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7

문항반응이론 Item Response Theory

문항반응이론 Item Response Theory . 2010 년 5 월 20 일 강태훈. 문항반응이론 개관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 이분문항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 다분문항 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 결측치 존재 , 혼합 문항 유형 검사 , 일부 문항 모수 고정하는 경우 ). Psychometrics 개요. 측정 (measurement) 정의 인간의 특성 : 인지적 , 정의적 , 심동적 사회과학에서의 측정 : 간접적 , 임의적 측정 척도 :

pavel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문항반응이론 Item Response Theory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 2010년 5월 20일 강태훈

  2. 문항반응이론 개관일차원 문항반응모형: 이분문항일차원 문항반응모형: 다분문항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결측치 존재, 혼합 문항 유형 검사, 일부 문항 모수 고정하는 경우)

  3. Psychometrics 개요 • 측정(measurement) • 정의 • 인간의 특성: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 사회과학에서의 측정: 간접적, 임의적 • 측정 척도: • 측정 vs. 통계 (statistics) • 측정 vs. 평가 (evaluation) • 측정 vs. 총평 (assessment)

  4. 역사적 개관 • Spearman (1904): CTT 기본 개념, 요인분석 (g-theory) • Binet & Simon (1916): 문항특성곡선의 개념 • Lawley(1940s): IRT의 출발점 제공 Lawley, D. N. (1943). The application of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o factor analysi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33: 172-175. • Lord (1952), Birnbaum(1968): 정규성(normality) 가정 하에서 문항반응이론 개발. Lord & Novick (1968)의 Statistical Theories of Mental Test Scores는 Birnbaum에 의해 집필된 문항반응이론에 관한 네 개의 장 포함.

  5. 문항반응이론 (IRT) • 수학적 (혹은 심리측정학적) 모형 • 분석의 단위: 문항 점수

  6. 고전검사이론 (CTT) • 분석의 단위: 검사 점수 • CTT의 기본 모형: X=T+e • 가정 : ρTe= 0, σ 2X = σ 2T + σ 2e ρee`= 0 • 신뢰도: ρ XX` = ρ2XT = σ 2T / σ 2X • 측정의 표준오차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 SEM): σe = σ X · (1- ρ XX’ )1/2

  7. IRT vs. CTT • CTT의 제한점 • “group-dependent” and “form-dependent” • 동일한 SEM • 평형 검사 가정 • IRT의 장점 • 상호독립성 (문항모수와 피험자모수) • 문항모수와 피험자 능력모수: 동일 척도에 놓임 • 피험자 능력 모수가 특정 검사를 위해 표집된 문항들이 아니라 전체 문항 전집과 관련되어 정의됨 • DIF, CAT, 검사 동등화 문제 등에 비교적 손쉬운 적용

  8. Unidimensional IRT의 제한점 • 강한 가정으로 인한 적용의 제약 • 많은 수의 피험자 요구 • 인지적 과정에 대한 설명 부재 <문항반응이론의 확장> • 다차원 문항반응모형 (compensatory VS. non-compensatory) • Mixture IRT 모형 • Multilevel IRT • 인지진단모형 등등

  9. The new rules of measurement • Embretson & Reise (2000). Item Response Theory for Psychologists

  10. Calculus for IRT • 미분 공식 • df(x) /dx=f`(x) • dc/dx=0: 상수의 미분 • d{f(x)g(x)}/dx=f`(x)g(x)+f(x)g`(x) • d{f(x)+g(x)}/dx=f`(x)+g`(x) • d{f(g(x))/dx=f`(g(x))g`(x): 연쇄법칙 • 로그 (logex=ln x) 및 지수함수의 미분 • (ln x)`=1/x • (ln f(x))` = f`(x) / f(x), where f(x) > 0 • (ex )`=ex • (ef(x) )`=ef(x)f`(x)

  11. 문항반응이론 개관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이분문항(Unidimensional and Dichotomous Item Response Model)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다분문항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12. 1모수, 2모수, 3모수 IRT 모형 • dichotomous IRT models • 1모수 모형(1PM): 곤란도(β) • 2모수 모형(2PM): 곤란도(β), 변별도(α) • 3모수 모형(3PM): 곤란도(β), 변별도(α),추측도 (c) • 문항모수의 의미 • 문항 곤란도 • 문항 변별도 • 문항 추측도 문항특성곡선 (ICC)

  13. 2 모수 Probit 모형 (2PPM) • 검사의 한 문항에 대한 정답 확률을 피험자 능력의 함수로 나타내기 위해 두 가지 접근이 가능 (Probit vs. Logisitc) • Probit 모형은 Lord & Novick(1968)이 IRT를 소개할 때 주로 사용된 개념이기 때문에, 이후 주로 Logisitic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게 된 상황 하에서도 영향력을 가짐. 2모수 프로빗 모형

  14. 문항 정답 확률: 2PPM의 경우 • Normal Ogive 모형을사용하여 문항반응함수를 표현하면 닫힌 식으로 나타낼 수 없다(즉 적분 기호를 항상 사용). 능력모수와 정답확률의 관계는 누적정규표나 문항특성곡선(item characteristic curve; ICC)로 쉽게 나타낼 수 있다. αi=1.2이고β i=0.6 (2PM)일 때,

  15. 2 모수 Logistic 모형 (2PLM) • 2모수 로지스틱

  16. Probit과 Logistic 모형 일치를 위한 교정상수 D • D = 1.702는 로지스틱 모형을 통해 구한 문항 모수를 프로빗 척도 상의값으로 교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17. Rasch 모형과 1PLM 모형 • Rasch 모형에서는 문항 변별도 모수가 언제나 1이다. • 1모수 모형은 문항 변별도 모수가 모든 문항에서 동일 • 1모수 및 Rasch 모형의 특징 • 검사 총점이 피험자 능력에 대한 충분 통계치 • Specific Objectivity:

  18. 3모수 로지스틱 모형 (3PLM) • 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엄밀히 말해서 로지스틱 모형이 아니다. 모형 자체를 로짓으로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 추측도 모수의 변화에 따른 ICCs

  19. 3모수 모형의 ICC • 변별도 = 1.2, 곤란도 = 0.5, 추측도 = .20

  20. 검사특성곡선 (Test Characteristic Curve; TCC) • 비록 문항반응이론이 문항 수준의 분석을 주로 하지만 능력모수와 검사 점수 간의 관계를 보는 것도 가능하다.TCC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 TCC가 그리는 곡선은 각 문항의 모수들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ICC처럼 정규누적분포와 같은 형태를 보이지는 않는다. • T값의 의미는 해당 능력 모수에서 기대되는 검사 점수로서 CTT상에서의 진점수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다. 달리 말해서, IRT 모형에 의해서 추정된 진점수이다. • n개의 이분 문항이 있을 때 T값의 범위는 0부터 n이 되고, 3모수 모형의 경우에는 Σci부터 n까지이다.

  21. 검사특성곡선(TCC)의 예

  22. MLE(2PLM의 경우) •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에 대한 이해: “문항반응이론 특강 별첨#1” 참고 • 문항모수 α와 β추정은 결국 아래와 같은 우도함수에서 최대값을 나타내는 α(discrimination)와 β(difficulty)를 찾아내는 과정이다.

  23. 문항 및 피험자 모수의 추정 • 앞의 MLE를 통해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의 문항 및 피험자 모수 추정이 가능하였다. • (모든 문항의 모수를 알고 있는 경우) 한 피험자의 능력모수 추정하기 • (모든 피험자의 능력 모수를 알고 있는 경우) 한 문항의 모수(변별도와 곤란도) 추정하기 • 현실적으로 우리에게 주어지는 데이터는 0/1 이며, 위처럼 어느 한 쪽의 모수들을 알지 못한다. 이 때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모수 추정 방법은? • 결합최대우도추정법 (문항 및 피험자 모수를 함께 추정) • 조건최대우도추정법(Rasch 모형 하에서 원점수가 능력모수의 충분 추정치임을 이용, 문항 모수 먼저 추정  피험자 모수 추정) • 주변최대우도추정법(능력에 대해서 정규분포 가정, 적분을 이용하여 능력 모수 추정 필요성을 일단 제거, 문항 모수 먼저 추정  피험자 모수 추정)

  24. JMLE, CMLE, & MMLE • 결합최대우도추정 (joint MLE; JMLE): 2PLM의 경우 2n + N 개의 문항 및 피험자 모수를 한꺼번에 추정 • 프로그램: LOGIST (Wingersky, Barton, & Lord, 1982), SYSTAT 등 • 문제점 (1) “Perfect” or “Zero” examinee and item (2) Heywood case (3) 2PLM 과 3PLM의 경우 추정 실패하는 경우 많음 • 조건최대우도추정(conditional MLE; CMLE): 피험자 모수를 추정하는 대신 충분 통계치 사용(sufficient statistic; s=Σiα i u i) • 프로그램: WINMIRA 등 • 오직 Rasch 모형에 사용될 수 있다 • 주변최대우도추정(Marginal MLE; MMLE): 피험자 모수에 대한 분포를 상정하고 이를 적분함으로써 우도함수에서 개개인의 피험자모수를 추정할 필요가 없게 됨 • 프로그램: BILOG, PARSCALE 등 대부분의 상업용 프로그램

  25. IRT 가정 및 그 검증 • Unidimensional IRT (이하 UIRT) 를 위한 두 가정: • 일차원성 가정: 하나의 교육 및 심리검사 결과에 IRT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검사가 피험자가 지니고 있는 단 하나의 특성이나 능력(single latent trait or ability)을 측정해야 한다. • 지역독립성 가정: 피험자의 문항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되는 특성이나 능력(들)을 감안하고 나면(once the abilities are taken into account), 검사 내 문항들에 대한 피험자의 반응은 통계적으로 독립이다.  UIRT 하에서 두 가정은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나가 충족되면 다른 하나도 충족된다 • 가정의 검증: 별첨#2 참조

  26. 지역독립성 가정의 의미: n개 문항에 대한 한 피험자의 반응유형(response pattern): 두 개 이상의 능력을 고려한다면 (multidimensional IRT) 단일 능력만 고려한다면 (UIRT) • 일차원성과 지역독립성 외에 문항반응이론의 또 하나의 가정은 문항수행(혹은 문항점수)와 능력 (θ)간의 단조증가성(monotonicity)이다. P(θj) ≥ P(θk) whenever θj ≥θk

  27. 문항모수의 추정 (BILOG-MG): • 문항반응이론 특강 별첨#3 “BILOG-MG: 이분문항반응모형에서의 모수 추정” 참고 - 3PLM의 경우 : 20문항 2,000명의 피험자(n=20, N=2000) - 자료 (2000 by 20): Simudata1.dat - BILOG-MG code: Simudata1.BLM

  28. 능력 추정의 표준오차 • Conditional Standard Error of Estimation (CSEE): MLE 능력 추정의 오차를 계산할 때 아래에서 보듯이 피험자의 관찰된 반응은 영향을 주지 않는다. 즉 사용되는 모형이 추정의 오차를 결정한다. • 이러한 결정은 자료가 모형에 의해서 잘 설명된다는 (good fit) 가정 하에서 옳다. 하지만! • 때로는 피험자의 반응이 모형이 예상하는 바와 다를 수 있는데(e.g., 쉬운 문항은 틀리고 어려운 문항만 맞히는 경우), 이 경우 능력 추정이 어렵거나 아예 불가능할 수 있다  “Person Fit” Issue (다음 페이지 계속)

  29. 문항정보함수의 예 • 앞서 살펴본 5문항의 모수를 가지고 ICC를 그려보자. • 검사정보함수 (Test Information Function) ?

  30. 추정의 표준오차와 검사정보함수 • 각 모형에 따른 CSEE와 검사정보함수

  31. 문항반응이론 개관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이분문항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다분문항(Unidimensional and Polytomous Item Response Model) 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32. 다분문항반응이론 (PIRT) • PIRT Model은 검사 문항이 맞고(1) 틀리고(0)의 이분형이 아니라 (0,1,2,3) 혹은 (1,2,3,4,5) 등과 같이 다분적으로(polytomously) 채점되었을 때 사용된다. •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모형 • Samejima (1969): Graded Response Model (GRM) • Muraki (1992): 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GPCM) • Master (1982): Partial Credit Model (PCM) • Adnrich (1978): Rating Scale Model (RSM) • 정의적 특성 검사 자료를 위한 모형 • Robert, et al. (2000): Generalized Graded Unfolding Model (GGUM) • Cumulative Mechanisms VS. Unfolding Mechanisms

  33. GRM (Samejima, 1969) • 2PLM 모형을 기반으로 문항점수(e.g., x=1,2,3,4,5) 중에서 x보다 큰 점수를 얻을 확률을 모형화한다. 경계특성곡선 (boundary characteristic curves)

  34. GPCM (Muraki, 1992) • 모형: where α is the discrimination of item i, β denotes the difficulty of item i, and τ represents the location parameter for a category on item i. • PCM: • RSM:

  35. What is “Logistic”, really? • 다분 문항 반응에 대하여 이를 모형화 한다는 것은 결국 한 문항 점수(혹은 범주)가 주어진 능력 수준에서 획득될(혹은 선택될) 확률을 수학적 모형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 이를 위해서는 PIRT에서 쓰이는 로짓 혹은 로지스틱의 의미를 명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 별첨#4“IRT에서로짓 혹은 로지스틱의 의미” 참조

  36. GRM의 모수 추정 • 별첨#5: “MULTILOG와 PARSCALE을 이용한등급반응모형 (Graded Response Model; GRM) 문항 및 피험자 모수 추정” 참고 GPCM, PCM, RSM의 모수 추정 • 별첨#5: “PARSCALE을 이용한일반화부분점수모형(Generalized Partial Credit Model; GPCM) 및 하위 모형의문항 및 피험자 모수 추정” 참고

  37. 문항반응이론 개관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이분문항 일차원 문항반응모형: 다분문항 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결측치 존재, 혼합 문항 유형 검사, 일부 문항 모수 고정하는 경우)

  38. 특수한 경우의 모수 추정: 결측치가 존재하는 경우 • 결측치 (missing value)에 관한 일반론 • 결측치의 종류 • MCAR (missing completely at random): Pr(r | yo, ym) = Pr(r) • MAR (missing at random): Pr(r | yo, ym) = Pr(r | yo) • MNAR (missing not at random): Pr(r | yo, ym) • MCAR과 MAR은 어느 정도 구분할 수 있지만, 사실 MAR과 MNAR을 실제로 구별하기는 어렵다.

  39. 결측치 처리 방법: No Panasea!! • Complete Case Analysis (완전제거법; list-wise deletion): 결측 비율이 낮거나 MCAR인 경우 OK. 그러나 결측률이 높을 경우 큰 정보의 손실(비효율성, 통계적 검정력 감소)과 모수 추정치가 왜곡(bias)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 자료대체방법(imputation): MCAR 혹은 MAR 이라는 가정하에서 • Mean value imputation: 해당 변수의 평균값으로 대체 • Exact match imputation: 다른 외부 자료 값으로 대체 • Hot-deck imputation: 동일한 특성의 피험자 값 중 무작위로 선택하여 대체 • Regression imputation • Multiple imputation • 기타 등등

  40. 모수추정의 실제 (with missing values) • 교육 및 심리 검사 내의 모든 문항이 모든 피험자에게 응답되는 경우(data with no missing)는 드물다. Missing(s) 발생 원인? • 피험자가 정답을 몰라 아예 답을 표기하지 않음 • 피험자의 부주의 • 속도 검사 • 입력 상의 부주의 • 연구자의 필요에 따른 결과 • IRT의 문항 및 피험자 모수 추정에서 결측치에 대한 처리 • 오답 처리: “omitted” 즉 피험자 정답을 모르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가정 (시험 중간 중간 부분에 답하지 않은 경우) • 결측치로 인정: “not presented” 즉 피험자가 정답을 모르기 때문에 응답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뭔가 다른 이유로 결측치가 되었다고 가정 • imputation이 가능하나 이는 보통 IRT S/W에서 제공되는 처리 방법은 아니며 연구자의 판단에 따라 SPSS, SAS 등의 다른 프로그램 사용 가능

  41. 특수한 경우의 모수추정 실제 I • 자료에 결측치가 존재하는 경우 • BILOG-MG: MISSING.BLM

  42. 특수한 경우의 모수추정 실제 II • Mixed-Item Format Tests (한 검사 내에 두 가지 이상의 문항 유형이 존재하는 경우): 문항에 따라 다른 모형 사용 가능 • PARSCALE: MATH.PSL

  43. 특수한 경우의 모수추정 실제 III • 일부 문항의 모수를 이미 알려진 값으로 고정하고 나머지 문항의 모수와 피험자 능력 모수를 추정하는 경우 • Fixed Item Parameter Calibration: • indeterminacy problem의 해결을 위한 θ~N(0,1)이 사용되어서는 안 됨  FREE=(NOADJUST, NOADJUST), • 각 MMLE/EM 단계에서 피험자 능력 분포가 update되어야 함 (즉, 전 단계를 통해 새로 계산된 사후분포가 사용됨)  > CALIB POSTERIOR

  44. IRT의 응용 분야:각종검사의 문항은행 관리 피험자 능력 추정자격시험의 합격여부 결정 차별적 기능문항 (DIF) 추출컴퓨터화 검사 (CBT, CAT)검사 동등화 (Test Equating)

  45. Thank you!!홈페이지: http://irt.com.ne.kr Email: taehoonkang@gmail.co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학과 강태훈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