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1

ERP 개념 및 발전 방향

이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 / 인용하고자 할 경우 저자의 동의를 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ERP 개념 및 발전 방향. 박진우 장성용 정대영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목 차. 1. 서론 - ERP 개념에 대한 Review 2. ERP Package 현황 3. ERP 의 도입 , 운영 , 개발상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4. Next Generation ERP. 1. 서론 - ERP 개념에 대한 Review.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정의 I, II

hind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ERP 개념 및 발전 방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이 자료를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인용하고자 할 경우 저자의 동의를 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ERP 개념 및 발전 방향 박진우 장성용 정대영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2. 목 차 1. 서론 - ERP 개념에 대한 Review 2. ERP Package 현황 3. ERP의 도입, 운영, 개발상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 4. Next Generation ERP

  3. 1. 서론 - ERP 개념에 대한 Review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정의 I, II • ERP 시스템 구성 예 • ERP의 발전 과정 • MRP, MRPII, ERP

  4.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정의 I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전사적 자원계획” A set of applications designed to bring business functions into balance that represents the next generation of business systems. (Gartner Group) An accounting-oriented information system for identifying and planning the enterprise-wide resources needed to take, make, ship, and account for customer orders. (APICS)

  5. Business Strategy Organization From Employee to CIO Processes MIS, EIS(Executive Information System) Financial Accounting Inventory Management Production Planning Distribution Sales & Distribution Technology From Supplier to Customer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의 정의 II • 경영 목표를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으로 구현하는 것을 지원하는 전산 시스템으로써, 모든 부분의 기업 활동 시스템을 통합함으로써 기업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 기업 활동 )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ERP라고 할 수 있다. ERP

  6. SD Sales & Distribution FI Financial Accounting MM Materials Mgmt. CO Controlling R/3 PP Production Planning AM Fixed Assets Mgmt. Client / Server Integrated Processes QM Quality Manage-ment PS Project System PM Plant Main-tenance WF Workflow HR Human Resources IS Industry Solutions ERP의 구성 사례 : SAP R/3 Business Engineering Comprehensive Functionality Designed For All Types Of Business Client / Server Architecture Open Systems Multinational

  7. ERP의 발전 과정 1970년대 : M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자재소요계획) 1980년대 : MRPII (Manufacturing Resource Planning, 제조자원계획) 1990년대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자원계획) 개념적 측면 시스템 구성 측면 기술적 측면 • 실시간 DB에 의한 MRP II의 지원 • Multiple site/currency • 환경 지원 • 비유연성의 최소화 • GUI 등 사용자 편이성의 최대화 • 분산 데이타 처리 • Client/Server 기술 • 개방형 구조

  8. ERP의 발전과정 - MRP • MRP는 컴퓨터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으로 구현가능하여졌으며, 생산활동과 관련된 자재/조립품/원자재 등의 수급계획과 생산활동에 대한 체계적인 계획을 통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탄생한 새로운 관리기술. • MRP는 기본적으로 1.제품구성정보(BOM, Bill of Materials), 2.표준공정도 ( Routing Sheet ), 3.재고 레코드 등의 정적인 데이터에 기준생산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이 입력되어 “무엇이(원자재/가공품/반제품) 언제, 어디서, 얼마만큼이 필요한지를 예측하고, 모든 제조활동과 관리활동을 그에 맞추어 운영함으로써 생산활동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하여주는 기법.” MRP MRPII ERP

  9. ERP의 발전과정 - MRP II • 초기의 MRP는 개념의 미정립,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부족, 데이터 베이스 기술의 미흡 등 미완성의 기술이었다. (용량계획이나 실시간 일정계획 부재로 Hysterical MRP등 용어 탄생) • 1980년대 들어 이들 기술문제의 개선과 함께 실시간 데이터 반영, 생산 용량 제한 고려, 수주/재무/판매관리 등의 기능보강 및 자금 계획 등이 추가되면서 안정된 제조활동을 보장하는 MRP II(제조자원계획) 탄생. • 특히 스케쥴링 알고리즘, 시뮬레이션 등이 구현된 Back End 지원도구가 등장하면서 더욱 지능적인 생산관리 도구로 발전. MRP MRPII ERP

  10. ERP의 발전과정 - ERP • 1980년대 들어 상하위 공급 체계(Supply Chain)와 설계, 영업, 원가회계 등 회사내 연관부서 업무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시스템 구성/사용자 편의성의 측면에서는 Regenerative MRP와 Net Change MRP, GUI(Graphic User Interface)등을 구현하고, 기술적 측면에서는 3계층 Client/Server구조, 분산 데이터처리, 개방형 구조, Down Sizing 등을 받아들인 시스템으로서 ERP 등장. • 따라서 고객회사의 주문 제조업체의 컴퓨터 센터 자동 자재 발주와 최적 스케쥴에 의한 생산지시 하청업체의 컴퓨터 센터 자재발주 그리고 시뮬레이션 및 “활동기반 원가 회계 시스템(ABC)”에 의해 자금의 흐름 및 회사내부의 중요 자원에 대한 사용계획 및 현황이 실시간으로 파악됨으로 최고 경영자는 회사내부 업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MRP MRPII ERP

  11. 2. ERP 팩키지 현황 • ERP 시스템 구축 방법 • 국내 ERP 팩키지 시장 규모 • 국내외 유명 ERP 팩키지 • World Class ERP Package, 한국형 ERP 팩키지

  12. ERP 시스템 구축 방법 In House(HomeGrown) System Package System • 사용자 환경의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유지 보수가 필요하다. •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시스템간 통합이 약하게 된다. • 정보기술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기 곤란하다. • 수명은 평균적으로 3년으로 평가되고 있다. •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 표준적인 업무처리지원가능(Canned Transaction Processing ) • 원활한 정보 공유와 흐름 •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 • 시스템 유연성이 높음 • 효율적인 BPR 도구로 활용 가능 • 패키지 선정시 자사 업무 프로세스를 면밀히 검토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3. 국내 ERP 팩키지 시장 규모 • 지난해 발표된 세계적인 컨설팅회사인 가트너그룹 등 유수기관의 보고서들은 향후 5년간 해마다 30%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는 등 ERP시스템 구축산업을 유망한 성장산업으로 꼽고 있다. • 지난 2, 3년간 국내 ERP시장은 주로 독일 SAP, 네덜란드 바안, 미국 오라클, SSA, QAD 등 외국 유명 기업체의 패키지와 국내 대기업을 주고객으로 해 이뤄졌다는 특성을 보이면서 지난해 6백억원 이상의 시장규모를 형성했다. • 올해 국내 ERP시장은 최소한 2천억원 이상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특히 견실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착실하게 성장한 중견기업군들이 이 분야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면서 시장 확산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1998년, 2000억원 1998/01/05, 전자신문

  14. 삼성그룹, 현대전자 등 R/3 Oracle Applications LG전자, 만도기계 등 한국중공업, 현대우주항공 등 BaaN 대우캐리어, 텔슨전자 등 BPCS 두산씨그램, 한국쉘 등 OneWorld 국외 유명 ERP 팩키지 World Class Package 참조 Site : http://www.manufacturingsystems.com/software/Top75.cfm

  15. 한국형 MRP/ERP 팩키지 한국형 ERP 팩키지 한국기업전산원 ( 탑엔터프라이즈 ) 한국하이네트 ( 인프라 ERP) 영림원 ( K 시스템 2.0) 코픽스 ( 마패 V) DIT ( KeyPoint) 삼성 SDS ( UniERP) ( 국내 개발된 MRP/ERP 팩키지만도 30여종에 이름. )

  16. 3. ERP의 도입, 운영, 개발상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 ‘생산계획 및 통제시스템’과 MRP • MRP의 기초 데이터 • 자재명세서, 제조공정도, 재고레코드, 기준생산계획 • MRP 전개 • MRP 운영 I, II • 생산관리 전산화의 실패이유와 해결방안 • ERP 도입, 운영, 개발상의 문제점 • ERP 문제의 해결방안

  17. MRP (‘생산계획 및 통제시스템’과 ‘MRP System’) 자원계획 생산계획 수요관리 MPS 개략용량계획 재고 레코드 상세용량계획 상세자재계획 (MRP) MRP의 목적은 적시에 (Right Time), 적소에( Right Place), 제 물품을(Right Part), 필요량(Right Amount)만큼 조달하는 것이다. 자재,용량계획 (Planned Order) 생산현장관리 구매 관리

  18. MRP의 기본 데이터 • 자재명세서(Bill of Material) • 제조공정도(Routing) • 기준생산계획(Master Production Schedule) • 재고레코드(Inventory Record)

  19. 자재명세서(BOM, Bill of Material) LEVEL 0 0123 Carpet Cleaner LEVEL 1 4651 2927 3804 1115 Housing Assembly Customer Pack Handle Assembly Tank Assembly LEVEL 2 3219 7114 2156 1959 6221 Trigger Assembly Power Cord Instruction Set Handle Bottled Concentrate LEVEL 3 5319 1910 5746 4315 6111 1196 3215 Value Assembly Brush Assembly (3) Tank Sub- assembly Hose (10) Motor Housing Solution Tank Level별 불량율, Level별 소요량, Level별 리드타임, 부품번호

  20. 제조 공정도(Routing) (예) 제조 공정도(Routing Sheet 또는 Operation Sheet) 제 품 명 : 연료 Pin 제품번호 : 12-562 원자재 : 1020 C.R.S 도면번호 : 12-562-D 자재 불출처 : ST-100 작성일 : 91-12-4 변경여부 : N 공정 설계자 이름 : 홍 길 동 공정번호 내 역 기계번호 치공구번호 Set-up 시간 개당 소요시간 10 Face LT 100 V-200 40 0.01 15 Drill. Thread DR 132 - 20 0.10 30 Grind GR 83 30 0.30 80 Finishing DB13 5 0.20

  21. 1 2 3 4 5 6 7 8 기준생산계획(MPS, Master Production Schedule) (예) 총소요량의 산출. (Carpet Cleaner) 계획 週수 계획된 발주량 50 20 40 60 이번 계획 기간 중 추가 발주량 30 30 독립 수요량 10 10 총소요량 50 40 20 70 10 60

  22. 1 2 3 4 5 6 7 8 계획週수 총 소요량 40 0 50 0 0 60 0 60 입고 예정량 120 재고량 60 20 20 90 90 90 30 30 -30 계획오더발주량 100 재고 레코드(Inventory Transaction Record) 기본 MRP 레코드 재고저장소(ISL: Inventory Stock Location)별로 1) 저장, 인출 등에 관련된 Transaction 내용이 정확히 기록, 유지되어야 하며, 2) Planned Transaction의 내역도 정확히 유지되어야, MPS/MRP 계획이 정확하게 된다.

  23. Part No. : 123 Lead Time : 1 Week MPS 40 40 40 40 45 45 45 45 Part No. : 3804 Lead Time : 2 Week Order Qty : 60 Housing Assembly 1 2 3 4 5 6 7 8 Projected Gross Requirement 40 40 40 45 45 45 45 45 Scheduled Receipt 60 Projected Available Balance 60 20 40 0 -45 15 -30 30 -15 45 0 -45 15 Planned Order Release 60 60 60 60 60 60 Part No. : 1196 Lead Time : 2 Week Order Qty : 120 Housing 1 2 3 4 5 6 7 8 Projected Gross Requirement 60 60 60 60 60 60 Scheduled Receipt *120 Projected Available Balance 30 30 -30 30 -30 90 90 30 -30 90 30 Planned Order Release 120 120 MRP 전개 (MRP Explosion) 123 LT=1 3804 LT=2 1196 LT=2

  24. MRP의 운용I • MRP 부품 전개 빈도 • 계획 및 상황의 변경에 따라 새로운 MRP 부품 전개가 필요. • Regenerative vs. Net Change MRP (Bucketless MRP ) • Lot sizing (Fixed lot size, Discrete lot size, lot-for-lot) • 반조립품은 lot-for-lot의 사용이 바람직(연쇄효과)최하위 부품은 lot sizing procedure의 사용이 바람직. • 안전재고 vs. 안전리드타임 • Low-level 코딩 • 부품번호(자리수, Significance, Alphanumeric, 도면번호) • 페깅(Pegging) and Where-used • Engineering BOM, Manufacturing BOM, Modular BOM, Phantom BOM

  25. MRP 의 운용 II • MRP Planner & MRP Planning • Murphy’s Law • 주문 발주 ( i.e. launch purchase order or shop order ) • 필요에 따라 기존 open order의 납기일 조정 • System Planning Factor의 분석, 갱신 (로트 크기, 리드 타임, scrap allowances, 안전재고 ) • 에러 조정, 에러 원인 제거 • 미래의 잘못을 막기 위해 현재 긴급히 조치가 필요한 문제영역 발견

  26. 생산관리업무 IShop Packet

  27. 생산관리업무 II • 필요한 자재의 • 출고를 위해 • 창고 관리인 • 에게보내진다. • 제품원가 • 계산을 위해 • 원가 부서로 • 보내진다. • 자재 재고 레코드를 • 고치기 위해 재고 • 관리 부서로 보내진다. A-1 자재불출전표 부품당 • 식별표가 자재와 • 같이 이동한다. A-2 제품식별표 • Control board를 • 갱신시키기위해 • 작업진행부서로 보내진다 • 작업을 수행할 • 권한을 부여한다 B-1 작업전표 • 작업시간기록을 • 위해 개개인의 • 작업자에게 • 보내진다. • 제품원가 • 계산을 위해 • 원가 부서로 • 보내진다. B-2 시간전표 • 임금 관리 부서로 • 보내진다 • 개인 실적화일 작업당 B-3 이동전표 • 자재 이동권한을 • 부여한다. • 공구를 준비하고 • 반출하도록 공구저장소에 보내진다. B-4 공구불출전표 • 자재 검사 권한을 • 부여한다. B-5 검사전표

  28. 생산관리 전산화의 실패 이유와 해결방안 생산관리 업무는 방대한 양의 데이타를 취급하므로 그 과정에서 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같은 오류가 계속 누적될 경우 마이너스 재고와 같은 우스꽝스러운 일이 수시로 발생하여 결국 전산시스템은 신용을 잃고 실패하게 된다. 전산위주의 개발 ( 인간적 측면 불고려 ) 합리적 시스템의 부재 ( 입력자료의 부정확성 유도 ) 생산관리 전산화의 실패 현장의 불안정성 ( 불량률의 가변성, 불량품의 재가공작업 ) 기술적 능력 부족 ( 개발 및 운영 )

  29. ERP 도입, 운영, 개발상의 문제점 • 국내기업은 선진국에서 경험한 MRP운용과 관련된 문제점이외에“제조 정보 시스템의 부재와 정보의 불확실성”이라는 추가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생산계획’ = ‘월별 또는 주별 생산량의 결정’(?) • 생산활동 진행보고, 공장 가동율, 작업자 임금계산, 제품의 원가계산까지도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Production Packet)까지를 준비하는 것. • 정상적인 생산관리 업무에는 방대한 정보처리 업무가 수반됨 • 선진국은 컴퓨터의 발명이전에도 펀치카드를 이용한 집계기(Tabulating Machine)나 특수복사기(ORMIGâ등)를 사용. •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 • 교과서적인 생산관리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생산관리 전산화는 불가능.

  30. ERP 문제의 해결 방안 실패이유 해 결 방 안 합리적 시스템 부재 • 데이터 입력시의 실수를 최소화하고, 전산 자료와 실제 자료 일치를 • 유도하기위하여는 합리적인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 시스템 구축 후에도 주기적이고 세심한 감사활동을 수행하여야 한다. 전산 위주의 도입/개발 •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은 시스템은 반드시 실패. • 그러나 사용자의 불필요한 요구사항까지 완벽하게 지원할 필요는 • 없으므로 현명한 선택이 필요하다. 기술 능력 부족 • 우수한 인력의 확보 및 지속적 교육, 시나리오에 의한 훈련 불안정성 • 불량, 재작업, 설계변경 등 가변적 업무절차에 대한 대비가 필요. • 이들 요소는 전산화에 상관없이 생산관리의 유연한 운용을 방해, • 그러나 전산화된 Formal한 생산관리시스템에서는 더욱 견디기 힘듬.

  31. 4. Next Generation ERP • 현 MRP/ERP 시스템의 문제점 및 기술 발전 추세 • ERP의 발전 방향 •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 SCM(Supply Chain Management) • PDM(Product Data Management) • Internet, Java, NC • Next Generation ERP

  32. 현 MRP/ERP 시스템의 문제점 및 기술 발전 추세 1. MRP 시스템의 한계점 • Infinite Capacity, Fixed Lead Time의 가정하에 운영됨. • MPS/MRP Planning에 매우 큰 계산 시간을 요구함. 2. Engineering 부분의 지원 미흡 • Engineering 부분 : PDM(Product Data Management) • Manufacturing 부분 : MRP/ERP 3. Supply Chain Management 부분의 지원 미흡 • 단일 기업의 관리 시스템에 그친 측면이 강함. 4. Internet 환경 및 기술의 발전 반영 • Java 기술을 이용한 ERP Application의 개발 • EC(Electronic Commerce)환경 지원 • NC(Network Computer)를 이용한 Client 시스템 구축

  33. Business Strategy ERP Organization Processes Technology ERP의 발전 방향 Strong Support of Supply Chain Management 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APS) Integration with PDM Internet, Java, NC 위의 4가지 기술 분야는 상호 보완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34. 생산계획/스케쥴 Fast Computation - Advanced Algorithm, - In-Memory Processing 재고 Transaction 구매 계획 판매 계획/ Sales Order Advanced Planning & Scheduling(APS)의 특징 • Advanced Algorithm : AI와 OR 영역의 통합 적용 • AI ( Stochastic Optimization, Constraint Satisfaction Algorithm ) • OR( Linear Programming, Integer Programming, Dynamic Programming, etc ) • In-Memory Processing • 대용량 Server를 이용하여 대상 시스템을 단일 모델로 표현하고, RAM에 보관. • 주기적인 변경 반영을 통한 실시간 관리( Up-to-minute Planning & Scheduling )

  35. APS의 기대 효과 • 효율적인 의사 결정 지원을 가능하게 함 • 현재 : 가용 재고와 MPS Plan 결과에 근거한 ATP(Available To Promise) • APS : 생산능력과 일정조정을 고려한 CTP(Capable To Promise) • 모든 사람들이 생산 및 재고 현황을 실시간에 파악할 수 있음( Crystal Ball ). • ERP의 MPS/MRP Planning기능을 대체 또는 보완할 수 있음.

  36. Current Next Generation Forecasting Forecasting Production Planning Production Planning Advanced Planning & Scheduling Engine Master Production Scheduling RCCP CRP Material Requirement Planning Shop Floor Scheduling Shop Floor Scheduling APS의 활용 Lead Time Fixed Routing Sequencing Logic Infinite Capacity Computation Time Finite Resource Planning Fast Computation Source : AMR(Advanced Manufacturing Research)

  37. ERP 업체와 APS 업체의 제휴 및 합병 추세 • 최근 ERP 업체들은 APS 업체와의 기술제휴, M&A 등을 통하여 생산계획 부분 및 Supply Chain Management 부분의 기능 향상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SAP i2 Technologies BaaN Berclain ERP APS PeopleSoft Red Pepper Software Symix Pritsker SynQuest Log’In Manugistics Avyx Ilog purchases CPLEX.

  38. Suppliers Customers Company Design Market Market Convert Distribute Supplier’s Suppliers Customers/ End Users Information, Product, and Funds Flow( Forward and Reverse) Supply Chain Model ( Source Kearney, 1994) Supply Chain (공급망, 유통망) Supply Chain “A system through which organizations deliver their products and services to their customers.” Supplier Consumers Manufacturer Distribution Retail Outlets

  39. Supply Chain Management Supply Chain Management is concerned with moving the product efficiently from supplier through to customer. It includes decisions regarding the optimum quantities and location for stock and then ordering, storing and moving it. Stage 1 : Baseline Purchasing Material Control Production Sales Distribution Technology Stage 2 : Functional Integration Materials Management Manufacturing Management Distribution Organization Stage 3 : Internal Integration Materials Management Manufacturing Management Distribution Attitude Stage 4 : External Integration Suppliers Internal Supply Chain Customers Model of Supply Chain Integration Source : Stevens, “Integrating the supply chain,” IJPDMM, vol. 19, 1989

  40. Real-time ATP Capacity Analysis Trans Trades What-If DRP Integrated Supply Chain Model Forecasts Allocations BOMs Resources Routings Inventory Orders Routes Rates Supply Chain Management Applications - i2 Rhythm Planning / Decision Support ( SCM ) Execution/Transaction Processing( ERP ) Sales Tracking System ATP Shop Floor Control Forecast Production Planning Sales Order Management Inventory Planning Warehouse Planning Inventory Control Customer Information Purchase Planning Capacity Planning Sales Order Management Vendor Management Detailed Scheduling Maintenance Planning Purchase Order Processing Transportation Planning Maintenance Control Invoice Processing

  41. ERP와 Supply Chain Management • Supply Chain Management Solution • 기반기술 : APS(Advanced Planning & Scheduling)의 기술 배경과 동일. • 응용범위 : APS보다 넓으며, ERP의 계획기능을 대체할 수 있음. • 성장속도 : ERP의 확산과 더불어 급속히 늘어나고 있음. • ERP와 Supply Chain Management Solution • 상호 보완 및 경쟁 관계에 있음. • 최근 ERP업계를 중심으로 SCM Solution 업체의 흡수가 진행됨. • Management of Integrated Supply Chain • 사회적 문화적 분위기가 미성숙하여, 미진함. • ERP, SCM, Internet의 보급과 발전에 힘 입어 기술적 가능성은 높아짐.

  42. 구매 영업 상품기획 재무 설계/개발 생산 A/S ERP PDM PDM(Product Data Management) PDM(Product Data Management) : 1. 제품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관리하는 시스템. 2. 제품의 life cycle을 관리하는 시스템. 신제품 개발 PDM ERP 설계 변경

  43. PDM의 확장 Enterprise Scope 제품 설계 및 개발의 범위를 넘어서, 전체 Product Life Cycle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확장되고 있음. (전통적인 ERP 영역과 상충됨.) Logistics Enterprise Corporate Manufacture Department Design Drawings EDM Product Life Cycle Configuration Management PDM PDM II Project Management Data Coverage Source : ( Sherpa, 97)

  44. ERP와 PDM의 관계 ERP와 PDM의 공통점 1. Package 시스템의 도입이 추세임. 2. 구현과정에서 BPR을 필요로 함. 3. Product Data의 공유가 필요함. ERP와 PDM : 통합의 어려움 1. 업무 영역의 차이로 통합적 접근이 어렵다. 2. 표준 접속 방법이 정의되어 있지 않다. 3. 기업의 업무 프로세스 차이로 하나의 통합 시스템 구성이 어렵다.

  45. 신제품 개발 ERP영역의 Data 조회 EBOM의 PBOM 전환 ECR 접수/합의 신규부품의 승인 PDM 영역의 Data 조회 PBOM의 수정 ECR 발의/합의 PDM ERP 설계 변경 통합 데이터 관리, 통합 프로세스, 통합 View ERP와 PDM의 관계 전망 • 상대방 Package와의 인터페이스 방법이 공개되고 있음. • 상대 영역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ERP/PDM을 통합하고자 시도되고 있음. • ERP/PDM을 동시에 구현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함.

  46. Internet의 성장 - Internet, Web, Java, NC “ Internet은 TCP/IP 기반의 computer들로 연결된 물리적으로는 광대한 network이며, 논리적으로는 지식과 정보의 창고이다. ” Hypertext Protocol : 90년대 초, Hypertext 기반의 정보 시스템 개발에서 시작됨(CERN). Web Browser : 93년 Mosaic, 94년 Netscape, 95년 Explorer, … Java : 1990-1995, Sun Microsystem에서 객체지향 언어인 Oak(Java의 전신) 개발 95년 Java 발표, 96년 JavaBeans(component model of Java), 97년 Enterprise JavaBeans, … NC : 95년 Oracle의 래리 앨리슨 사장이 개념 제시, 시제품 출현

  47. ERP, Internet 기술의 수용후의 기대 효과 • Supply chain의 모든partner가 ERP 시스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소비자의 수요 정보( POS: Point of Sales )를 제조 계획 수립 과정에 실시간 반영 할 수 있다. • ( Make-to-Order 환경에서 매우 중요한 ) Product Configuration을 고객 site에서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 Web browser기반의 client와 NC( Network Computer )의 사용은 ERP 구축 및 유지 비용을 줄여 주며, 사용자 편의성을 높여 줄 것이다.

  48. Java의 특징과 장점 • Host 컴퓨터에서 Applet을 다운로드 받아, Client에서 실행시킨다. - Centralized Administration이 가능하다. • Web Browser 상에서 실행된다. - Operation System과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 지리적으로 분산된 환경에서 활용 가능하다. • 일반 CGI 프로그래밍 환경보다 우월하다. - Form 기반의 Interface에 비해, 사용하기에 편리하다(GUI). - 입력 데이터에 대한 오류검사를 Client에서 수행할 수 있다. - 사용 Database와의 인터페이스도 용이하다(JDBC). 1 2 3

  49. Internet/Intranet (TCP/IP) Internet/Intranet (TCP/IP) Client Server Client Server 1) Message 1) Message Web Server Web Server Web Browser Web Browser 4) HTML 4)Java Applet Applet 실행 CGI 3) Java Applet 2) Read Java Applet 3) HTML 2) 실행 CGI 실행화일 일반 CGI와 Java 실행구조의 비교 Java 일반 CGI

  50. Java 기술의 응용 사례 • Client Interface 중심 • ERP : R/3, BaaN IV, etc. • Office Automation : Corel, IBM Lotus Notes • NC : JavaStation • PDM : Sun-Metaphase, IBM PM • FA, Game, DB, Chip 등 다수의 응용 분야 현재 • Server Architecture (계획 또는 진행중인 내용 ) • QAD, JavaBeans을 이용한 Supply Chain Management 모듈 개발 • PeopleSoft : Java를 이용한 Client 저작 도구 PeopleTools 개발 Java를 이용한 Workflow 연동 • Oracle : WWWW(Web Without Workflow Worthless) Java를 이용한 Workflow 시스템 개발 • NC를 이용한 dummy terminal의 대체(E.D.Smith) 미래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