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1

한국 농어촌공사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국제농업협력사업 현황 및 해외사업 추진사례

한국 농어촌공사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국제농업협력사업 현황 및 해외사업 추진사례. 1 . 한국농어촌공사 (KRC) 소개. government-run organization. A reliable. under Korean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y. Implementing. consulting services. for domestic and overseas projects. Projects;.

lundgre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한국 농어촌공사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국제농업협력사업 현황 및 해외사업 추진사례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한국농어촌공사(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국제농업협력사업 현황 및 해외사업 추진사례

  2. 1. 한국농어촌공사(KRC) 소개

  3. government-run organization A reliable under Korean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y. Implementing consulting services for domestic and overseas projects. Projects; Agricultural land and rural water development, water management, flood control, ground water development, irrigation and drainage, farmland consolidation, rural road network, rural housing complex 1. 한국농어촌공사(KRC) 소개 KRC is...

  4. 설립연도 1908년 2월 업무분야 조사 용역, 관개시설 운영 등 ’11년 예산 4조 5천억원 직원수 5,400여명 조직구성 본사, 9개 지역본부, 93개지사 등 웹사이트 http://www.ekr.or.kr/ Experts : (engineering)civil, geology, electric, mechanics, architecture, environment (sociology)agriculture, agro-economics, agro-sociology, agrology 1.1 공사 일반현황

  5. CEO 감사 이사회 1.2 조직도 지역개발본부 부사장 및 기획조정본부 • Office of Overseas Project • Office of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Office of Farmland & Irrigation Development • Office of Project Development • Office of Planning & Coordination • Office of Project Planning • Office of Business Management • Office of Information Technology Promotion 유지관리본부 농지은행 및 경영지원본부 • Office of Water Resources Management • Office of Irrigation Facility Safety Management • Office of Green Project • Office of Environmental Geology • Office of Farmland Bank • Office of Farmland Fund Management • Office of Human Resources & Welfare • Office of Management Assistance • Compensation Team 새만금본부 농어촌연구원 • Office of Saemangeum Development • Office of Research Planning • Research Group on Rural Community Development • Research Group on Rural Environment 농산업도농교류본부 기술본부 인재개발원 9 지역본부 6 사업단

  6. 2. 주요사업

  7. 수자원(농업용수) 개발 Irrigation Implemented More than 500 domestic and international irrigation projects Currently operating irrigation schemes for an area of 519,000ha in KOREA Dam Constructed more than 3,000 dams for agricultural, industrial, municipal water supply Provided feasibility study, detailed design, tendering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Flood Control The wide range of experience in Flood Control Projects Mitigating the flood damage in flood-prone area, handed over FC Technology to clients. Groundwater Development Developed groundwater as a source of high quality water for a variety uses ▶ municipal, irrigation, industrial, hot spring, geothermal water etc. 2. 주요사업

  8. 장성댐 전경

  9. 농어촌개발 Rural Housing Offering clients the future-oriented residential services Implementing 172 Advanced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Green Energy Provides services in rural areas for energy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Involved in small-scale hydro, solar and wind electric power plant including transmission line Rural road Participated in the survey, design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for 62,000km of roads in counties and provinces High Value Crop Develop Plan, Design, Construction of High Value Items Construction of Automated Glass houses

  10. 농어촌 환경개선 Infrastructure Participated in detailed design and construction supervision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ater Quality Improvement Improve water quality with technical manpower and equipment for clean water Monitoring water resource and water pollution in the rural area. Environment Farming Pilot Operating a pilot sit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to increase production Contributes to conserve the diversity of biological species and natural ecosystem Environmental Geology Preventing groundwater pollution and soil contamination Possessing manpower and technology to investigate, evaluate and purify pollutant

  11. 지하수 개발 전경

  12. 농업용지 개발 Large-scale Comprehensive Agricultural Development Since 1970, implemented 22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rrigation & drainage development Tideland reclamation Implemented to enhance food security and foster large-scale agriculture 76thousand ha was already reclaimed and 60thousand ha is under reclamation Farmland Consolidation & replotting Developed hundred thousands of undeveloped paddy field to promote competitiveness Paddy fields and upland are re-plotted, better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and road networks Upl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Implemented growing cash crop such as vegetable, flower, fruit and dairy farming Rehabilitated 52thousand ha of upland since 1994

  13. 새만금 종합개발사업

  14. 농업시설 유지관리 Irrigation Facilities O & M Supplied irrigation water to 381,625ha Implemented “integrated rural water management plan” for reducing the O&M costs and stable water supply by automated water control devices. Irrigation Facilities Rehabilitation Rehabilitating continually these facilities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mproving conveyance capacity and reinforcement of facilities Facilities Safety Diagnosis A professional group is implementing the diagnosis of major agricultural infrastructure including dams, embankments, pumping stations, bridges and the others more than 2,000 hydraulic facilities Water supply & Sanitation Developing water supply systems for drinking, agricultural and industrial water Implementing installation of groundwater well, pumps, water tanks and sanitation system etc

  15. 3. 해외사업 현황

  16. 3.1 기초자료 - 농업현황 - 농업개발정책

  17. 농업현황 1) 인구변화 “11년 세계인구 70억 명 돌파!” ■ 인구증가 추세 현황 → 지난 100년 동안 10억 인구증가 → 최근 10년 동안 10억 인구증가 → 40년 후 100억 인구 돌파 (자료출처 : 타임)

  18. 2) 곡물이용의 다변화 ■ 곡물수요의 다변화 ■ 곡물이용 현황 (백만톤) (생산량) • ○ 미국,EU 등을 중심으로 바이오에너지 • 사용으로로 인한 원료곡물인 • 옥수수, 유지작물, 설탕작물 등의 수요증가 • - 미국 : 바이오에탄올 혼합률 • 10% → 15% 상향조정 • - EU : 수송에너지 중 바이오 에너지 사용 확대 • ’10년 5.75% → ’20년 10% 옥수수 (소비량) (소비량) 밀 (생산량) (생산량) 콩 (소비량)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19. 유럽 일본 중국 3) 세계 농지확보 현황 농업영토 확장 ‘총성 없는 전쟁’ 세계 농지확보 중 국 일 본 유 럽 ○ 아프리카, 남미등농지 취득 대대적 지원 ○ 필리핀, 라오스, 러시아, 호주 등 농경지 확보 ○ 규모 : 210만ha ○ 아프리카, 남미 등토지확보 ○ 규모 : 1,500만ha(서울면적 250배) ○ 브라질, 아르헨티나, 러시아 등 해외지분 확보 ○ 규모 : 1,200만ha(서울면적 200배) 2009년 외국에 임대·매매된 아프리카 토지 현황 중 동 ○ 해외 농업영토 확장 준비중

  20. 4) 식량안보 ■ 우리나라 곡물자급율26.7% →세계 5위 곡물 수입국 ※ 년도별 평균 곡물가격(밀, 콩, 옥수수) (단위 : $/톤) 세계 곡물파동 콩 밀 옥수수 ‘00 ‘01 ‘02 ‘03 ‘05 ‘04 ‘06 ‘07 ’01 ’02 ’03 ’04 ‘05 ‘06 ’07 ‘08 ‘09 ’10 ‘11 ‘08 ‘09 ‘10

  21. ■시사점 식량위기의 극복은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물량확보가 중요” ○ 해외농업 개발을 통한 안정적인 곡물 공급망 확보 ○ 우리의 농식품 및 연관산업 해외진출 서방선진국의 진입장벽 3대 주요분야 : 식량유통, 에너지, 방위산업 *7대 메이저 : 카길, 컨티넨탈, 루이 드레퓌스, 벙기, 안드레, ADM, 콘아그라

  22. 농업개발정책 • 1) 해외농업개발 10개년 계획(’09년) ■ 목 표 ○ 주요 곡물의 해외 안정적 공급망 확보 - ’18년까지 국내 소비량의 10% 공급망 구축 ■ 해외농업개발사업 장기 목표치 (단위 : 만톤) ※’07년 우리나라 주요 곡물 소비량(밀 334, 콩 141, 옥수수 904만 톤) 기준

  23. ■ 목 표 ○ ’18년까지 38만ha의밀, 콩, 옥수수 해외생산기반 확보 ■ 해외농장개발 기획진출 전략 ( ‘11.6.30) ○ ‘18년까지 257천ha의 해외 곡물 생산기반 확보 ○ 경쟁력 있는 민간기업과 공사가 공동으로 농장개발 진출 2) 해외농업자원 확보전략(‘11.4.7) ■ 추진방향 ○ 민간주도 개발 한계극복을 위해 민간·공공 합동 진출 추진 - 농장과 연계된 전후방 연관산업 동반진출 - 인력양성, 기술지원, 정보시스템 구축 등 인프라 지원

  24. 3. 복합산업단지(MIC:Multi-Industrial Cluster) 후방산업 전방산업 ○ 식품가공 ○ 물류 ·유통 ○ 기반인프라 ○ 종 자 ○ 농기계 ·농자재 ○ 비료 ·농약 농업개발 (곡물생산) 소 비 자 ■ 농업을 중심으로 관련 제조업(가공, 농자재, 비료, 농약) 녹색에너지 발전사업(수력, 풍력, 바이오 매스)과 친환경 레저산업까지 포괄

  25. 3.2 해외사업 현황

  26. 3.2 해외사업 • 기술용역 사업 • 2) 해외농업개발지원사업 • 3) 국제농업협력사업 • 4) 한국 초청연수사업

  27. ■ 추진실적 ○ 대형 SOC사업 발굴과 수주 등 新사업영역 개척 - ’10년까지 24개국 95개 사업 실시 - ’11년 11개국 14개사업시행중 1. 기술용역사업

  28. ■해외기술용역사업 ; ‘11년 추진현황 관개개선사업 꾸밀라 농촌종합개발사업 사바나켓 농업종합개발사업 타당성조사 다우헤냐 농촌종합개발사업 새마을운동 모델마을사업 힌헙군 관개용댐 및 수로건설사업 캄퐁참주 농촌종합개발사업 소규모저류지 건설사업 할루어강 다목적댐 타당성조사 방글라데시 라오스 말리 필리핀 에티오피아 가나 캄보디아 케냐 DR콩고 인도네시아 앙골라 탄자니아 까리안 도수로 건설 타당성조사 서부따룸 관개관리사업 농업현대화 2단계사업 아웬도 식수개발사업 중부 깔리만탄 농업개발사업 츄엔게 농촌마을개발사업 모로고로 농촌종합개발사업 떼룩나다 관개시설개보수 타당성조사

  29. ■해외기술용역사업 ; 대형 SOC사업 발굴 및 수주 추진현황 D.R. 콩고 렘바임부정수장건설사업 • 총사업비 : 330백만불(1단계 :67백만불) • 사업내용 : 정수장 건설(20만톤/일) 라오스 사반나켓농촌종합개발사업 • 총사업비 : 65백만불 • 사업내용 : 관개면적 8,700ha • 저수지, 양수장 등 관개시설 건설 필리핀 할루어강다목적댐 개발사업 • 총사업비 : 304백만불 • 사업내용 : 댐건설(6개), 수력발전소(2개소) • 수로건설(81km) 인니 까리안댐건설사업 • 총사업비 : 250백만불 • 사업내용 : 길이 521m, 높이 60.5m • (저수량 2억톤) 탄자니아 잔지바르관개시설 건립사업 • 총사업비 : 57백만불 • 사업내용 : 저수지(6개) 및 관정개발 • 경지정리(2,100ha) 탄자니아 루피지농업종합개발사업 • 총사업비 : 58백만불 • 사업내용 : 생산단지 조성(5,000ha) • 곡물가공및 저장시설

  30. ■ 추진실적 ○ 민간기업의 해외농업 진출 확대를 위한 융자 등 지원 - ‘09~’10년까지 7개국 19개 기업 지원 - 융자지원 확대 : (’10년) 210억원 → (’11년) 300억원 확대 -’11년 해외농업환경조사 6개국, 해외통신원 10개국운영, 전문인력 양성 2. 해외농업개발지원사업 <농장형(서울사료)> <OADS 홈페이지>` <유통형(코지드)>

  31. ■해외농업개발지원사업 ; 융자지원현황 러시아 (6개 기업) 남양 유니베라(’09) 아로 (’09) 바리의 꿈 (’09) 서울 사료 (‘09,’10) 코리아 통상 (’10) 셀트리온 (‘10,’11) (단위 : 백만원) 몽골 (1개 기업) 알타이티앤씨 (’11) 캄보디아(6개 기업) 코지드 (‘09,’10,’11) 충남해외농업개발 (’09) 성문(’10) MH에탄올 (’10,’11) 에이퍼플 (‘11) 전남해외농업개발 (‘11) 브라질 (2개 기업) 돌나라통상 (’09) 지비루트 (’10) 라오스 (2개 기업) 에코프라임 (‘09) 코라오 에너지 (‘09) 인도네시아 (3개 기업) 팜스코 (’09) CDM인터내셔널 (’09) 삼양제넥스 (’10) 뉴질랜드 (1개 기업) 서해건설 (’10) 필리핀(1개 기업) 코민 (’10)

  32. 3. 국제농업협력사업 ■ 추진실적 ○ 개발도상국가의 식량문제 등 농업농촌문제 해결 지원 - ’11년 부터 공사가 전담시행기관으로 지정 - ’11년 14개국 23개 사업 100억원 규모 농업협력사업 추진 -캄보디아 등 8개 국가에 대한 “국가별 협력전략” 수립 <캄보디아 쌀생산기술 지원> <D.R.콩고 식수개발>

  33. ■ 추진절차 • 수요조사 및 발굴 – 타당성조사 – 사업심의회 – 실시협의 • (협의의사록 R/D 체결) – 입찰공고 – 사업자선정 – 착수 • - 사업관리 – 중간평가 – 사업완료 – 최종평가 • ■ 사업구성요소 • 시범사업, 전문가파견, 기자재지원, 한국초청연수, 워크샵

  34. ■국제농업협력사업 ; ‘11년 추진현황 부탄 농촌개발 모텔마을 조성사업 몽골낙농산업 발전을 위한 기술 및 경제 경영지원 컨설팅 카메룬 벼농사 기계화단지조성 한-몽골 농업협력위원회 후속사업 미얀마 우수농산물 재배기술 전수사업 르완다 농업 및 동물자원 개발사업 라오스 농촌개발 시범사업 컨설팅 에티오피아 관개시설 개보수 캄보디아 캄퐁주 상이군경마을 지원 캄보디아 씨엡림 산림황폐지 복구사업 에티오피아 농업용수 개발사업 캅보디아 농촌마을 소액금융지원 시범사업 캄보디아 쌀산업 일관체계 구축 필리핀 농촌개발 파푸아뉴기니 마 생산, 가공 및 생태마을 조성 지원 베트남 채소 계약재배 시범단지조성 ※ SEARCA (아시아 다국가)농촌개발협력사업 ※ FAO 협력사업 - 개도국 초국경 동물질병 대응능력 제고 - 아프리카 연안국 어업Data 수집 및 개선 지원 베트남 원예특용작물 생산시설및 기술지원 모잠비크 영농기술교육시스템 구축 DR 콩고츄엔게 농촌종합개발 가나 농업관개시설 설치지원사업

  35. Ⅲ. 사업현황 4. 한국 초청연수 사업 ■ 추진실적 ○ 우리나라의 선진 농업기술을 개도국에 기술전수 실시 - 新연수모델 개발을 통한 사업영역 창출과 공사 브랜드가치 제고 - ’10년까지 개도국 91개국 2,148명, ’11년 10개과정 203명 연수 실시 ■ 성과지향형 다년차 新연수모델 ○ 현재 캄보디아 시행 중

  36. ■한국 초청연수 :’11년 시행 연수과정 현황 세네갈 관개 및 농업용수 개발` 미얀마 농촌개발 정책과정(고위급) 관개 및 농업개발 과정(다국가)` 라오스 관개 및 농촌개발 캄보디아 캄퐁참 농촌개발(고위급) 캄보디아 농촌개발 다년차 과정 캄보디아 다년간연수 현지전파교육 라오스 미얀마 카메룬 캄보디아 세네갈 케냐 DR콩고 인도네시아 케냐 아웬도 식수개발사업 인니 중부 칼리만딴 농업개발 계획수립 과정(고위급) D.R.콩고 츄엔게 농촌개발(고위급)

  37. 4. 해외사업 추진사례

  38. 1. 해외기술용역사업 - 현지 문화 (지역별, 종교별) 한국인의 특성을 일방적으로 주입 곤란 - 현지행정제도 2. 한국 초청연수사업 - 연수생들의 입장에서 연수과정 설계(의식주 등) -단순 지식습득이 아닌 문화체험 및 교류

  39. 5. 공적개발원조(ODA)의이해

  40. 1. ’10년 우리나라 원조사업 결과 - 총 1조2천억 : 유상 6천2백억, 무상 5천8백억 - 아시아 52%(최대: 베트남), 아프리카 17% 2. ’11년 무상원조 예산 총7,600억원 중 농림수산식품분야(농식품부+KOICA :746억원) 3. 향후 추진방향 - ODA규모를 ’15년까지 GNI대비 0.25%로 확대 (현재 0.1%이며 미국0.2%, 영국0.52%) - 비구속성 비율을 ’15년까지 75%수준으로 향상 무상100%, 유상50% (현재 36%, 미국75%, 영국100%, 프랑스82%)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