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7

APEC 개최와 부산의 국제적 도약

APEC 개최와 부산의 국제적 도약. 2004. 7. 30 강 경 식. 1. APEC 회의에 대한 기대. APEC 정상회의가 부산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는가 ? APEC 정상회의 이후 부산의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 부산이 국제적으로 도약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여러분이 그 답을 찾아야 . 과대한 기대는 금물 . ASIAN GAME 유치 때 가졌던 기대 , 지금 돌아볼 때 어떻게 평가 ? ( ‘ Digital ’ 을 main theme)

hanh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APEC 개최와 부산의 국제적 도약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APEC 개최와 부산의 국제적 도약 2004. 7. 30 강 경 식

  2. 1. APEC 회의에 대한 기대 • APEC 정상회의가 부산 발전에 새로운 전기가 될 수 있는가? • APEC 정상회의 이후 부산의 무엇이 얼마나 어떻게 달라질 것인가. • 부산이 국제적으로 도약하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는 여러분이 그 답을 찾아야. • 과대한 기대는 금물. ASIAN GAME 유치 때 가졌던 기대, 지금 돌아볼 때 어떻게 평가? (‘Digital’을 main theme) • 유치 성공 자체가 큰 발전. (ASEM은 무관심)

  3. 2. ‘행사의 성공’ • ‘행사 성공’은 bottom line. 이는 국가 차원의 문제.(국무총리가 대책 위원장인 이유) • 부산으로서도 행사의 성공은 대규모 국제회의 유치를 위해서는 must. • 이에 더해 ‘행사 준비 과정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가 더 중요. • 실익 중심의 no nonsense approach가 기본. (APEC 회의 이후 국제 회의 개최 요청 rush? 조직적 sales 및 promotion 활동 전개 필요)

  4. 3. 대외 홍보 • 해외 홍보의 절호의 기회. • 홍보 효과? 93년 미국 시애틀 이후 인도네시아 보고르, 일본 오사카, 필리핀 수빅 등에 이어, 2001년 중국 상해, 맥시코 로느카보스, 작년에는 태국 방콕에서.얼마나 기억? • 세계 관심 모으기. 회의 주제 선정이 중요. ‘보고르 선언’이 그 예. (북한 초청식 발상은 역효과) • 한국 홍보와는 구분되는 부산 홍보의 point 선정 필요

  5. 4. 유치 과정에서 드러난 현실 • 제주에 비해 객관적인 조건은 열약 • 한국전쟁과 그 후의 발전 과정의 ‘상흔.’무언가 보상이 필요하다는 것에 공감 • ‘도시의 격’을 갖추어는 일이 시급. • ‘국제적 도약’을 위해서는 시의 격을 갖추는 것, 즉 ‘촌티’를 벗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 위원의 말)

  6. 5. 선택과 집중 • ‘부산의 국제적 도약’은 부산 발전의 의미 • ‘세계도시 부산 2010’은 도약을 위한 부산의 비전을 잘 정리. • APEC 회의를 통해 추진함에 가장 적합하고 시급한 과제를 선정, 이에 집중할 필요. • 그것이 무엇인가. 단칼에 해결할 처방은 없다. • 부산 발전 문제를 두고 고심했던 개인 경험 -> 준비에 참고?

  7. 6. 문제 정의의 중요성 • 문제에 대한 정의 속에 해답이 있다. • 87년 부산 문제 해결을 위해 처음으로 나섰을 부산의 문제는 ‘용지난, 재정난, 교통난의 3난’이라고 이구동성 • 이들은 당시 당면한 문제였지만 부산 발전을 위한 핵심 문제는 아니었음 • 부산 발전 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 검토하기 위해 부산발전시스템 연구소 설립

  8. 7-1. 용지난 • 용지난 해결책으로 ‘인공섬’ 구상이 등장 • ‘인공섬을 만들 바다를 green belt로 묶고 green belt를 그만큼 풀어라’ • ‘김해에 땅은 있다’가 상식적 발상 (삼성승용차 유치 때 첫 질문이 땅이 있는가) • 신발 공장이 땅이 없어 외국으로 옮겨갔나? • 문제를 보는 시각이 중요. 용지보다는 기업 입지로서의 경쟁력 상실이 문제의 핵심

  9. 7-2. 재정난 • 부산지하철 빚으로 시 재정이 파산지경 • 김해 green belt 풀어 시세 차액 중 일부를 사용하는 방안 마련 • ‘부산교통공단법’ 제정. 가야로의 철도를 전철화 하는 것이 철도청과 합작 회사 만든 핵심 골격. • 지하철 건설로 전환. -> 국가 채무화의 명분 상실, 동남 전철망 구축 기회 일실 • 동남 경제권의 중추 관리 기능. Win/Win 방식이 되어야. 일방만 이익 보는 해결책은 없다.

  10. 7-3. 교통난 • ‘항만을 옮겨라’가 당시 분위기 부산항의 소득 및 고용 창출 효과 홍보 • 양산 ICD 건설 추진(34개 야적장 이전) Container 세 신설을 통한 재원으로 도로 확충 • 가덕도 신항만 건설 추진 • 광양만 개발의 2 port system 정책에 무관심 (투자의 분산) • 고통을 감내하면서도 지켜야 할 것은 지켜야.

  11. 8. 핵심 문제는 산업 공동화 • 3난 해결되면 부산 문제 해결? 부산만이 아닌 도시화에 따른 공통적 문제. 지금도 이들 문제는 상존. • 당시 문제의 핵심은 ‘bed town->ghost town’의 길로 가고 있는 것 • 산업 공동화 현상에 대해 새로운 산업으로 무엇을 어떻게 일으킬 것인가 • 기업들이 부산에 둥지를 틀 수 있는 여건을 어떻게 만들 것인가

  12. 9. 중앙에 의한 현안 해결 • 중앙 정부가 나서야 한다는 분위기 • 지역균형발전 기획단 발족. 형평성 관계로 부산에 더해 전북 지역을 대상으로 • 동남은행 설립, 생명보험 회사 설립 등 지방에 본사를 전국 금융 기관의 설립 • 부산에 본사를 둔 기술신보 설립 • 부산의 ‘금융 hub’가능? (서울의 동북아 금융 중심 정책조차 답보 상태) • 부산 문제는 서울을 등지는 자세가 그 출발이 되어야. (서울이 아닌 규슈 등 국경을 넘어 활로를 찾아야)

  13. 10. 항만 및 물류 • 서울에 없는 것은 항만. 최우선 순위는 항만. • 동북아 중심? 컨테이너 취급 물량, 지난 해 이미 3위에서 5위로 • 부산항만공사(BPA) 발족이 그나마 다행 • 항만 시설 등 hardware에 더해 운영도 최첨단으로 경쟁력을 갖추어야 • 국내외 해운사 대상 sales 활동 강화는 물론 항만, 해운, 물류 관련 국내외 회의 적극 참여 및 회의 유치 노력

  14. 11. 무역, 전시 사업 • 무역의 중심은 서울. • PWTC 설립과 WTC 가입 • 전시장 사업 추진 (KOTRA 경영 추진, 초기 예산 확보) • 양산 ITC 안에 수출입 mart 개설 구상 • 전시장 입지로 수영공항 추진. (공항 이전추진) • 지역 제조업 기반 취약 -> 관 주도로

  15. 12. 제조업의 뒷받침은 필수 • 무역, 금융, 전시, 회의 등의 고급 서비스 산업은 부산에 본사를 둔 대기업 없이는 발전에 한계 • 삼성승용차 유치에 적극 나선 것은 부산 경제를 이끌 기관차가 될 것으로 기대 (자동차 부품 공급 기업->일본에의 부품 공급 기지로) • DJ 정권의 big deal로 그 기대는 무산 • 삼성에서 경영을 했더라면 이미 해외 시장에 진출했을 것

  16. 13. 지역 이기주의가 아닌 경제성 중심의 추진 중심 만들기 • 행정 구역과 경제 단위는 별개. 경제 활동 중심의 추진 중심이 있어야 (PDI는 ‘동남경제연구원’ 구상으로 출발) • 공항마다 ‘국제공항’ 추구 • 인천국제공항. 한반도 남부의 발전에는 한계. • Global 시대에 신공항은 필수. • 세계주요도시와의 편리한 flight 연결이 가능한 승객 확보가 관건. • 신국제 공항은 추풍령 이남의 영호남에서 함께 쓰는 전제에서 추진해야 경제성 확보 가능

  17. 14. 부산의 국제화 없이 국제적 도약은 없다. • 21세기 세계 질서는 globalization(세계화), digitalization, democratization(민주화)가 축 • 부산 발전 발상의 출발은 ‘세계 속의 부산’이 되어야. • Global 경쟁력이 핵심. ‘적과의 동침’의 일상화 (구 S와 신 S의 동업) • 목표 설정은 물론 평가 잣대로 global 차원이어야 • 부산시 당국이나 지도층의 발상은 물론 시민의식도 함께 달라져야 • APEC을 국제적 도약을 위한 ‘부산의 국제화’를 목표로 선택, 이에 집중적인 노력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