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6

Email System Scalability

Email System Scalability 2003 년 12 월 10 일 한덕희 Email Service System Agent Delivery Storage Contact Daum Hanmail 김태호 → 김경화 → Daum 메일팀 팀장 유재혁씨 → 11 월 26 일 서울 본사에서 인터뷰 . Neowiz Sayclub Mail Service 김태호 → 최우형 → Mail Service 구현 프로젝트 팀장 남세동씨 → 12 월 5 일 교내에서 인터뷰 . Microsoft Hotmail

jan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Email System Scalability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Email System Scalability 2003년 12월 10일 한덕희

  2. Email Service System Agent Delivery Storage

  3. Contact • Daum Hanmail • 김태호 → 김경화 → Daum 메일팀 팀장 유재혁씨 → 11월 26일 서울 본사에서 인터뷰. • Neowiz Sayclub Mail Service • 김태호 → 최우형 → Mail Service 구현 프로젝트 팀장 남세동씨 → 12월 5일 교내에서 인터뷰. • Microsoft Hotmail • 김태호 → 유재구 일반 기업 고객 사업부 차장 → 최임연 과장, 김연진 과장 → 송동주 대리(Hotmail engineer) → 12월 3일 관련 정보공개가 불가능하다는 email 받음.

  4. Daum Hanmail • Daum 메일팀 팀장 유재혁씨 인터뷰 • 1995년 Daum 설립 • SI 하면서 얻은 수익을 mail system 구현에 투자하는 식의 열악한 start up • 1997년 5월 Hanmail start up • Sun Microsystems Ultra 2 Workstations. • Web interface + sendmail • sendmail configuration 다룰 수 있는 사람조차 얼마 없는 환경. • 2MByte 계정 용량 • 10만명을 견뎌보자라는 목표. • HDD 100GB 정도 (50%정도의 utilization 예측)

  5. Daum Hanmail • 1998년 • 사용자가 30만 명을 넘어가면서 서버 과부하 문제 발생 • Silicon Graphics, Inc Origin 2000으로 hardware 변경, 30만 무난히 서비스. • 100만을 내다보며, 더 이상 hardware 교체로 급증하는 user를 모두 처리할 수 없음 → 분산처리 issue 대두. • 분산처리를 위한 sendmail 대대적 수정. • 메일 수신 & 메일 전송 & 사용자 데이터 저장 부분을 나눔. • Unix-like system을 연결하여 분산 system 구축. • 분산 처리 bottleneck • mail delivery module. • 하나의 powerful한 server로 관리 • 초당 1000건 처리, 현재 2억 account 처리 가능

  6. Daum Hanmail • 1999년 • 2MB를 5MB로 quarter를 늘림. • 1000억 투자로 hardware를 잔뜩 늘림. • 1000만을 내다보며 필요한 hardware를 workstation급 server로 확충. • Backup solution 구축 • 기존의 back up (mail data, 사용자 profile)은 단순 file copy 수준. • 많은 량의 data를 빠른 속도로 back up하기 위한 solution 개발.

  7. Daum Hanmail • 2000년~2001년 • System downgrade • Software → linux porting • Hardware → PC(몇 대인지는 밝힐 수 없음)

  8. Daum Hanmail • 현재 scalability에 대한 고려 • 1억~2억 account에서 수렴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으며 현재 hardware도 거기까지는 support. • Software 구조는 현재 scalable • Hardware는 앞으로 발전 할 것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음.

  9. Daum Hanmail • Scalability issue is solved. • Spam mail is current email system issue • 평균 60% • Daum Hanmail은 50%가 안됨. • Daum의 하루 email 처리량.(1억여 통-비밀) • Spam 처리 solution 개발(6개월 전부터) • 현재 성과가 있음. • SMTP 프로토콜 자체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

  10. Neowiz Sayclub Mail Service • Mail Service 구현 프로젝트 팀장 남세동씨 인터뷰 • 2000년부터 service • 외주 → 대용량에 적합하지 않음. • 2001년~2002년(10개월) • 직접 대용량 mail service software 개발. • Postfix를 수정. • PC-Linux system에 Berkley DB를 이용. • Raid HDD • PAS(Web-server 20여대), PDS(20여대), PSS(20여대) • 1000만 여명 가입자.

  11. Neowiz Sayclub Mail System • 현재 • 지금 구조 자체가 PC 서버를 계속 늘리면 거의 별 문제 없이 늘릴 수 있는 software 구조임. • 하루 약 2000만 통 처리. • PDS 구현에 가장 어려움을 겪었음. • PSS 분산 스토리지 구현에도 어려웠음. • 현재 가장 큰 이슈는 spam mail. 하지만 따로 이것과 관련하여 특별한 action은 취하지 않고 있음.

  12. Daum versus Neowiz

  13. Daum versus Neowiz agent agent delivery delivery storage storage

  14. Engineering approaches • Daum과 Neowiz 둘 다 “분산처리”를 선택하여 mail service system의 scalability 문제를 해결. • Daum은 Mail Delivery Module을 하나의 workstation이 관리하는 반면에 Neowiz는 20개의 PC를 이용하여 분산처리. • Workstation vs Many PCs • Many PC is powerful enough for mail service.

  15. Conclusion • 분산처리는 Email Service System에서 Scalability Issue를 해결하는데 한가지 해결책이 될 수 있다. • Engineering은 Money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Scalability를 고려하여 software를 만들 수 있는 회사는 우리나라에 많지 않다.(남세동) • Scalability를 고려할 때 현재 system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발전된 system까지 미리 계산해 넣어서 engineering을 할 수도 있다.(Daum)

  16. Reference • www.daum.net • www.sayclub.com • Daum 메일팀 팀장 유재혁씨 인터뷰 • Neowiz Sayclub Mail Service 개발 팀장 남세동씨 인터뷰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