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5

인천 LNG TANK #17,18 현장

『 소집단 활동 사례 』. 한번에 정밀굴착 !!! BO 팀. BC Cutter O perator. 인천 LNG TANK #17,18 현장. ■ 차 례 ■ Ⅰ . 소집단 활동 개요 Ⅱ . 조직 구성 및 운영 Ⅲ . 소집단 활동 추진계획 Ⅳ . BO 팀 활동 현황 Ⅴ . 개선사례 및 효과. Ⅰ . 소집단 활동 개요. 1. 현장개요. 1) 현 장 명 : 인천 LNG TANK #17,18 현장

dorja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인천 LNG TANK #17,18 현장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소집단 활동 사례』 한번에 정밀굴착!!! BO팀 BCCutter Operator 인천 LNG TANK #17,18 현장

  2. ■ 차 례 ■ Ⅰ. 소집단 활동 개요 Ⅱ. 조직 구성 및 운영 Ⅲ. 소집단 활동 추진계획 Ⅳ. BO팀 활동 현황 Ⅴ. 개선사례 및 효과

  3. Ⅰ. 소집단 활동 개요 1.현장개요 1) 현 장 명 : 인천 LNG TANK #17,18 현장 2) 위 치 : 인천시 연수구 동춘동 한국가스공사 인천기지내 3) 발 주 처 : 한국가스공사 4) 공사기간 : 2000.07.01 ~ 2004.10.15 (51.5개월) 5) 공사내용 : 지하식 LNG 저장탱크 20만 KL 2기 6) 공사수행 : 삼성,대우 J/V ☜ 현장 전경

  4. ※ 지하식 LNG 저장 탱크 단면도 ★ Slurry Wall T=1.7M D=78.6M Depth=78.4M ★ Side Wall T=3.0M D=72.6M Depth=63.0M ■ 특 징 - Full Turn-key - 국내최초, 최대의 LNG 지하 저장탱크 (산자부 신기술 도입 신고) - 국내 최대심도의 지하연속벽 (심도:78.4M) - Roof(733Ton) Air Raising 工法 - 자기충진형 고유동 고강도Con’c (Bottom Slab, Side Wall) ★ Bottom Slab T=9.0M D=72.6M ★ Membrane(SUS304) T=2.0mm Q=317ton ★ Insulation(PUF) T=210mm Q=19,907M2

  5. SLURRY WALL 주요 사양 두 께 1.8 M CON’C 30,058 M3 내 경 79.0 M 철 근 2,258 TON 평균깊이 GL-63 M 안정액 29,481M3 ▶ 굴 착 ☞ 평균 굴착 심도 : GL-63.2M ☞ 평균 굴착 일수 - 8일 (선행기준) ▶ 철근망 근입 ☞ 제작단위 : 3LOT ☞ 철근망 무게 - 선행판넬 : 64.3TON - 후행판넬 : 22.5TON ▶ CON’C 타설 ☞ 평균 타설 물량 - 선행판넬 : 840M3 - 후행판넬 : 294M3 ☞ 평균 타설 시간 - 13시간 (선행기준) 2.해당공종 : SLURRY WALL 공사 (지하연속벽 공사) ■ SLURRY WALL 시공 순서

  6. 2000. 10 2000. 11 2000. 12 2001. 01 2001. 02 2001. 03 3.소집단명 : BO팀 (BC Cutter Operator) ☞ 지하연속벽 공사인 SLURRY WALL 공사의 핵심 공정인 굴착공정을 대상으로 굴착의 정확도를 높이고 신속한 굴착을 하기위한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굴착 장비인 BC CUTTER 운전원을 팀원으로 하여 소집단 ”BO ”팀을 구성함. 4.활동목표 : 한번에 정밀 굴착 ☞ 선행호기인 #13.14호기의 DATA를 분석하여 수정굴착에 따른 공기지연 방지 및 굴착의 효율성을 제고토록 유도함. 5.활동기간 : 2000.10.09 ~ 2001.03.31 (6개월) 도 입 개선안 도출 적용 및 발전 정리 / 전파

  7. BO 팀 (동아) 간 사 (삼성) 팀장 박 백 균 공사 차 대 성 공무 김 길 영 BC 1호기 BC 2호기 BC 3호기 팀원 임 형 수 팀원 오 재 수 팀원 김 재 무 팀원 윤 봉 열 팀원 강 성 민 팀원 최 수 제 팀원 윤 복 균 Ⅱ. 조직 구성 및 운영 1. 조직구성 ▶ 활동주체 : 동아지질 8명 (간사 : 삼성건설 2명) 2. 조직운영 : 매주 1회 Meeting 실시 (금요일 오후 19:00~)

  8. 2000. 10 2000. 11 2000. 12 2001. 01 2001. 02 2001. 03 도 입 개선안 도출 적용 및 발전 정리 / 전파 굴착 시간 구성비 Loss Time 구성비 기타 15.3% 수정굴착 24.8% Loss Time 33% Excavation 42% 작업정지 16.1% 장비수리 43.8% Cleaning 11% Inspection 14% Ⅲ. 소집단 활동 추진계획 선행호기 Data조사 ▶굴착시간 및 재굴착에 따른 Loss 시간 조사 ▶수정굴착 원인 조사 ▶암질에 따른 장비 운용 사례

  9. 2000. 10 2000. 11 2000. 12 2001. 01 2001. 02 2001. 03 도 입 개선안 도출 적용 및 발전 정리 / 전파 선행호기 Data조사 ▶굴착시간 및 재굴착에 따른 Loss 시간 조사 (33%) ▶수정굴착 원인 조사 ▶암질에 따른 장비 운용 사례 Loss Time 단축 - 예방정비 강화 : 1,3주 일요일정기점검 및 전담수리반 운영 - 수정굴착 방지 : 수직도 수시점검 및 정밀굴착 시행 정밀굴착 달성 굴착기술 Data축적 - 수직도 +/-100mm준수 : 내부목표 +/-80mm - Con’c Loss율 5% 달성 - 시공 기술 Data 축적 및 전파 Ⅲ. 소집단 활동 추진계획 목 표 설 정 ▶ Loss 시간 단축(장비의 예방정비 강화 및 수정굴착 방지) ▶수직굴착 정밀시공 달성 (수직도 +/- 80mm 목표) ▶지하연속벽 굴착 기술 Data 축적

  10. 2000. 10 2000. 11 2000. 12 2001. 01 2001. 02 2001. 03 도 입 개선안 도출 적용 및 발전 정리 / 전파 선행호기 Data조사 ▶굴착시간 및 재굴착에 따른 Loss 시간 조사 (33%) ▶수정굴착 원인 조사 ▶암질에 따른 장비 운용 사례 목 표 설 정 ▶ Loss 시간 단축(장비의 예방정비 강화 및 수정굴착 방지) ▶수직굴착 정밀시공 달성 (수직도 +/- 80mm 목표) ▶지하연속벽 굴착 기술 Data 축적 Ⅲ. 소집단 활동 추진계획 세부실천 계획수립 ▶SMW구간 정밀 Setting 및 굴착 ▶암선에 들어가기 전에 수정굴착 완료 ▶토질에 따라 적절한 Tooth 선정 적용 일 일 실적분석 ▶일일 작업일보 작성 ▶주,야간 교대시 무전기를 이용한 전체 회의 실시 ▶수정굴착 원인 List-up 개선안 도 출 ▶목표 달성을 위한 개선안 도출 ▶주 1회 정기 Meeting을 통해 의견 교환 : 매주 금요일 야간 교대시 시행 (19:00~) 적용 및 개선활동 ▶개선안 공유 및 적용 ▶지속적 개선활동 ▶기술자료 정리,전파

  11. 일 자 주 제 토론내용 개선안 도출 1차 ‘00.10.13 BC 50 장비의 이 해 - 장비 상태 지속파악 - 토질(심도)에 따라 Tooth 교환 - 암이 견고하여 휠 아답타 볼트 이완 - 운전원 교대시 장비상태 인수인계 철저 시행 - 볼트교체 시행 2차 ‘00.10.20 현장 토질의 이 해 - #14탱크보다 암의 경도가 높음 - 암선이 높아 설계심도까지 굴착이 어려움 - 암이 강하여 플랩이 자주 이완됨 - 경암용 Tooth로 교체 (J Type → Z,W Type) - 플랩 교체 실시 및 상태 지속 확인 3차 ‘00.10.27 실적 분석 및 토 론 - 암부위에서는 수정굴착이 어려움 - 장비 예방 정비 철저 시행 - 장비 및 토질에 적합한 Tooth적용 - 안정액 적정수위 유지방안 토론 - 암선에 들어가기 전에 수직도를 정확하게 맞춤 - 장비상태 정확한 인계 - W Type Tooth로 교체 - 안정액 수위조절기 부착 4차 ‘00.11.03 실적 분석 및 토 론 - 초기 수직도 확보가 중요 - 암질에 따라 적합한 Tooth 적용 - 야간조 장비Setting 정확하게 실시 - SMW 구간 굴착 후 수직도 Check 실시 - 1,2호기 W Type 적용 - 3호기 Z Type 적용 5차 ‘00.11.10 실적 분석 및 토 론 - #13,14 바닥 Con’c 타설시 (14일간) 굴착 방안 토론 - 장비 예방점검 철저 시행 - 1,3 gut 선굴착 후 2gut 굴착 실시 (기술선 기술검토 후 적용 결정) Ⅳ. BO팀 활동 현황

  12. ▶ 수직도 Check ▶ 굴착 현황판 활용 ▶ One Point Meeting Ⅴ. 개선사례 및 효과 1.굴착시간 단축 1) 수정굴착 횟수 감소로 (선행호기 gut당 평균 10회 → 평균 3회) 굴착 시간 단축 및 굴착 효율증대 2) 굴착 현황판 제작으로 실시간 공사현황 파악(One Point Meeting 실시) : 실시간 정보 공유로 현장의 Communication 활성화 ☞ 본사 품질안전 점검시 우수사례로 선정됨 ■ 개선 활동 현황

  13. ■ 당초 공정계획 #13,14 바닥 Con’c 타설 기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2/1 02 03 04 05 장비 순서대로 순차적인 시공 ■ 수정 공정계획 4일 단축 #13,14 바닥 Con’c 타설 기간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12/1 02 03 04 05 1,3 gut 굴착 3) #13,14 바닥 CON’C 타설기간 중 1,3 gut 선시공으로 공기단축 (4일 단축 효과)

  14. ▶ Tooth 교체 ▶ 예방정비 강화 ▶ 안정액 수위 유지장치 2.운전원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효율적인 장비운용 가능 1) 암질에 따른 적정 Tooth 선택으로 굴착 효율성 증대 - “J” Type → “W,Z” Type 으로 교체 2) 고장사례 공유로 장비의 유사 고장 예방 (예방정비 활동 강화) 3) 시공 Know-How 전파로 장비의 효율적 운용 - 굴착면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안정액 수위 유지장치 설치 ■ 개선 활동 현황

  15. 3.정밀굴착으로 CON’C 타설 LOSS율 저하 구 분 설계물량 타설량 LOSS 율 비 고 #17 TANK 30,058 M3 31,839 M3 5.9% #14 TANK (선행 호기) 34,631 M3 37,714 M3 8.9% ▶ 선행호기 대비 Loss율 3.0% Point 감소 ▶ CON’C 절감효과 : 902 M3 ( 재료비 50백만원 절감 ) 한번에 정밀굴착!!! BO 팀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