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61

“ 글로벌 초우량 기업은 무엇인가 ” 대한 상공 회의소 2004년 1월 16일

“ 글로벌 초우량 기업은 무엇인가 ” 대한 상공 회의소 2004년 1월 16일. 목 차. 한국 경제의 현주소 및 잘못된 믿음 한국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해법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 국내 주요 기업 성과 분석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 한국 1만달러 트랩에 빠지는가.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1인당 GDP, 단위=달러. 국민소득 1만달러 국가의 두 갈래 선택. 1인당 GDP. 2만달러. 1만달러. 년도. 년도. N 커브형. M 커브형. 출처: 매일경제신문사.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 글로벌 초우량 기업은 무엇인가 ” 대한 상공 회의소 2004년 1월 16일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글로벌 초우량 기업은 무엇인가” • 대한 상공 회의소 • 2004년 1월 16일

  2. 목 차 • 한국 경제의 현주소 및 잘못된 믿음 • 한국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해법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 • 국내 주요 기업 성과 분석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

  3. 한국 1만달러 트랩에 빠지는가 아르헨티나 베네수엘라 1인당 GDP, 단위=달러

  4. 국민소득 1만달러 국가의 두 갈래 선택 1인당GDP 2만달러 1만달러 년도 년도 N커브형 M커브형 출처: 매일경제신문사

  5. 달러 OECD 선진국 평균소득 한국 - ’70 ’72 ’74 ’76 ’78 ’80 ’82 ’84 ’86 ’88 ’90 ’92 ’94 ’96 ’98 ’00 ’02 OECD가입 OECD 선진국과의 국민소득 격차폭 확대 출처: 통계청, 한국은행

  6. 지속적인 국가 경쟁력 하락 1995년 2003년 국가 신용등급(무디스) A1 A3 국가경쟁력 순위(IMD) 24위 27위 (2002년) 출처: 무디스, IMD, 삼성경제연구소

  7. 13.31 % 13.31 13.19 12.97 12.98 12.77 12.55 한국최근 5년평균 10.9%( ’98~’02 ) 1981 1982 1983 1984 1985 1986 1987 기업이 투자를 하지 않습니다 일본 GDP대비 설비투자 비율 2만달러 (세계 5위) 1만달러 (세계 18위)

  8. 한국 1 기타 13 영국 5 프랑스 5 독일 6 미국 65 일본 6 글로벌 브랜드가 경쟁력입니다 국가별 톱100 브랜드 보유수 톱5 글로벌 브랜드 가치 (억 달러)

  9. 산업이 성장을 견인한다 ? 1 내수 시장 키워 수출의존도 낮추자 ? 2 서비스업 주도의 경제 성장 ? 3 경제력 집중 억제하고 중소기업 키워야 한다 ? 4 기업을 먼저 개혁해야 한다 ? 5 한국경제 발목잡는 그릇된 믿음 5개

  10. 국내 시장점유율 (%) 28 기타 33 37 57 72 67 톱 3 63 43 통신 전자 조선 자동차 1. 산업이 성장을 견인한다 ? 한국 대표산업 선도기업이주도

  11. 15.9 15.3 14.4 9.6 8.0 5.6 3.4 3.1 3.1 1.1 현대자동차 포스코 삼성전자 LG전자 현대중공업 한국 선도기업 세계 산업성장도 견인 국내 기업 매출액 성장률 (96 ~ 01, %) 국내 기업 세계 산업 평균 경쟁력 있는 글로벌 기업 육성해야

  12. 2. 내수시장 키워 수출의존도 낮추자 ? GDP 대비 가계신용 총액 비율 (%) 미국= 79 74 73 일본= 69 62 15.2 51 44 신용 불량자비중 (%) 11.1 9.6 9.5 9.3 03년 9월 99년 00 01 02 ‘내수주도 성장’ 실험은 실패

  13. 11.9 수출 5.7 5.2 GDP 3.5 수출 2.6 2.4 내수 내수 GDP 영국 (1987 ~ 1996) 아일랜드 (1988 ~ 1996) N커브국가 2만달러 달성 주역은 수출 연평균 성장률 (%)

  14. 명목 GDP 9,920억 달러 실질 성장율 5% 4,760억 달러 21% 1.6% 자본 형성 27% 75 4.1 민간 및정부 지출 72 61 13.1 41 수출 -39 수입 -56 13.4 2002년 2010년 한국도 두자리 숫자 수출증가 필요 소득 2만 달러 달성 시나리오 수출 역량 더 강화해야 합니다

  15. 190조원 171 343조원 39 128 43 90% 90% 176 수출비중 10% 19 7 0 10% 수출 증가분 (90~01년) 서비스 총생산액 (02년) 운송/통신 금융/ 비즈니스서비스 기타 제조 서비스 3. 서비스업 주도로 경제성장 ? ‘제조업 사랑’ 지속돼야 합니다

  16. 12.7 9.7 7.3 3.6 한국 (00) 프랑스 (99년) 미국 (99) 일본 (99) 서비스업 경쟁력 제조업 수준으로 비즈니스 서비스 GDP 기여도 (%) 제조 · 서비스 상호보완 발전

  17. 소득 1만 달러이상23개 OECD국 평균 35 33 30 30 29 21 12 GDP 순위 미국 1 일본 2 독일 3 영국 4 프랑스 5 한국 13 4. 경제력집중 억제해야 한다 ? GDP 대비 10대 기업 총 매출액 (2001, %) 한국 기업집중도 결코 높지 않습니다

  18. 34 27 21 13 1만 달러 미만 (7개국) 1만~2만 달러 (5개국) 2만~3만 달러 (12개국) 3만 달러 이상 (5개국)(1) (1) 룩셈부르크 제외 2만달러까지는 경제력집중 불가피 OECD국 소득규모별 경제력 집중도 비교 (2001, %)

  19. 제조업 생산액 전체 중소기업 매출 226조원 대기업 50% 53% 53% 하청 매출 중소기업 47% 시장 매출 50% 47% 2001년 1995년 2001년 중기 생산액 제조업 절반 중기 절반이 대기업 의존 “대기업 투자해야 중기도 삽니다”

  20.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 2002년 매출 삼성전자 40조원 16% 1.2조원 6% ‘강한’중소기업만으론 ‘2만달러’불가능 세계 1위 14개독립 중소기업 중소기업도 육성하고 대기업도 키워야

  21. 정부 기업정책 경쟁력 1위 핀란드 영국 미국 10 정부가개선할 부분 선진국 20 한국 30위 기업이잘한 부분 기업 경쟁력 30위 20 10 1위 5. 기업을 먼저 개혁해야 한다 ? 2003년 IMD 평가 정부 기업정책이 바로 개혁 대상

  22. 기업 키워야 성장 두자리 숫자수출증가 제조업위한 서비스 발전 세계시장 선도하는 강한 경쟁력 갖춘 대기업 육성 1 2 3 잘하는 대기업 더 잘하게 정부 기업정책 대수술 기업정책 혁신 세계 초일류 정부경쟁력 4 5 한국경제 ‘진실과 시사점’ 글로벌 톱10기업·톱10정부로 혁신해야

  23. 글로벌 톱10 기업 글로벌 톱10 정부 기업 키워야 성장 두자리 숫자 수출 증가 제조업 위한 서비스 발전 잘하는 대기업 더 잘하게 정부 기업정책 대수술 소득 2만달러 G10국가 한국 소득 2만달러 G10국가

  24. 목 차 • 한국 경제의 현주소 및 잘못된 믿음 • 한국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해법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 • 국내 주요 기업 성과 분석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

  25. 수익성 자본비용 10위 1위 매출 순위 글로벌 톱10 기업이란 ? 자본비용 이상 수익성 글로벌 톱10 기업 글로벌 산업내매출 톱10

  26. 수익성 자본비용 10위 1위 매출 순위 전세계 글로벌 톱10 기업 229개 자본비용 차감후 평균수익률 6% 평균 매출 230억달러

  27. 산업별 글로벌 TOP 10 기업 수 현황2001년 결산자료 기준: 39개 산업, 229개 기업 해당기업수(개) 1 2 3 4 5 6 7 8 9 10 • 항공 • Diversifiedoutsourcingservices • 무역 • Building material,glass • Engineering,Construction • 철도 • Computers,office equipment • 전기통신 • Computer anddata services(Incl. Original 8.computer software) • Household andpersonal products • 항공우주 • Oil and gasequipment,services • Miscellaneous • 금속 • Network, othercommunicationsequip • 전자, 전자 장비 • Energy • 자동차 부품 • Semiconductors,other components • 화학 • Entertainment • Food: production • Forest and paperproducts • General merchandisers • Industrial andfarm equipment • Mining, crude-oilproduction • 석유 정제 • 출판, 인쇄 • Utilities: gas and electric • Wholesalers: electronics,office quip • Food and drugstores • Scientific, photo,control equip • Specialty retailers • Wholesalers:food and grocery • Wholesalers:health care • Food: consumerproduct(Incl. original 4.beverage) • Food: service • 우편, 화물운송 • 제약

  28. 글로벌 TOP 10 기업 예시

  29.    미국 150 기업수 일본 영국 20 프랑스 독일 15 네덜란드 캐나다 10 이탈리아 핀란드 5 한국 아일랜드 명목 GDP(조 달러) 0 0 0.5 1 1.5 2 5 15 톱10 기업수가 국가 경제력 좌우 톱10 기업수와 GDP 규모 관계 (2001) 한국에는 단 1개 (삼성전자)

  30.    150 기업수 20 15 한국, 2010 한국, 2003 5 0 명목 GDP(조 달러) 0 0.5 1 1.5 2 5 15 톱10 7개는 있어야2만불 달성 7

  31. 10% LG전자 5%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삼성SDI 자본비용 차감 수익성 0% 현대중공업 SK 현대상선 -5% 한진해운 포스코 대한항공 -10% 25위 20위 10위 1위 20 10 0 글로벌 매출 순위 1차 톱10 기업 후보 9개 존재 고강도 구조조정 없이 톱10 달성 불가능

  32. 15%  SK텔레콤 대우조선해양 5% 신세계 롯데쇼핑 KTF 대우일렉트로닉스 KCC 자본비용차감수익성 기아자동차 0% 삼성중공업 LG생활건강 S-Oil LG전선 삼성전기 LG칼텍스-정유 KT LG필립스 LCD -5% 아시아나 항공 현대오일뱅크 -10% 50위 40위 30위 26위 글로벌 매출순위 2차 후보 기업도 18개 지속적 경쟁력 제고와 구조조정 필요

  33. 목 차 • 한국 경제의 현주소 및 잘못된 믿음 • 한국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해법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 • 국내 주요 기업 성과 분석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

  34. SUMMARY (I) 200대기업분석 • 국내 200대 기업은 1998년 이후 재무 안정성 향상을 달성함과 동시에 2002년 자본비용 이상의 수익성을 달성함으로써 가치파괴에서 가치창출로 전환하였음 • 그러나, 2002년의 성과 개선은 자본비용의 하락에 따른 효과가 컸으므로,지속적인 수익성 향상 노력이 필요함 • 가치파괴에서 가치창출로 전환한 기업 (50개사: 총투자의 25%)은 현금흐름 마진 및 수익성의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였으며 5년동안 지속적인 가치창출을 달성한 기업 (14개사: 총투자의 3%)은 현금흐름마진을 유지하면서 자산생산성의 지속적 향상을 달성하였음(1) • 이에 반해 가치창출에서 가치파괴로 전환한 기업 (27개사: 총투자의 28%) 및 지속적으로 가치를 파괴한 기업 (41개사: 총투자의 44%)은 현금흐름마진의 변동이 크게 나타나는 특징을 나타냄(1) (1) ’98년 ~ ’02년간 합병, 청산, 신규 설립 등의 이유로 비교 불가능한 81개 기업 제외 참고: 200대 기업은 2002년 말 자산 기준임 (4 페이지 참조)

  35. SUMMARY (II) • 42개 분석대상 그룹 중 21개 그룹, 총투자의 47%에 해당하는 그룹이 자본비용 이상의 수익성을 달성하였음 • 4대 그룹은 2002년 그룹 전체적으로는 모두 자본비용 이상의 수익성을 달성하였으나, 그룹내 특정 사업부문의 높은 의존도 개선 및 저수익 계열사의 중장기적 성과 개선이 필요함 • 19개 산업 중 (평균 수익율 6.3%) 10개 산업 (총투자의 약 70%: 평균 수익율 –1.1%)이 자본비용 이하의 낮은 수익성을 보이고 있음 • 이러한 격차는 해외 대비 70% 수준에 머물고 있는 저조한 현금흐름마진 때문으로,향후 현금흐름마진의 개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이 필요함 주요그룹분석 산업 분석

  36. 국내 주요 기업들은 2002년자본비용 이상의 수익율을 달성하여, 가치창출로 전환하였음 200대 기업 수익성-성장 매트릭스 (2002) CFROI Spread 2002 1999 : 가치잠식 영역 2000 1998 매출액: 100조원 2001 총투자 (Gross Investment, 조원)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37. 그러나, 자본비용 이상의 수익율 달성은 자본시장에서의 자본비용 감소에 의한 영향이 큼이자율 하락에 의해 자본비용이 크게 감소하였음 CFROI Spread Tree (’98~’02) CFROI (%) CFROI Spread (%) - WACC (%) : 3년 평균 WACC : 1년 WACC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38. 자산생산성은 꾸준히 개선되어 왔으나,현금흐름마진은 1998년 수준에 머무름현금흐름 마진의 추가적 개선을 위해서는 판관비율 관리 강화가 필요함 200대 기업 CFROI Tree (’98~’02) 매출원가율 (%) Sustainable Cash Flow (조) ƒ 현금흐름마진 (%)  판관비율 (%) CFROI 매출 (%) (조) x 자산생산성  총투자 (조)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39. 218개 분석대상 기업 중 109개사, 총투자의 70%가 자본비용 이하의 수익성을 보임 200대 기업의 CFROI Spread (2002년) CFROI Spread (%) CJ홈쇼핑 (45.4%) 50 가치창출 기업: 109개사, 총 투자의 30% 가치잠식기업: 109개사, 총 투자의 70% 삼성 전자 CJ (2.9%) 한국가스공사 LG칼텍스정유 KTF KT 포스코 롯데쇼핑 현대자동차 SKT 한국전력공사 현대중공업 한진해운 현대 상선 SK 대한항공 하이닉스 반도체  총투자 비중 총투자 (2002년): ~494조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0. 5년동안 지속적으로 가치창출을 달성한 회사는 14사에 불과함 자본비용 이상 수익성 달성 회수/기업수 (’98~’02) 기업수 LG CJ 삼성 롯데 기타 • 삼성SDI • 삼성코닝정밀유리 • LG전자 • LG석유화학 • LG CNS • LG홈쇼핑 • 롯데삼강 • 롯데역사 • CJ 홈쇼핑 • 모닝웰 • 해찬들 • 광주신세계백화점 • 하이트맥주 • 현대엘리베이터 0회 1회 2회 3회 4회 5회 지속적인 가치창출은 어려운 과제임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1. 1998년 이후 성과 변화는 크게 4개 그룹으로다르게 나타남200대 기업 1998년 대비 2002년 변화(1) 그룹 1: 수익성 개선 그룹 2: 지속적 가치 창출 • 주요 기업 예시 • CJ홈쇼핑 • 모닝웰 • 해찬들 • 롯데삼강 • LG홈쇼핑 • LG전자 • 현대 엘리베이터 • 삼성코닝정밀유리 • 삼성SDI 등 14개사 • 주요 기업 예시 • LG화학 • 롯데쇼핑 • 신세계 • LG유통 • KT&G • LG건설 등 50개사 • CJ 가치 창출 • 총매출(2): 119조 (41.3%) • 총투자(2): 84조 (24.7%) • 총매출(2): 31조 (10.9%) • 총투자(2): 12조 (3.4%) 2002년 • 총매출(2): 77조 (26.7%) • 총투자(2): 147조 (48.5%) • 총매출(2): 61조 (21.1%) • 총투자(2): 96조 (28.3%) • 주요 기업 예시 • 데이콤 • 한국가스공사 • 대상 • 포스코 • KT • LG전선 등 41개사 • 주요 기업 예시 • 현대상선 • 현대백화점 • 대한항공 • LG칼텍스정유 • 삼성SDS • SK건설 등 27개사 가치 파괴 그룹 4: 지속적 가치 파괴 그룹 3: 수익성 악화 1998년 가치 창출 가치 파괴 (1) CFROI spread 기준; (2) ’02년 기준 참고: 분석대상 218개 기업 중 신규 설립되거나 수익성 추세가 일정치 않은 기업 제외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2. 그룹 1: 가치파괴에서 가치창출로 전환한 기업은 총투자 감소를 통한 C-CURVE형 수익성 개선을 달성하였음현금흐름마진 및 자산생산성 개선을 동시에 달성하였음 수익성-성장 매트릭스 (’98~’02) CFROI Driver Tree (’98~’02) CFROI Spread (%) CFROI Spread 8 총회사수: 50개 총투자: 84조 (17.0%) (%) 6 2002 4 - 2 2001 CFROI WACC (%) (%) 0 -2 2000 1998 -4 1999 x -6 현금흐름마진 자산생산성 (%) 총투자 (Gross Investment, 조원) 매출액: 50조원 : 가치잠식 영역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3. 그룹 2: 지속적으로 가치를 창출한 회사는 자산생산성 향상을 통해 가치창출을 유지하였음자산생산성이 약 2배 수준으로 향상되었음 수익성-성장 매트릭스 (’98~’02) CFROI Driver Tree (’98~’02) CFROI Spread (%) CFROI Spread 9 총회사수: 14개 총투자: 12조 (2.6%) (%) 2002 2000 6 1999 - 2001 CFROI WACC (%) (%) 3 1998 x 0 현금흐름마진 자산생산성 (%) 총투자 (Gross Investment, 조원) 매출액: 10조원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4. 그룹 3: 가치창출 기업에서 가치 파괴 기업으로 전환된 기업은 성장과 함께 수익성 악화를 보임저수익 상황에서의 총투자 증가는 수익성 악화 및 가치파괴를 증대함 수익성-성장 매트릭스 (’98~’02) CFROI Driver Tree (’98~’02) CFROI Spread (%) CFROI Spread 5 총회사수: 27개 총투자: 96조 (19.4%) (%) 1998 1999 - 0 CFROI WACC 2002 (%) (%) 2000 2001 x -5 현금흐름마진 자산생산성 (%) 총투자 (Gross Investment, 조원) 매출액: 50조원 : 가치잠식 영역 수익성의 유지을 위해서는 현금흐름 마진관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5. 42개 그룹 중 21개 그룹, 총투자의 53%가 자본비용 이하의 수익성을 보임 42개그룹의 CFROI Spread (2002년) CFROI Spread (%) 현대산업개발 가치창출 그룹: 21개 그룹, 총 투자의 47% 가치잠식그룹: 21개 그룹, 총 투자의 53% 대우조선해양 농심 KT&G CJ 문화방송 하이트 신세계 동원 삼성 현대 자동차 현대백화점 코오롱 한솔 금강고려화학 현대중공업 대림 효성 한국가스공사 한화 두산 대한전선 롯데 SK 금호 동양제철화학 LG 동양 한국전력공사 한진 현대 KT 포스코 동국제강 영풍 대상 한국타이어 동부 태광 하나로 부영 삼보 총투자 비중 총투자 (2002년): ~428조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6. : 가치파괴 산업 19개 주요 산업중 총 투자의 ~70%를 차지하는 10개 산업이 자본비용 이하의 수익성을 나타냄 산업별 CFROI Spread (2002년) CFROI spread (%) 가치 창출 산업: 총투자의 약 30% 가치 잠식 산업: 총투자의 약 70% 자동차 및 차량부품 제조업 방송업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 음식료품제공/제조업 건설업 제지 및 목재가공업 기타 산업용기계제조업 중장비 및기타운송장비제조업 전기전자제품제조업 정보서비스업 섬유제품제조업 유통업 전기가스사업 제철 및 금속산업 석유정제업 통신업 화학제품제조업 운송업 숙박 및음식료서비스업 총투자 비중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7. 해외 대비 낮은 수준의 수익성 개선을 위해서는 현금흐름마진 GAP 극복이 필요함국내 산업의 현금흐름 마진은 해외기업 대비 70% 수준임 현금흐름마진index(1) 산업별 자산생산성, 현금흐름마진 국내외 비교 (2002년) 운송업  제지 및 목재가공업 제철 및금속산업 자동차 및 차량부품 제조업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건설업 유통업 정보서비스업 섬유제품 제조업 기타 산업용기계 제조업 0.69 음식료품 제공/제조업 전기가스사업 통신업 현금흐름마진 Gap 극복 필요 숙박 및 음식료서비스업 화학제품제조업 전기전자 제품 제조업 중장비 및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방송업 석유정제업 0.87 자산생산성 index(1) (1) 국내 기업 값/해외 기업 값 출처: 한국상장회사협의회; BCG 데이터베이스; BCG 분석

  48. 목 차 • 한국 경제의 현주소 및 잘못된 믿음 • 한국 경제 재도약의 새로운 해법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 • 국내 주요 기업 성과 분석 • 글로벌 Top 10 기업 육성을 위한 과제

  49. 글로벌 톱10 기업 글로벌톱10 정부 매출증대 : UP 마켓 공략 수익성 2 4 3 CEO 책임 정도 경영 1 자본비용 수익성개선 : C 커브 전략 산업내 10위 매출액 순위 글로벌 톱10 육성 4대 과제

  50. 수익성 UP 총투자 톱10 기업 삼성전자서 배운다 C-커브 전략 실천 UP 마켓 공략 반도체, 단말기 중심 사업구조 과감한 고목사업 정리 씨앗, 묘목, 과수, 고목 사업분류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