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1. 국어가 걸어온 길

1. 국어가 걸어온 길.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정음창제 (1443). 임진왜란 (1592). 갑오개혁 (1894). 고려건국 (918). 국어사의 시대구분. 고대국어. 중세전기. 중세후기. 근대국어. 현대국어. 국어의 계통. 몽고어 . 만주 퉁구스어 . 튀르크어. Altai 공통조어.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 통일신라어 ( 경주 말 ). 고려어 ( 경기도 말 ). 부여 . 한 공통어. 남방 한계어. 백제 신라어.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1. 국어가 걸어온 길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1.국어가 걸어온 길 고대 국어 중세 국어 근대 국어

  2. 정음창제 (1443) 임진왜란 (1592) 갑오개혁 (1894) 고려건국 (918) 국어사의 시대구분 고대국어 중세전기 중세후기 근대국어 현대국어

  3. 국어의 계통 몽고어. 만주 퉁구스어. 튀르크어 Altai 공통조어 북방 부여계어 고구려어 통일신라어 (경주 말) 고려어 (경기도 말) 부여. 한 공통어 남방 한계어 백제 신라어

  4. 알타이 제어의 공통특질 • 모음조화가 있다. • 교착어이다. • 두음법칙이 있다.(어두 자음군 제약) • SOV형 언어이다. •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 있다(그녀다리만보오) • 수식어+피수식어 • 성. 관계대명사. 전치사가 없다.

  5. 한자로 우리말 표기하는 방식 1. 향찰 : 우리말 전체를 한자의 음.훈을 빌려 표기. 예) 東京明期月良 ㄱ. 우리말 어순에 따라 우리말 전체 표기 ㄴ. 실사-훈차. 허사-음차 ㄷ. 외래 문화의 주체적 수용 ㄹ. 향가의 표기 수단

  6. 한자로 우리말 표기하는 방식 2. 이두 : 조사와 어미. 부사. 일부 명사 등의 표기에 사용됨(吏讀. 吏吐. 吏套) 예) 必于 七出乙 犯爲去乃(비록 칠출을 범하거나) ㄱ. 넓은 의미의 한자차용 표기법 전체를 의미 ㄴ. 실사-훈차. 허사-음차 ㄷ. 신라 초기부터 등장(이두란 명칭은 고려이후 등장) ㄹ. 공문서나 법조문에 사용됨

  7. 한자로 우리말 표기하는 방식 3. 구결 : 한문 원문을 읽기 위한 토씨만 차용 예) 天地之間 萬物之中厓 唯人是 4. 서기체 : 임신서기석. 한자의 뜻을 빌려 우리말 어순대로 적음. (612? 732?. 경주 박물관 소장) 예) 二人幷誓記天前誓今自三年以後~

  8. 훈민정음 판본 • 예의본(1443) – 한문본 뜻과 예를 보여줌 2. 해례본(1446) - 한문본 예의를 해설한 책. ‘예의. 해례.정인지서’로 구성됨 경북안동에서 1940발견. 유일본) 3. 언해본(1459) – (월인석보본) 해례본의예의 중 세종의 어지 부분을 주석하고 국역함.

  9.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 1448년 신숙주·박팽년 등이 편찬한 한국 최초의 음운서. ->성종때 없어짐 • 한자의 표준 발음을 정음으로 규정함(인위적 체계) • 초 중 종성 모두 표기. • 초성에 사용 • 以影補來(ㄹ받침은 을 추가하여 입성임을 표시함)

  10. 방점(사성점.좌가점) • 소리의 성조(높낮이)를 나타냄. • 글자의 왼쪽에 점을 찍어 표시. 거성(왼쪽에 점 하나) 입성(성조 아님). 끝을 빨리 닫는 소리. (ㄱ.ㄷ.ㅂ.ㅅ으로 끝나는 음절). 점이 없거나, 하나 혹은 둘) 예) ·랏, :몯, 엿. 상성(왼쪽에 점 두개) – 장음으로 변함 평성(점 없음)

  11. 종성법의 변화 종성부용초성 8종성법 7종성법 종성부용초성 용비어천가 (1445) 초성에 사용되는 모든 자음(17)을 종성에 사용함 정음 예의본 규정 언해본(1459) 소학언해(1587)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정음 해례본 규정 ㄷ 이 사용되면 8종성법임 동명일기(1772) 독립신문(1896) (ㄱ ㄴ ㄹ ㅁ ㅂ ㅅ ㅇ) 17C말~20C초 종성에 ㄷ 이 사용 안됨 1933~ 발음은 7대표음 (그녀다리만보오)

  12. 언해본(1459) 표기상의 특징 1. 2. 방점 사용(성조체계 존재) 3. 8종성법 적용 4. 동국정운식 한자음(이상적 발음) 표기 5. 합용병서(어두자음군), 각자병서사용 6. 모음조화 엄격히 적용 7. 이어적기(연철) 적용 8. 두음법칙,구개음화, 원순모음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13. 소학언해(1587) 표기상의 특징 1. 2. 방점 사용(혼란). 3. 8종성법 적용. 4. 현실적 한자음표기. 5. 어두자음군이 간혹 보임. 6. 모음조화 파괴. 7. 끊어적기 확대적용. 8. 두음법칙,구개음화가 이루어지지 않음. 9. 사잇소리-> ‘ㅅ’ 으로 통일.

  14. 중세국어의 사잇소리

  15. 동명일기(1772.근대국어)표기상의 특징 • 반치음, 옛이응, 성조의 소멸. • 모음조화가 심하게 파괴됨. • 명사형어미 ‘기’가 자주 쓰임 • 거듭적기 사용, 끊어적기 확대 • 7종성법 • 재음소화(깊은->깁흔)가 나타남.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