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42

블루투스 의 이해

블루투스 의 이해. 경남직업전문학교 유비쿼터스설비제어 제 1 조 : 김선희 , 정응준 , 정재현 , 최인철 , 김영호. 목 차. 1. 근거리 무선통신 2. 블루투스의 개념 3. 블루투스 기술이해와 구성 4. 블루투스 응용현황 5. 블루투스의 미래. 1. 근거리 무선통신이란 ?. 이동통신 같은 무선통신 개념을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주변기기들 간의 통신으로 확대 . 무선 (Wireless) 데이터통신 – 편리성 , 회선비용절감 , 휴대성

xylia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블루투스 의 이해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블루투스의 이해 경남직업전문학교 유비쿼터스설비제어 제 1조: 김선희, 정응준, 정재현, 최인철, 김영호

  2. 목 차 • 1. 근거리 무선통신 • 2. 블루투스의 개념 • 3. 블루투스 기술이해와 구성 • 4. 블루투스 응용현황 • 5. 블루투스의 미래

  3. 1. 근거리 무선통신이란? • 이동통신 같은 무선통신 개념을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주변기기들 간의 통신으로 확대. • 무선(Wireless) 데이터통신 – 편리성, 회선비용절감, 휴대성 • 다양한 규격들이 치열하게 경쟁: IrDA, Home RF, IEEE802.11 • Wibree, UWB • 주로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

  4. 블루투스의 등장 • Bluetooth는 1998년 5월 21일 스웨덴의 에릭슨이 주축이 되어 노키아, IBM, 도시바, 인텔이 결성한 Bluetooth SIG(Special Interest Group)에 의해 본격화가 되었으나 그 기본은 1994년 에릭슨의 이동통신그룹내의 휴대폰과 주변기기의 무선 인터페이스 연구에 기초를 하고 있다. 현재 Bluetooth SIG는 전세계 1,600개사 이상이 참여를 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3Com, 루슨트테크놀러지, 모토롤라등의 참여로 전세계적 규격으로 자리 매김을 하고 있다. 특히 Bluetooth는 Open 규격을 지향하며, 이에 따른 라이센스를 지불할 필요가 없어서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다.

  5. IrDA •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버전 1.1)방식은 최대 데이터 전송속도가 4Mbps로 블루투스를 앞서지만 최대 전송거리는 1m로 짧다. 또 블루투스는 음성부호화방식인 CVSD(Continuous Variable Slope Delta Modulation)를 채용해 문자 데이터의 전송은 물론이고, 음성 전송에도 사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암호기술을 사용한다. • IrDA방식에서도 케이블접속 없이 데이터통신은 가능하지만 적외선을 통과하지 않는 차폐물이 가로막고 있을 경우에는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적외선통신에서는 기기간의 인터페이스를 조정해야 한다. • 지향성. 일 대 일만 대응.

  6. 2. 블루투스의 개념 편리한 무선방식 편리한 무선 데이터 통신 이동중에도 주변 유선망과 무선망을 통한 데이터통신 가능. 일 대 일, 일 대 다의 동시접속지원. 무지향성. 범위내 다중접속가능 • 무선(Cordless) 인터페이스로서 PC주변기기 및 기타 장치 이용시의 편리함을 제공. 블루투스 시장 형성의 1등공신. • RS232C와 같은 유선규격을 대체

  7. 블루투스란? • 블루투스는 작고(0.5평방인치), 저렴한 가격(5달러), 적은 전력소모(100mW)로 휴대폰, 휴대용PC등과 같은 휴대장치들, 네트워크 액세스 포인트들, 기타 주변장치들 간 작은 구역(10m~100m)내의 무선 연결(Radio Link, 2.4GHs ISM Open Band)을 위한 하나의 기술적인 규격 사양이다. • 유래: 블루투스는 영어로 푸른 이빨이라는 뜻이다. 그 이름은10세기 스칸디나비아 국가인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한 바이킹으로 유명한 헤럴드 블루투스(Harald Bluetooth ~985)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Herald가 스 칸디나비아를 통일한 것처럼 블루투스 기술이 서로 다른 통신장치들 간에 선이 없고 단일화된 연결장치를 이룰 것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 다. 또 Herald Bluetooth가 여행가로도 유명한 것처럼 호환성을 지닌 블루투스 기술이 전세계 어디를 여행하든, 단일 장비로 통신이 가능 하도록 모든 통신 환경의 표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8. 블루투스 규격확립 • 현 버전 1.0b의 규격에 따른 Bluetooth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2.4GHz 대역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 (2.402GHz ~ 2.480GHz) 1Mbps의 전송 속도 (실제 723kbps )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 (79/23 hop, 1600 hop/sec) 저소비전력 (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 전송거리 10m 및 Option으로 100m까지 가능 Class 1,2,3의 송신 파워 (각 100mW, 2.5mW, 1mW) 변조방식 : GFSK (Guassian Frequency Shift Keying) 3채널의 Voice 지원 (A-Law, u-Law PCM, CVSD) Point to Point, Point to Multi 방식의 연결 가능

  9. 블루투스의특징 - 거리 • 도달거리 측면에서 블루투스는 "In Room(사무실/회의실/가정)"과 "Personal(사용자의 주변)" 공간 내에서 지원하도록 개발되었다. 블루투스 장치는 사용요구에 따라 다양한 거리를 지원하는 장치들과 10미터 반경 내에서 정보교환 능력을 갖는다. 그리고 Data Access Point로 파워풀한 전송수단(+20dB 정도)과 감도 좋은 수신단(-90dB 정도)을 사용한다면 오픈 스페이스에서 100m까지 도달할 수도 있다.

  10. 3. 블루투스 기술과 구성 블루투스의 기술적 사양과 구성에 대한 구체적 이해

  11. 블루투스 규격 • 2.4GHz 대역의 ISM대역 (2.402GHz ~ 2.480GHz) 1M~10Mbps의 전송 속도 • 간섭방지를 위한 주파수 호핑 방식 (79/23 hop, 1600 hop/sec) • 저소비전력 (대기상태 0.3mA, 송수신시 최대 30mA) 전송거리 10m 및 Option으로 100m까지 가능 Class 1,2,3의 송신 파워 (각 100mW, 2.5mW, 1mW) 변조방식 : GFSK3채널의 Voice 지원 (A-Law, u-Law PCM, CVSD) Point to Point, Point to Multi 방식의 연결 가능

  12. 프로파일 • Profile은 블루투스를 최상위Application에서 어떻게 사용할 지를 정의한 규격이다. 앞으로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대표적인Profile로는Headset을 들 수 있다. Headset은 휴대폰이나PC등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마이크가 내장된 헤드폰을 생각하면 된다. Bluetooth 마크가 부착이 된 헤드셋을 구입했다면 전세계 어디서나 호환이 된다. • 블루투스의 대표적인 장점. 여러 프로파일의 추가를 통한 경쟁 규격의 흡수 가능. 높은 호환성 확보.

  13. ISM 대역이란? • *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  - 미국 FCC(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미연방 통신 위원회 )에서 무선 규격 Part 15를 개정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품의 생산과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비허가로 사용토록 허용 • - 약한 전계 강도를 이용하고 산업, 과학 및 의료용으로 할당된 대역 • - 902~928MHz, 2.4~2.4835GHz, 5.725~5.850GHz 등이 해당 • - 초기 2.4GHz 대역만 전세계적으로 이용 가능한 비허가 대역

  14.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란? GFSK 방식과 FSK의 차이? • 답변1)FSK 변조기는 GFSK와 거의 같다. GFSK 는 가우시안 필터를 이용. 베이스밴드 펄스(-1,1)가 FSK 변조기에 들어가기 전에 펄스를 부드럽게 만들고 스펙트럼 범위를 좁혀주기 위해서 가우시안 필터링을 해주는 차이. • 가우시안 필터란? • 답변2) 스펙트럼 범위를 좁혀주기 위해 널리 쓰이는 방법. '펄스 쉐이핑‘. 우리가 -1:fc-fd, 1:fc+fd 라고 정해놓고, -1 에서 1로 옮겨갈때나 1에서 -1 로 옮겨갈때 변조된 파형이 빨리 변하게 되면서 out-of-band spectrum이 발생. 이때 -1 에서 1 로 변하는 것을 -1 -98 -93 ... 96 99 1 로 하고 이 부드러워진 펄스를 캐리어를 변조할때 사용하면 out-of-band spectrum 이 줄어듬.

  15. 대역 외 발사 스펙트럼[ 帶域外發射- out-of-band spectrum (of an emission) ] 필요 주파수 대역폭 외곽에 존재하며, 변조로 인해서 생긴 발사 전력 밀도 스펙트럼(또는 스펙트럼 이산(離散) 성분으로 이루어질 때는 전력 스펙트럼) 부분. 다만 이 경우 불요 발사 성분인 스퓨리어스는 제외된다. 대역 외 발사 스펙트럼은 대역 외 발사 전력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즉 대역 외 발사 스펙트럼은 필요 주파수 대역폭 밖에 새로이 존재하는 스펙트럼 부분이다. 반면, 대역 외 발사 전력은 필요 주파수 대역폭 외곽에 존재하지만 동 대역 내 개개 주파수에 대한 전력의 총합계치를 말한다.

  16. 블루투스2.1 1.1버전과 완벽하게 호환이 되는 핵심 표준화 버전인 Bluetooth 2.1은 Bluetooth SIG에 의해 2007년 8월1일 제정. Wibree 규격지원으로 폭넓은 호환성 확보 특징: 확장된 inquiry 응답: 접속하기 전에 좀 더 나은 필터링을 위해 inquiry procedure동안 더 많은 정보 제공. 여기서 정보라 함은 장치의 이름, 장치가 지원하는 서비스 목록, 날짜나 시간, 공유정보와 같은 것들을 포함. Sniff subrating 기술: 저 전력 모드일 경우, 특히 asymmetric data flows로 연결되어 있을 경우 전력소비 감소. Human interface devices (HID)장치들이 가장 이익이 될 것으로 예상. 최소 3배에서 최대 10배까지 battery의 수명 증가.

  17. Encryption Pause Resume: 암호를 재설정 했을 경우, 장치 간에 더욱 강력한 암호화로 최소 23.3시간 이상의 연결을 유지할수 있음. 안전하고 간편한 공유: 보안의 강화와 사용 시간의 증가로 인해 Bluetooth장치간의 공유 기술이 근본적으로 향상 되었다. 이것은 앞으로의 Bluetooth의 사용에 있어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NFC cooperation: NFC radio interface이 사용가능할 경우, 자동적으로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수 센티미터 이내로 헤드셋을 NFC를 포함한 Bluetooth 2.1 phone로 가져가기만 하여도 접속할 수 있게 되고 또 다른 예로는, 휴대 전화나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디지털 액자에 가깝게 가져가는 것만으로 디지털 사진을 디지털 액자로 업로드 할 수 있게 된다.”

  18. 블루투스 연결 프로토콜

  19. 연결 과정 • Standby(대기) : 같은Piconet 내에 있지 않은 장치들은 대기 모드로 연결된다.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 슬레이브와 마스터를 의미. 마스터가 통신제어. 슬레이브는 여러대 가능.Page(예약)/Inquiry(질의) : 만약 한 장치가 다른 장치와 연결하고 싶다면, 장치는 상대방의 주소를 알고 있을 경우Page 메시지를 보내게 되고 아닐 경우Page message 이후에Inquiry 메시지를 보내게 된다. 마스터 유닛은16개의 동일한Page 메시지를16개의Hop 주파수에 실어서 슬래이브 유닛으로 보낸다. 만약 응답이 없으면, 마스터는 다시16 Hop 주파수에 거쳐서 재전송을 한다. Inquiry 방법은 마스터에게MAC 어드레스가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슬레이브에서 추가적인 응답을 요구한다. [ Active ]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 Hold ] (중지) : 마스터나 슬레이브가 원할 경우, 중지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고, 이 도중에는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는다. 이것의 주 목적은 전력 소비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이 모드 이외에는 지속적으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진다. Hold 모드로 들어가는 전형적인 이유중 하나는 몇몇Piconet과의 연결을 하기 위함이다.

  20. [ Sniff ] 스니프 포드는 슬레이브 유닛에만 해당되는 모드이고 이것은 전력 소비를 절감하기 위한 모드이지만, Hold 모드만큼은 아니다. 이 모드에서는 슬레이브는Piconet에서 스스로 데이터 전송을 하고 있지는 않지만 이보다 낮은 레벨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귀를 기울이고는 있게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을 통해 설정이 가능하다. [ Park ] (임시 정지) : Park 모드는Hold 모드보다 더욱 낮은 활동 레벨이다. 이 모드에서는 슬레이브가Piconet에 동기화되므로 완전한 재 가동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지만 데이터 전송의 부분이 아니다. 이 상태에서는MAC 어드레스를 장치가 가지고 있지 않게되지만 마스터와 동기화 하고 전해지는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신호를 듣는 상태이다.

  21. 주파수 호핑(FH:Frequ-ency Hopping) • 블루투스는 대역확산(Spread Spectrum) 통신방식에서 주파수 호핑(FH : Frequency Hopping)을 사용하며, 주파수 호핑방식은 통신을 할 때 정보의 파형을 변조하는 것으로서 초당 1600번의 주파수를 번갈아가며(또는 주기가 625㎲ec)대역이 확산시키면서 전송하므로 전파의 중첩을 방지합니다. 하나의 패킷을 송신하면 현재의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로 호핑합니다. 이러한 동작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므로 동일 주파수에 머무르는 시간이 아주 짧고 다른 신호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됩니다. 사용주파수 대역폭은 2.4GHz~2.4835GHz로 총 83.5GHz의 대역을 사용.

  22. Bluetooth 의 경우는 1슬롯이 625usec이므로 1600회/초의 주파수 전환을 하게 된다. 송신과 수신을 교대로 행하는 TDD(Time Division Duplex)라는 방식으로 양방향 통신을 한다. 하나의 패킷에서 사용할 수 있는 슬롯수는 그림 4와 같이 1,3,5, 슬롯이다. 슬롯/패킷의 값에 의해 각각의 전송속도는 변하지만 1슬롯씩 교대로 송수신을 할 경우는 433.9Kbit/sec, 5슬롯/패킷의 경우 723.2Kbit/sec의 전송속도를 실현할 수 있다. 아래그림 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한 쪽의 전송속도가 빠른 경우 다른 한 쪽의 전송속도는 떨어진다.

  23. 블루투스 링크의 유형 • Bluetooth의 접속형태 • *동기식 연결 지향형 링크(synchronized connection oriented link) : SCO link • *비 동기식 비연결형 링크(asynchronous connectionless link) : ACL link • SCO링크는 보통 음성에 사용되는 대칭형의 회선 교환방식, 점-대-점 연결을 제공한다. Point to Point (1:1)의 접속으로서 동기의 회선 교환통신을 한다. 통신속도는 보장하지만 깨진 패킷은 다시 보내지 않는다. • ACL링크는 보통 data 전송에 사용되며 대칭 또는 비대칭, 패킷 교환, 점-대-다점의 접속으로서 비동기의 패킷통신을 하며 송(수)신 723.2Kbit/sec 수(송)신 57.6Kbit/sec, 또는 433.9Kbit/sec의 통신이 가능하며 하나의 채널을 복수의 디바이스가 공유하기 때문에 통신속도는 보장되지 않지만 깨진 패킷은 다시 보내진다. . Master 유닛은 ACL연결을 제어하기 위해 폴링(polling) 기법을 사용한다. 마스터 유닛이 ACL링크의 주파수대역과 하나느이 피코넷내에서 하나의 슬레이브가 어느정도의 대역을 이용가능한가를 결정한다.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 송수신은 ACL링크로부터 지원되고 있다.

  24. *SCO링크에는 세 종류의 단일 슬롯 음성 패킷이 정의되었고 각각이 64 Kbps의 속도로 음성을 전송한다. 음성은 보호되지 않은 채 전달되지만 SCO간격이 줄어들면 2/3 또는 1/3 율의 전방향 오류 수정이 적용될 수 있다. *ACL링크에는 1-슬롯, 3-슬롯, 5-슬롯 데이터 패킷이 정의되었다. 데이터는 2/3 FEC rate으로 보호되거나 또는 보호되지 않은 채 전송될 수 있다. 한 방향에서의 최대 데이터 전송률은 보호되지 않은 5-슬롯 패킷이 사용되었을 때, 다른 방향이 57.6 Kbps일 경우 721 Kbps까지 제공된다. <표 1>은 ACL링크에서 얻을 수 있는 데이터 전송률을 요약한 것이다. DMx는 x-slot, FEC로 코드화된 데이터 패킷을 의미한다. DHx는 보호되지 않은 데이터 패킷을 의미한다.

  25. 블루투스하드웨어구성

  26. 블루투스 작동이해 • Radio Frequency 부: 고주파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변환 시켜준다고주파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처리가 가능하게 하거나 디지털 신호를 고주파 신호로 바꾸어 전송하는 기능.모듈레이션 방법: GFSK (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 Base band 부: physical layer의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부분.대역폭1MHz의 채널을79개 설정하여1초간에1600회 채널을 바꾸는 주파수호핑 방식의 스펙트럼 확산 기술이 사용된다.  이에 의하여 노이즈가 많은 무선 구간에서 강인한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Full duplex transmission을 위하여TDD (time Division Duplex) 방법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79개의RF 채널이 사용되는데 일본, 스페인 프랑스등의 일부 국가에서는23개의 채널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되는 패킷은72비트의Access 코드, 54 비트의 헤더와 최대2745 비트의payload로 구성된다.  에러 보정을 위하여는1/3 rate 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 2/3 rate FEC ( Forward Error Correction ), ARQ 방법이 사용된다.

  27. 4. 블루투스 응용현황 블루투스 기술 응용과 시장 현황이해

  28. 응용분야 • 무선통신의 궁극적인 목표인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어떤 형태의 정보도 교환한다는 목표에 대한 완성으로까지 볼 수 있다. 블루투스의 사용자 측면에서 본 사용 모델은 다음과 같다. • ◇ 3-in-1 phone : 사무실에서는 내선전화, 댁내에서는 무선전화, 밖에서는 휴대전화가 되는 3-in-1 전화 • ◇ 인터넷 브리지: 인터넷 접속 가능한 휴대전화기와 무선 네트워크가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노트북으로도 인터넷 접속가능 • ◇ 신속한 데이터 교환: 회의 도중, 연결 케이블 없이도 곧바로 데이터를 교환 • ◇ 데이터 동기화: PDA, 휴대단말기 등과 노트북, PC등의 파일 및 데이터들이 일일이 새로 업데이트하거나 유선으로 연결해서 파일 및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아도 서로 같아 질 수 있게됨. • ◇ 무선 데스크탑 컴퓨터: 마우스, 키보드, 프린터, 스캐너 등의 각종 컴퓨터 주변기기들이 무선으로 연결되므로 컴퓨터 주변의 복잡한 전선들이 없어지고 기기의 이동성 및 사용 편리성이 증대됨. • ◇ 자동차 응용(핸즈프리 자동차 킷) • ◇ 정보 키오스크(kiosk) : 상점이나 정보 키오스크 가까이 갔을 때 블루투스를 통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정보가 바로 들어올 수 있게 됨. • ◇ 노트북 전화: 유선전화와 무선 네트워크로 노트북에 핸드셋을 연결하여 휴대전화 없이도 사용 가능함 • ◇ Briefcase trick : 가방 속에 넣어둔 노트북에서 휴대폰 또는 인터넷 브리지를 통하여 미리 작성해 둔 e-mail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 • ◇ 즉석 우편: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노트북으로 전송하고 곧 바로 그림엽서 등으로 편집하여 전송 • ◇ 비디오 및 사진 전송 • ◇ 무선 헤드셋 : 블루투스가 탑재된 헤드셋을 착용하면 선이 연결되었을 때 생길 수 있는 행동이나 이동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 블루투스 탑재 제품중 가장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등Bluetooth는 무한한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29. 시장 분석 • 가. 가트너 그룹, '블루투스 시장의 3단계 발전전망' 보고서1. 1단계 : 어댑터 카드나 USB 단자 부착 PC, 고기능 휴대폰 등에 채택되어 2001년까지 13억 달러 규모의 시장 형성 예측 ※ 2002년 7월 IDC 조사에 의하면 2001년 블루투스 관련 매출은 7천 660만 달러에 그침2. 2단계 : 저가의 Mobile 제품, 무선전화, 개인휴대단말기, 가정용 네트워킹기기, 자동차 등으로 블루투스 탑재기기가 크게 전망할 전망3. 3단계 : 거의 모든 휴대기기에 채택되어 2005년에는 시장 규모가 32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 최근 무선 랜 기술과의 경쟁 때문에 시장 확장이 비교적 늦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블루투스지만 최근 스마트폰, PDA 등 디지털 정보기기의 보급이 활발해 짐에 따라 빠른 속도로 시장에 적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또한 현재 개당 9달러 정도에 거래되는 블루투스 칩의 가격은 오는 2005년까지 4달러 내외로 내려가 보다 저렴한 가격의 블루투스 응용 제품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IDC는 블루투스 채택이 가장 활발한 분야로 휴대폰 단말기 부문을 꼽고 있으며 2006년에는 전체 휴대폰 단말기의 약 51%가 블루투스 기능을 지원할 것으로 예측했다.

  30. 높아지는 블루투스헤드셋의 수요와 시장 전망 •  ○ 법적으로 의무화되는 핸즈프리(Hands-Free) 휴대폰 사용 • - 현재 미국의 휴대폰 가입자는 자그마치 2억3600만 명 • - 현재 미국에서는 코네티컷, 뉴저지, 그리고 뉴욕을 포함한 3개의 주에서 운전자의 Hand-Held 휴대폰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캘리포니아와 워싱톤의 경우 이미 법안이 통과돼 올해부터 발효될 예정임. • - 올 7월1일부터 시행되는 캘리포니아의 교통 법안의 경우, 성인 운전자들은 핸즈프리 기기없이 휴대폰을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청소년 운전자의 경우 비상시 외에는 휴대폰 사용이 전면 금지됨. • - 앞서 언급된 미국 5개 주의 제정 법안들 모두 운전시 핸즈프리 기기를 이용한 휴대폰 사용은 공통적으로 허용하고 있어서 이에 대비하기 위한 소비자들의 관련 통신 제품들에 대한 수요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보임. •  ○ 활발한 블루투스 시장 예고 • - 미국 시장조사기관인 IDC 조사결과에 의하면 2004년 블루투스 기술은 전세계에 출시되는 휴대폰의 13%에 탑재됐으며, 2008년에는 그 비율이 전세계적으로 53%, 미국은 65%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 한국도 SK텔레콤, LG테레콤 등 62개 업체가 블루투스 기술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업체들에서 해외에 수출하는 모델의 대부분이 블루투스를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있음. 

  31. 5. 블루투스의 미래 블루투스 규격의 장래성

  32. 블루투스의 과제: 속도

  33. 강력한 경쟁자: Wireless LAN • 빠른 속도: 최대 100Mbps지원. • 블루투스: 최대 10Mbps. • 100M에 이르는 긴 전송거리. • Acces Point를 이용한 손쉬운데이터 통신망 접근. • ISM대역 사용, 근거리 통신망 구축 가능 • 각종 모바일 제품 지원 가능 •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지원.

  34. Home RF • 홈 알에프의 개요 • 홈 RF(Home Radio Frequency) 워크그룹에서는 PC와 가전기기, 주변기기, 통신, 소프트웨어, 반도체산업을 주도하는 기업들을 회원으로 포함해 1998년 3월에 설립되어 가정 내 무선 통신 프로토콜인SWAP(Shared Wireless Access Protocol) 1.2를 발표했다. • 설립 회원 : 3Com, AMD, AT&T Wireless, Compaq Computer, Ericsson Enterprise Networks(미),HP, IBM, MS, Motorola, Philips Consusmer Communicqtions, Proxim, Symbionics, 일본 HP일본 IBM, 인텔, NEC, 삼성전자, LG전자 • 홈 자동화를 위한 네트워크 구성 규격.

  35. Wibree • 핀란드의 노키아(이동통신 점유율35%) 가 만든 새로운 무선규격 • 데이터 전송 속도가 최대 1Mb/초이며, 전송 거리가 최대 10m라는 점은 근거리 무선 규격인 [Bluetooth]와 비슷하다. • 블루투스 대비 소비전력을 1/10 이하로 낮추는 것이 가능 • 작고 휴대성이 높은 button-cell배터리 채용 • 기존 블루투스 기기보다 소형화가 용이, 비용절감. • 블루투스2.1에서 채용됨.

  36. UWB(Ultra Wide Band) • 초광대역 통신기술 • 블루투스3.0 규격에 포함. 블루투스 하위호환 가능. • 200Mbps이상의 초고속(480M까지) • IEEE 802.15.3a가 25GHz~60GHz 대역에서 전송방식을 연구하기 위해 창설되면서 시작 • 근원거리 무선통신의 미래.

  37. 비교 도표

  38. 블루투스의 가능성 • 근거리 무선통신의 표준: 라이선스 공개로 인한 보편성 확보 • 높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완성도 • 다양한 프로파일 지원을 통한 폭넓은 호환성: • Irda, Wibree, UWB등의 경쟁 또는 미래 규격 포괄. • 향후홈자동화, 무선랜 등과의 규격 통합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