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2

팀장님 근데 CMMI 가 뭐에여 ?

팀장님 근데 CMMI 가 뭐에여 ?. CMMI.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조직의 개발 능력이 얼마나 성숙했는지를 보기 위한 것 . “ 그 회사는 CMMI Level 3 이야 ” 라고 하면 -> “ 그 회사는 개발 조직이 CMMI 에서 정의한 Level 3 정도의 성숙도이다 .” 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성숙. 능력. 성숙 ?. 조직이 성숙해야 한다고 ? 왠 성숙 ? 성숙하지 않은 조직은 프로젝트의 성공이 특정 개인의 역량에 의존되고 .

tamr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팀장님 근데 CMMI 가 뭐에여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팀장님 근데 CMMI가 뭐에여?

  2. CMMI • CapabilityMaturity Model Integration • 조직의 개발 능력이 얼마나 성숙했는지를 보기 위한 것. • “그 회사는 CMMI Level 3이야” 라고 하면 • -> “그 회사는 개발 조직이 CMMI에서 정의한 Level 3 정도의 성숙도이다.”라고 이해하면 되겠다. 성숙 능력

  3. 성숙? • 조직이 성숙해야 한다고? 왠 성숙? • 성숙하지 않은 조직은 • 프로젝트의 성공이 특정 개인의 역량에 의존되고. • 프로젝트 계획/일정이 고무줄이고. • 일은 터지고, 대응은 오로지 야근과 특근. • 이걸 바꾸면 저게 오동작하고. • 문서는 그야말로 문서를 위한 문서고. 매뉴얼은 엉망이고. • 맨날 고객에게서 전화 오고, 전 실무자는 퇴사하고 없고. • 이전에 진행된 프로젝트에서 건질 것은 커녕, 정리도 안되어 있고.

  4. 성숙? • 당신 같으면 그런 미성숙 조직에 프로젝트 맡기고 싶겠는가? 혹은 그런 조직에서 일하고 싶겠는가? • A 회사에서는 영업의 계약에 의해 일정이 박혀서 전달되고, B 회사에서는 계약 전 당연히 검토되어야만 진행되고. • 이러한 차이가 단지 프로세스 때문인가? • 계약 전 검토를 당연히라고 느껴지는 것이 바로 성숙함이다.

  5. CMMI에서의 성숙 • CMMI에서는 성숙도를 판정하기 위하여 당연히 해야 하는 실천항목들을 정의해 놓았다. • 그리고 그 실천항목을 가지고 5개의 Level로 그룹지었다. • 각 Level 별로 실천해야 하는 실천항목이 정해져 있다. • 상위 Level은 하위 Level의 실천항목을 포함한다.

  6. CMMI의 실천항목 • CMMI의 실천항목들은 전부 무엇 무엇을 하고 있는가, 라는 것들이다. • 살펴보면세삼스럽지도 않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것들이다. • 계획 했는가? 검토했는가? 기록했는가? 테스트 했는가? 점검했는가? • 이러한 당연한 것들을 당연히하는 그런 성숙한 조직인지를 보자는 것이고 그것을 판단하기 위해 실천할 사항들을 정리해 놓은 것이다.

  7. CMMI에서 바라는 성숙은? • 계획하고 • 검토하고 • 기록하고 • 측정하고 • 점검하고 • 개선하라. • 언급했듯이 당연한 것을 하자는 것이다.

  8. Level 별 의미 • Level 1 : 관리되지 않는. • Level 2 : 관리되는(Managed) • Level 3 : 표준화된 프로세스에 의해(Defined) • Level 4 : 정략적으로(Quantitively Managed) • Level 5 : 지속적인 프로세스 개선(Optimized) • 상위 레벨은 하위레벨을 만족한다. • 예 : Level3일 경우 Level2도 역시 만족한다.

  9. PA • PA(Practice Area) : 실천 영역 • 실제로 취하여야 하는 실천 항목을 영역 별로 구분해 놓았다 • Level 별로 요구하는 실천영역이 있다. • Level 1 : X • Level 2 : 7개 • Level 3 : 11개 • Level 4 : 2개 • Level 5 : 2개 • 성숙도 Level 3일 경우 18개(Level2 7개+Level3 11개)의 실천영역에 대한 실천항목을 모두 만족시킨것을 의미한다.

  10. PA 리스트

  11. 수 많은 PA들 ! • 우와 디따 많다. • 프로젝트 하려면 그 각 PA들 전부 해야 되는 건가요? • 얘기 들어보니 전부 문서로 만들어야 한다던데, 으악…

  12. 제대로 개발을 하려면 • 제대로 개발을 하려면 필수적인 것이 • 하여간에 계획 세우고 • 요구사항 파악하고 • 요구사항 함부로 변경되지 않게 하고 • 필요 기술력 파악하고 • 인력 적당한지 봐야 하고 • 좀 불안한 사항 있다면 미리 고민해 둬야 하고 • 개발하고 • 테스트 하고 • 개발된 것 잘 보관해야 하고 • 배포 전에 통합적으로 테스트 해야 하고

  13. 근데 우리는 • 한번 솔직해 보자고. 필수적일 수 밖에 없는 것 중에 코딩 고것밖에 신경 쓰지 않은 거 사실 아닌가? • 하여간에 계획 세우고 • 요구사항 파악하고 • 요구사항 함부로 변경되지 않게 하고 • 필요 기술력 파악하고 • 인력 적당한지 봐야 하고 • 좀 불안한 사항 있다면 미리 고민해 둬야 하고 • 개발하고 • 테스트 하고 • 개발된 것 잘 보관해야 하고 • 배포 전에 통합적으로 테스트 해야 하고 • 그래서 행복해 졌습니까? 버그 적어졌습니까? 사용자 배포 문서 스스로 맘에 듭니까? 야근 좀 줄었습니까? 유지보수 할만 합니까? 회사 계속 다니고 싶습니까?

  14. 필수적인 것 하고 PA관계는? • 필수적인 것이 어떤 PA에 해당하나 • 하여간에 계획 세우고 : Project Planning • 요구사항 파악하고 : Requirements Development • 요구사항 함부로 변경되지 않게 하고 : Requirements Management • 필요 기술력 파악하고 : Technical Solution • 인력 적당한지 봐야 하고 • 좀 불안한 사항 있다면 미리 고민해 둬야 하고 : Risk Management • 개발하고 : ????? • 테스트 하고 : Verification, Validation • 개발된 것 잘 보관해야 하고 : Configuration Management • 배포 전에 통합적으로 테스트 해야 하고 : Product Integration • 18개 중에 9개가 필수적인 거였네. 그럼 나머지 9개는? • 개발 자체에 대해선 해당하는 게 없네. 특이하다.

  15. 이외에 다른 PA는 뭔가요? • 이외의 PA를 살펴 봅시다. • 프로젝트 진행 파악해야 하고 :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 하청 업체 있으면 관리해야 하고 :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 그냥 말이 아닌 수치로 얘기하자고 : Measure and Analysis • 중간 중간 점검은 해야잖아 : Process and Product Quality Assurance • 이전 프로젝트의 경험을 써먹자. :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 중요 결정 사항 있으면 주먹구구로는 곤란하지. : Decision Analysis and Resolution • 모르는 게 있으면 교육받아야 하고 : Organizational Training • 이외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것이 • Organizational Process Focus • Organizational Process Definition

  16. PA는 많아도 • 결국 제대로 개발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해야 하는 것을 미루거나 모른척하지 말고 제대로 실천하자는 것이다. • 이것이 CMMI Level3에서 요구하는 것 중 반절이다. • 나머지 반절은 개발자 보다는 관리자의 입장에서 실천해야 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 프로젝트 진행 파악해야 하고 : Project Monitoring and Control • 하청 업체 있으면 관리해야 하고 : Supplier Agreement Management • 그냥 말이 아닌 수치로 얘기하자고 : Measure and Analysis • 중간 중간 점검은 해야잖아 : Process and Product Quality Assurance • 이전 프로젝트의 경험을 써먹자. :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 중요 결정 사항 있으면 주먹구구로는 곤란하지. : Decision Analysis and Resolution • 모르는 게 있으면 교육받아야 하고 : Organizational Training • 이외 조직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것이 …

  17. 그래도 많아 보이는 PA • 필수라 생각되는 것 9개와 이외 9개. • 모두 18개. 그래도 많아 보인다. • 프로젝트 하려면 꼭 그 18개 전부 해야 되는 건가요? • -> 그렇다 ! • 우린 실상 하긴 하고는 있었다. 근데 전부 주먹구구식이였고, 계속 시행착오만 되풀이 하고 있었고, 개선되지는 않았고.

  18. 꼭 다해야 하는가? • 이제는 쫌! • 계획 제대로 세우고, • 적당한 일정에서, • 필요 인력 제대로 투입하고, • 요구사항 제대로 파악하고, • 뒤엎기 좀 피하고, • 테스트 좀 제대로 하고, • 문서도 제대로 만들고 • 이외에 • 제대로 된 프로세스 안에서 일을 진행하고 • 했던 실수 또 하고 또 하고 하지 말고 • 지난번 프로젝트에서 배운점 개선하고, 데이터 활용하고 • ‘너밖에 할 사람 없잖아’ 요러지 말고

  19. PA를 제대 실행하는 것이란? • 어느 실천영역(PA)이건 다음을 하는게 맞지 않는가? • 실행하기 위한 조직의 방침을 세우고, • 계획을 세우고 • 자원을 지원하고(툴, 시스템, 인력) • 적절한 담당자를 선임하고 • 교육을 시키고 • 산출물을 관리하고 • 관련자들을 같이 꼬득이고 • 때론 점검도 받고 • 경영자들과 같이 살펴보자.

  20. CMMI와 문서 • 그런데 무조건 문서가 있어야 하나요? • -> 그렇다. • 문서의 양이 문제가 아니다. • 하여간에 무언가를 했다면 그것을 정리된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중요하다. • 꼭 문서가 아니라 시스템이나 툴을 사용해도 좋다. • 요구사항관리를 위해 툴을 사용할 수도 있고, 형상관리를 위해 SVN을 사용할 수도 있고. • 중요한 것은 PA에서 정의된 실천항목을 실행하는 것이고, 이를 기록으로 남기라는 것이다.

  21. 그 수많은 문서 만들다 보면, 개발은? • 개발할 것도 태산인데 언제 문서 만들고 있나요? • 그런데도 무조건 문서가 있어야 하나요? • -> 그렇다. • 왜 항상 시간은 없고 할 것은 많은가? • 스스로 생각해보라. 정말 생산적인 코딩을 하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가? • 삽질하고, 뒤집고, 버그를 다시 만드는 버그 픽스에, 재미는 없고 • 언제까지 이럴 것인가? • 다시 말하지만 문서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실천을 하고 기록을 하면 그것이 문서가 되는 것이다.

  22. 더 중요한 마인드 •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CMMI도 Process도 시스템도 아니다. • 무얼 가져다 놓아도 사람의 마인드가 변하지 않으면 말짱 황이다. • 태도가 변하지 않으면 CMMI도 뭐도 다 짐일 뿐이고, 더 일만 늘어 난다. • 제대로 해보려는 마인드가 제일 중요하다.

  23. 어떤 마인드? • 무엇이건 계획하고, 기록하고, 검토하려하는. • 그리고 개선해 보려는.

  24. 그런 마인드가져 봤자 • 하면 좋죠. 마인드 가지면 좋죠. 그런데 일 떨어지는 것 보면. • 맞는 야그다. 아무리 개발자가 해볼라 해도 경영진 마인드가 아니면 여전히 삽질일 뿐이다. • CMMI에 의한 프로세스 개선은 경영자의 의지 없이는 불가능하다. 어떨 지 모르지만 어쨌든 믿어봐야 하지 않겠나?

  25. 구체적으로 무얼 해야 하나요? • 계획하라. • 일정을 • 상세한 작업 내용을 • 위험요소와 그 대처를 • 검토 방법을 • 형상관리 방법을 • 기술요소를 • 기록하라 • 작업한 모든 것을 • 검토하라 • 작업된 대상은 검토되어야 한다. • 문서든, 코드든.

  26. 실제 적용 • 실제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땐 전사표준 프로세스(OSSP)를 가지고 각 프로젝트에 맞게끔 다듬는다. • OSSP : Organizational Software Standard Process • OSSP에는 표준적인 프로세스와 산출물 예제가 있다. • 이러한 프로세스를 프로젝트에 맞도록 수정하고, • 산출물을 프로젝트에 맞도록 수정한다. • 그리고 프로젝트가 종료된 후에 프로젝트 결과물을 가지고 각 조직에 맞도록 다시 OSSP를 개선해 나간다.

  27. CMMI의 목적 • 프로세스 개선! • 실천항목을 제시하고, 이의 준수를 요구함을써 개발 프로세스를 개선하려고 한다. • 이를 통해 제품 품질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 단순한 개선된 프로세스의 존재뿐이 아닌, 그 프로세스가 몸으로 익어진 상태(내재화; institutionalization)을 원한다. • 이렇게 내재화가 되어 조직원 전부가 해야할 것을 당연히 여기게 되었을 때 조직이 성숙했다고 한다.

  28. EPG • EPG : Engineering Process Group • 조직내의 프로세스 개선을 위한 팀 • 경영자의 강한 의지와 실제 개선을 위한 EPG가 없으면 프로세스 개선은 불가능하다.

  29. CMMI 심사 방법 • gap 분석 : 현재의 상태와 goal과의 차이를 파악한다. • Readiness Review : 심사준비가 되었는지 파악하고. • Appraisal : 실제 심사 • 모든 실천영역에 대한 실천항목에 대하여 증거의 여부를 파악한다. • 증거와 더불어 간접증거를 파악하고 인터뷰를 통해 이를 검증한다. • 증거의 목록을 PIID라 한다. • 모든 영역의 모든 실천항목에 대하여 충분한 실천에 대한 직접증거와 간접증거로 인정되어야만 그 성숙도가 인정된다.

  30. 기타 CMMI 관련 이런 저런 사실들 • 인증이 아니라 rating이다. • Carnegie Melon의 SEI(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에서 주관 • 국내 현황 : 2007/09 현재 87개 심사됨 • LG CNS, 삼성 SDS 등이 Level 5 • 프로젝트 발주 시 가산점을 주기도 한다.

  31. CMMI 용어들 • CMMI :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 SEI : Carnegie Melon 대학의 Software Engineering Institute • EPG : Engineering Process Group • PIID : Practice Implemented Indicator Description • PAL : Process Asset Library • OSSP : Organizational Software Standard Process • 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 PA : Practice Area • RR : Readiness Review • Appraisal • SCAMPI : Standard CMMI Appraisal Method for Process Imporvement

  32. 주의사항 • 본 문서는 CMMI가 뭔지 감잡기 쉽도록 가이드한 것으로, 이 문서의 모든 내용은 주관적인 느낌과 판단에 의한 것이며, 실제와 다를 수 있습니다. 또한 개인적인 문서로서 특정 업체나 기관과 관계없습니다. 주의바랍니다. • 임도형, dh-rim@hanmail.net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