업의 모든 업무에서의 목표 및 해결과제를 전개하고, - 각각의 정보를 수집, 분석을 통하여 - 지속적인 혁신의 방향을 설정하고 철저히 개선과제를 해결해 나아감으로서 21C 업계 초우량 기업을 구현하는 기업의 전사적 경영혁신 활동임. 21C 초우량 기업 Catch Phrase ▣ 품질은 돈이다. 철저히 파헤치자 ▣ 큰 덩치부터 개선하자 ▣ 전체를 보고 부분을 보자 ▣ 현상을 부정하고 원점에서 생각하자 ▣ 혁신은 나 부터 먼저 하자 Vision-21 생산혁신

  11. Vision-21 경영혁신 이미지 21C 업계 초우량 기업 ATTO Vision-21 경영혁신 활동 핵심 경영과제 해결 조직체질 강화 執念 , 創意, 挑戰 개발부문 Vision-21 활동 생산부문 Vision-21 활동 지원부문 Vision-21활동 부문별 업무개선 능력 향상 인재 육성 (Morale & Skill Training) 전 사원의 위기의식에 대한 공감대 및 도전의 필요성 형성 ※ 지원부문 : 영업,업무,총무, 인사 등 경영활동 지원부문

  12. 추진전략 -조직체질강화 의식개혁과 교육을 통한 사람의 질 향상을 시작으로 시스템적인 낭비제거활동에 의한 Vision-21경영혁신 활동이 가능한 조직 체질을 구축함. Vision-21 경영혁신 조직체질 구축 생산효율 극대화 L/T 단축 불량극소화 설비효율 향상 업무효율 극대화 철저한 낭비제거 활동을 통한 경쟁력 있는 생산현장 구축 1. 아침인사 / 청소 2. 혁신구호 제창 3. 전원참가 5S 4. 홍보 및 Boom up 의 식 개 혁 1. 품질 혁신교육 2. 현장 개선학교 운영 3. 목표달성 Work Shop 4. 개선기법 교육 교 육 1. 눈으로 보는 관리 / 3불 추방 2. 일일 P-Q 결산제 3. 근원품질 개선 4. 소 LOT 정류화 흐름생산 낭 비 제 거 전 종업원의 공감대 및 행동변화

  13. 추진전략-핵심경영과제 해결 1단계로 생산현장 체질강화로부터 3단계로 나누어, 2003년부터는 전부문 시스템 통합화 하여 경영품질 Leadership 확보에 도전함. 1 단계 2 단계 3 단계 생산현장 체질강화 개발부문 경쟁력강화 전부문 시스템 통합화 ○ 전사적 추진체계 보강 ○ 개발부문 효율 및 경쟁력 강화 ○ 경영성과 확대 ○ 시범 모델 Project 선정 ○ 실행 조직체계 구축 ○ 시범모델의 Total 혁신으로 경쟁력 극대화 상품창출 O전사적 부문별 추진 개발 ○ 심화전개 정착화 ○ 경영 품질 Leadership 확보 ○ 시범 Line Project 선정 ○ 실행 조직체계 구축 ○ 제조공정의 근원개선으로 제조경쟁력 극대화 생산 ○ 중점 지원과제 Project 선정 ○ 실행 조직체계 구축 ○ 수주~ 개발 ~ 생산 Process 개선으로 L / Time 단축 지원 1단계활동은 각 부문별 개별활동보다 전부문이 참여 된 ONE 팀( C F T )으로 활동하고 2단계부터는 1단계 활동 인원이 각 부문에서 개선 LEADER로 활동하는 것이 효과적임 9-

  14. 추진목표 Vision-21경영혁신 활동이 가능한 조직의 기반을 구축하고 각 부문별 전사적인 혁신활동을 통하여 어떠한 환경에서도 이익이 창출되는 조직으로 체질을 강화 함. 지속적 이익이 창출되는 아토 내부 효율 극대화 경쟁력 우위 확보 관 리 수 준 향 상 - 제품개발 L/Time 단축 - 고객평가 이미지 극대화 - 제품특징 차별화 - 기술개발 체계 확립 - 품질보증 체계 구축 - Time To Market - 신기술 전환 - 낭비제거에 의한 고효율 생산 - 현장 중심의 관리체계 구축 - 중점 추진과제에 대한 경영수익 확보 - 설비효율 극대화 - 수율 및 불량의 혁신적 개선 - 물류/재고 비용 삭감 - 생산 고유기술 / 능력 향상 조직풍토 , 기업문화 변혁 , 인재육성 * 1 차년도는 내부효율 극대화 중심으로 추진함// 현상파악 후 세부목표 수립

  15. 세부내용- 전략검토 Process 고객 만족 요소 국내외 시장동향 분석 동작원리 및 역사조사 고객 요구 변천사조사 동종업체 Bench Marking 목표원가 고객 Needs 분석 제품 기능 분석 생산 시스템 품질특성 전개 내부 Seeds 분석 조립성 검토 자타사 사용조건 비교 가공성 검토 조달 물류체계 품질 NECK과제 조사 자타사 제품사양비교 원가구성비 조사 조직 및 운용시스템 체결부품 현황조사 PROCESS 품질 및 가격분석 환 경 분 석 제 품 분 석 전 략 도 출 주요내용 주요 OUTPUT * Benchmarking * 주요 개선과제 * 품질특성 전개표 * 생산전략 * 부품별 역할기능 * NECK 과제 * 품질전략 * 조달전략 * 조직전략

  16. 세부내용- 생산시스템 설계 물류흐름 분석 조립공정 분석 생산량 검토 가공공정 분석 설비 검토 상호관계 분석 공수 측정 공정기능 분석 운반 분석 가격 검토 공수 측정 FLOB 분석 가공-조립간 M-H분석 품질특성 검토 적정인원 산정 생산능력 분석 조립공정설계 PROCESS 공장 LAYOUT 설계 내/외작 검토 작업표준정비 부품가공 공정설계 표준작업 조합표 주요내용 작업 지도서 작업 요령서 공정능력 분석 물류경로 분석 표준작업 편성 공정 최적화 *내/외작 결정 *조립 공정표 *제조 공정표 *조립 Layout *작업 표준류 *조립공정 S/T *가공공정 S/T -세부배치 포함 -표준작업 조합표 *적정인원 *적정인원 *가공 Layout -표준작업표 *최적작업 조건 -세부배치 포함 -준비/교체 요령서 *QC 공정표 *공장전체 Layout -작업 요령서등 -창고 -utility 포함 주요 OUTPUT

  17. 세부내용- 부품개발 System 설계 개발일정 관리 Tooling out FMEA 공정 최적화 수입검사 규격/기준서 PROCESS 부품개발 BOM 정비 부품개발업체 선정 초기유동관리 공정전개 (pre 제조 공정도) 기준정보 설정 개발부품 문제점 분석 주요내용 부품품질/조립성 초기안정 부품전개 QC 공정도 CODE 설정 개략 COST 검토 5M 조기정착 내/외작 검토 업체 평가 체제 업체공고 및 견적 검토 품질안정 대책 업체 선정 발주 *부품 전개표 *제조공정도 *부품별/업체별 개발일정 *품질안정 대책서 *Code 체계 완성표 *QC 공정도 관리도 및 실행 계획서 *개략 cost 검토표 *필요 Tool List *업체 평가 기준서 *부품별 개발 이력서(업체) *발주업체 List *수입검사 규격/기준서 *품질안정 대책서 주요 OUTPUT

  18. 세부내용- 생산관리체계 구축 수주출하 프로세스 분석 PROCESS 보전체제 생산실적관리 체계 작업표준 정비 동종업종 수주출하 B.M 공정기능 분석 가공/조립 MSD 5S 주요내용 재고전략 검토 PAC SYSTEM 구축 PM 분석 표준 작업표 판매물류 프로세스 조사 공정별 기준일정 수립 자주점검관리 체계 설비점검 기준표 기준일정 관리체계 구축 수주출하정도 조사 예비품 관리 체계 표준재공 및 STORE설정 계획보전 체계 정보화 주요 OUTPUT *생산계획 프로세스 *실적집계 방법 *설비대장 및 이력관리 *표준작업표 *적정재고 *표준재공 *자주점검 기준표 *설비점검 관리카드 *공정별 통과 일정 *보전분담 체제 *Master Standard Data *예비품 적정재고기준

  19. 세부내용-인사조직 설계 PROCESS 평가시스템 설계 조직 진단 직무 분석 보상시스템 설계 설문 조사 능력평가 체계 직무 Manual 제작 임금체계 분석 주요내용 Interview 직무기술서 작성 부서별 CSF/KPI추출 임금 Table 설계 Value Chain 분석 직무자격 요건 도출 업적평가 체계 승진/승급 제도 직무관리체계 수립 공헌도평가 체계 평가 연계 방안 경영관리 체계 CDP체계 노동법적용 검토 주요 OUTPUT *핵심역량 규명 *조직 재설계 *사무직 평가체계 *Tool Table *인재상 설정 *조직 인재상 설계 *현장사원 평가체계 *인사제도 *각 부서별 경영관리 지표 및 체계

  20. 세부내용-조달물류관리체계 구축 발주계획 및 관리 SYSTEM PROCESS 협력회사 관리체계 구매원가체계 재고전략수립 Cost Table 활용범위 설정 협력회사 운영체계 자재/구매정책 수립 발주방법 결정 주요내용 안전재고 설정 납입체계 설정 협력회사 평가체계 Cost Table 작성 용기 표준화 품질향상 대책 창고 Layout설계 물류 System 설계 용기수납수 결정 부품개발 체계 입출고 관리 체계 대금지불 체계 정보화 주요 OUTPUT *자재구매 정책 *발주/납입 체계도 *협력회사 운영체계도 *Cost Table *안전재고안 *용기/수납수 표준 *협력회사 평가체계도 *창고 Layout 설계안 *창고관리 체계도 *부품 품질향상 대책서 *물류 System 설계안 *대금지불 체계 *부품개발 체계도 *정보화 계획서(향후)

  21. 목표달성방법-개발부문 목표를 달성키 위해 Project 수행시 구체적인 Skill을 각 단계별로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추진함으로써, 매출증대 및 원가절감의 활동 목표를 확실하게 실현시켜 강한 기업체질을 구축함. ▷ 추진의 사고를 달리하여 ▷ 팔리는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 근원적인 품질혁신을 추구함으로써 ▷ 총합 Cost 혁신을 추구하면서 ▷ Time to Market을 단축시키면서 ▷ 혁신적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면서 ▷ 조직문화 변화를 유도하면서 ▷ 추진 Skill을 계속적으로 심화 시키면서 - 불량의 근본적 배제 (잠재불량 개선) - 공정불량 “ 0 “ 화 품질혁신 APS- 21의 역량 매출증대 기업체질 강 화 APS 21 구 축 Vision 달성 원가절감 수익구조 개선 고객만족 상품창출 - 재료비 Down - 생산공수 삭감 - 총합 Loss 개선 - 고객 Needs 철저대응 - 소비자가 인하

  22. 목표달성방법- 추진사고 원류단계에서 명확한 Concept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키 위한 이상적인 방법을 구상, 전부서가 합심하여 과제해결을 추구한다는 사고로 진행됨. 반복활동 (개량의 한계) 성능, 품질 개량 활동 (Cost-up) 성능, 품질 개량 활동 (Cost-up) Cost-down 활동 개발 Cost-down 활동 기존의 개발 벽에 봉착 문제 설계자의 능력 Break Through 목적을 명확히 확정짓는다 현실접목을 위한 Neck과제발견, 해결 목적에 도달하는 이상적인 방법구상 Vision-21에 의한 개발 철저한 현상분석 실시 Concept Engineering 과제해결 TFT활동 조직적인 실행

  23. 목표달성방법- 팔리는 상품개발 고객으로부터 출발하여 고객의 관점에서 Benefit,사용용도의 가치를 창출하여 기존제품과 차별화 된 Breakthrough한 상품 Concept을 설정한 후 개발해 나감. 환경분석 고객Needs분석 Concept Generation Concept 확정 선 행 기 술 ·고객정보/ 상품정보 분석 ·기초자료 수집 ·사업전략 Review ·Concept 구성 ·고객수용성 평가 (Product/Price 결정, Promotion 전략수립) ·목표설정 구입접점 ·Idea발상/평가 - 도출Framework설정 - Feasibility/Cash Impact 평가 사용접점 - K B F 도출 SVC접점 상품정보 Target 설정 (Product Area, 고객 Segment) 상품화 Idea & 선행연구 기술과제 도출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궁극적 목적과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요소도출 개발상품 Concept 설정

  24. 목표달성방법- 근원적 품질혁신 현상분석 점의 품질 선의 품질 추이분석 면의 품질 상관관계분석 ‘96 ‘97 ‘98 ‘99 현 상 원 인 대 책 ‘96 ‘97 ‘98 ‘99 현 상 원 인 대 책 Field Claim의 징후는 생산현장에서부터 초기증상이 나타남으로 이의상관관계를 철저히 분석, 상품설계 단계시 근원적으로 해결을 추구함. 개발 생산 A/S 차기상품의 구상 실마리로 연결 협력업체 목표 QCD 합의 전공정불량 (LQC+잠재불량) ·차기구상의 Target설정 -주요불량 Worst10삭감 -상관관계 항목 제거 -항목수 80% 삭감 ·田口 추진항목도출 ·신부품 신뢰성check 및 집중개선 (FMEA/FTA) - 실패사례 재확인 상관관계분석 FMEA / FTA ... ... 편차분석 ... ... ... ... Field claim ·Service clalm ·소모품, 부품교환 현황 ·불량 반품 현황 FMEA:Failure Mode Effect & Analysis FTA:Fault Tree Analysis

  25. 목표달성방법- Time to Market 업무의 Sequential Process로부터 탈피한 Parallel Process 적용 및 파급설계를 추진, 종합적 Time to Market의 단축을 통한 효율화를 도모함. 생산 상품기획 설계 고객 생산준비 바턴 타치식 기존 ▷ 개발 Process의 부문간 연계 미흡 (Sectionalism) ▷ 문제해결중심 고객/ 상품기획 開發 L/T 短縮 동시 진행형 설계 Vision-21 생산준비 생산 ▷ 원류단계 전부문 참여 개선 ▷ Parallel한 업무진행 ▷ 파급(Series) 설계

  26. 목표달성방법-조직문화 Cost의 80%를 결정하는 원류단계에서 상품을 확실하게 변혁시키기 위해,조직적 연계체계를 구성하고 강력한 추진력으로 조직의 혁신을 도모함. 기존조직 파괴 성과발표회 및 Incentive제 ·성과발표회 및 결과로써 - 팀평가 및 보상 - 부서장의 지원도 평가 Concept W/Out 실시 및 발대식 ·전략, 방침, 목표, QCD 확정 ·조직의 Concept 명확화, 상호공유 피라미드 조직 일상업무 중심 분업조직 관리중심(Manager) C P 조직적 추진 전조직의 Know-how 기술력을 집중 · Idea Meeting 활성화 · Neck과제 해결 · Idea 창출 Work Out ·정보, Data 제공 전략적 지원조직 구성 ·기능 횡단형 수평조직 (Cross Functional Team) D O 수평조직 과제해결중심 Process 수행조직 지원중심(Leader) 현장중심 신조직 문화형성

  27. 추진일정-현상분석 1 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STEP 활 동 내 용 소요기간 활용기법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 추진조직체계 구축 2) 추진Room/기자재준비 3) Kick-Off 발대식 4) 추진방향 설정 5) 추진 상세계획 수립 6) 기본교육 및 W/Shop 사 전 준 비 2 주 1) 업무 Process 분석 2) Process Mapping 3) 시장환경분석 4) 매출액 점유율 분석 5) 손익분기점 분석 6) 원가구조 분석 7) 품질현황 분석 8) 생산현황 분석 9) Line가동현황 분석 10) 고객 Needs 분석 11) 내부 Seeds 분석 12) 종업원 만족도 조사 13) 문제영역의 정의 14) 부문별 활동과제 선정 15) 과제별 활동목표 수립 16) 과제별 활동계획수립 현 상 분 석 6 주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8. 추진일정-조직체질강화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STEP 활 동 내 용 비 고 1) 아침인사 2) 전원참가 5S 3) 혁신구호 4) 홍보 및 BOOM UP - 임원 및 전사원 의 식 혁 신 -30명 - 임원 및 전사원 1) 품질 기본교육 2) 5S 및 낭비제거 3) 제품개발 체험 과정 4) 현장개선 대학 5) 경영전략 W/SHOP 6) 부서별 W/SHOP 교 육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29. 추진일정-조직체질강화 1월 3월 5월 7월 10월 12월 STEP 활 동 내 용 활용기법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 부서별 순회지도 -눈으로 보는 관리 -3불 추방 (불필요 불합리 불균형) 2) 일일 결산제 -야시장 / 새벽시장 3) 근원 품질개선 -총합공정불량(누적불량) -자주 / 순차 검사 -주요 공정관리 -Time Check -Q-Audit 4) Process 개선 -생산부문 -R&D부문 -사무간접부문 낭 비 제 거 - 단계별 순차적 추진 - 부분별 순차적 추진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0. 추진일정-핵심과제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STEP 활 동 내 용 소요기간 활용기법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주 2주 3주 4주 1) CTQ의 Defect 정의 2) 규격 확인 3) 현재 수준 파악 4) 특성의 측정방법 검토 5) 측정능력 평가 6) Baseline공정능력파악 측 정 1개월 1) Data의 정규성 검증 2) 변동원인 분석/층별 3) 핵심 vital few 도출 분 석 1개월 1) 개선안 도출 2) 요인 실험을 통한 검증 3) 주요 요인 결정 4) Process Redesign 5) 최적화 실험 6) 관리항목 결정 개 선 1개월 1) 개선효과 파악 2) 공정통제 계획수립 3) Pool-proofing 4) 통계적 공정관리 관 리 1개월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1. 추진일정-시스템 구축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STEP 활 동 내 용 소요기간 활용기법 • 내/외작 검토 • 조립공정설계 • 부품가공공정 설계 • 공장Lay-out설계 • 작업표준정비 생산 SYSTEM 설계 • BOM정비 • 부품업체 선정 • 부품개발 • 초기 유동관리 부품개발 SYSTEM 설계 • 수주출하 프로세스 분석 • 생산실적관리 체계 • 보전체계 • 작업표준 정비 생산관리 체계 구축 • 재고전략수립 • 발주계획 및 관리 체계 • 협력사 관리 체계 • 구매원가 체계 조달물류 관리체계 구축 • 조직 진단 • 직무분석 • 평가 System 설계 • 보상 System 설계 인사조직 설계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2. 지원 교육 일정 및 대상   감독자  작업자 주 요 내 용 교 육 일 정 교 육 대 상 5 임원 업무 담당 설계 담당 개발 담당 자재/외주 담당 품질 담당 생산 담당 현 장 비고 1 3 7 9 10 11 12 1. 품질기본 교육      2일   2.5S/낭비제거       3일 3.현장개선대학       5일 4.제품개발체험과정     3일    5.경영전략W/S         컨설팅 과 병행 6.관리.감독자 능력향상       3일   * 상기 일정은 상황에 따라 변경 될 수 있음

  33. 추진조직 추진조직은혁신적이고 적극적인 사고를 가진 자로 구성하여혁신활동을 리 - 드 하여야 하며 특히실천력이 강한 조직 이어야 함 [ 운영방안 ] [ 조 직 도 ] 1. 추진팀은 TOP의 직할 조직 으로 운영 2. 경영전체의 관점에서 추진 되도록 경영혁신 사무국에서 운영지원 3. 전부서가 참여 되도록 개선 실천회의 정례화 4. 추진팀의 평가체제 및 활동시기 명확화 추진 위원장 컨 설 턴 트 경영혁신 사무국 추진 팀장 PJT 실행팀 IDEA 멤버 즉실천 개선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