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38

디지털 경제와 e- 비즈니스 개요

디지털 경제와 e- 비즈니스 개요. 부산경상대학 손 종 호. 학습 목표. 디지털 경제의 출현배경을 알아본다 . 디지털 경제의 제품 및 서비스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산업구조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기업 가치인식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기업 간 협력관계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e- 비즈니스의 개념과 구성요소 ( 지원요소와 기반요소 ) 를 이해한다 . e- 비즈니스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한다 . e- 비즈니스의 이슈들을 이해한다 . 환경변화압력. 대응전략.

maris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디지털 경제와 e- 비즈니스 개요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디지털 경제와 e-비즈니스 개요 부산경상대학 손 종 호

  2. 학습 목표 • 디지털 경제의 출현배경을 알아본다. • 디지털 경제의 제품 및 서비스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산업구조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기업 가치인식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디지털 경제의 기업 간 협력관계 변화에 대해 이해한다. • e-비즈니스의 개념과 구성요소(지원요소와 기반요소)를 이해한다. • e-비즈니스의 유형 및 특성을 이해한다. • e-비즈니스의 이슈들을 이해한다.

  3. 환경변화압력 대응전략 대응수단 세계화 Internet 정보의 정보의 수집 / 활용 수집 / 활용 변화의 가속화 Computer (제품수명주기단축) 전자상거래와 전자상거래와 e - 비즈니스 E - 비즈니스 추진 추진 고객중심의 Multimedia Contents 경영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1) 경영환경의 변화 • 경영환경의 변화 요인 : 세계화, 변화의 가속화, 고객중심의 경영 • 정보기술 :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기업에게 새로운 경쟁도구 제공

  4.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 환경변화 압력 세계화 세계화는 국경에 따른 시장구분이 더 이상 의미가 없음을 뜻한다. 경영의 세계화는 정보기술의 활용을 필수적 요건으로 하고 있다. 이제는 전세계 소비자 수요에 부응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어야 성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변화의 가속화와 제품수명주기(PLC)의 단축

  5.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 환경변화 압력 고객중심의 경영 • 성공적 고객중심의 가치 • 경영의 구현을 위해서는 • 먼저 시장 및 환경변화에 • 대한 명확한 이해를 통하여 • 자사의 정확한 위치 파악 • 및 이에 대한 구체적 이유 • 를 규명하여야 한다. • 항목별로 경쟁사와 자사의 • 차이 분석후 목표고객에 • 대하여 자사가 제공하고자 • 하는 절대적 목표가치의 • 설정 및 이를 가장 효과적, • 효율적으로 창출하고 • 전달하기 위한 조직 운영 • 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6.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 대응수단 2)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이동 인터넷의 성공배경 전세계 컴퓨터간 통신 TCP/IP 기술적 배경 인터넷의성공배경 WWW 쉽고 편리한 이용환경 저비용으로 정보획득, 인터넷사용 경제적 배경

  7. 범세계적 의사소통 정보지식공유 정보경험 공동체형성 범세계적 의사소통 정보경험공동체 인터넷의 특성에 따라 정보 / 지식공유 형성 쌍방향상호작용 쌍방향 상호작용 비즈니스환경변화 (고객가치지향) 시간과 공간제약해소 시간과 공간 제약 해소 지원 고객 생애의 가치 창출지원 고객중심의 비즈니스추구 고객 기업 고객 기업 지속적인 관계형성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 대응수단 인터넷의 등장과 비즈니스 전개 방향

  8.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전자상거래의 발전과정 (자료원 : 홍성수, 편효범, 2000)

  9.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3) 패러다임의 변화 메카니즘 소비자 주도시장 ‘소비자 주도라는 패러다임’은 시장을 변화시키고 있는데 그 특징을 정리 하면, 1) 소비자가 공급자보다 시장의 주도권을 갖는다, 2) 구입 전에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3) 정보가 소비가치를 갖는다, 4) 서비스의 맞춤화가 이뤄진다는 것이다. 메트카프 법칙 • 메트카프 법칙이란 ‘네트워크 가치는 • 가입자 수에 비례해 증가하며, 어느 • 시점부터 그 가치는 비약적으로 높아 • 진다’는 법칙을 말한다. • 3Com사의 설립자인 밥 메트카프가 • 1995년에 제창하기 시작하면서부터 • 패러다임 변화의 키워드가 되었다.

  10. 경영환경의 변화와 비즈니스 패러다임 이동 무형자산 • 인터넷 관련 기업이나 정보 관련 •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 가치와 실질 • 자산의 가치가 큰 차이를 보이는 • 기업이 늘고 있으며, 그 차이를 • 설명하는 요인이 바로 무형자산 • 이다. • 무형자산이란 ‘눈에 보이지 않는 • 자산’으로서 유형자산에 비해 그 •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 델 컴퓨터나 아마존 등에서는 • 기업 가치의 80% 이상을 무형 • 자산이 차지하고 있다. 수확체증의 법칙 ‘수확체증’이란 사업 규모가 두 배가 되면 생산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산출량은 두 배 이상이 된다는 ‘규모의 경제’를 설명하는 법칙이다.

  11. 1.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 •  디지털 경제의 확산에 핵심적인 동인(enabler) •  인터넷의 확산은 혁명적 •  6000만명의 사용자 확보 기간 • -라디오: 35년, 텔레비전: 15년, 인터넷: 3년만에 9000만명 이용 •  인터넷의 폭발적인 성장에 비례하여 디지털 경제의 성장도 가속 • 정보통신기술이 기존 산업의 생산성 향상  디지털 경제의 확산 • 세계최초의 컴퓨터 ENIAC: 1946년 개발, 길이 10피트, 폭 150피트, • 초당 5000회 연산 • 현재 펜티엄 장착 PC: 초당 5억개의 명령을 수행 • 1980년대: 구리선에 의한 통신: 초당 1페이지 미만의 정보 전달 • 현재: 광섬유 한가닥을 통하여 초당 10만권 분량의 백과사전 전송 • 디지털 혁명은 경제성장과 사회변혁의 주요 동인 • 새로운 비즈니스와 부의 원천으로서 경제, 사회, 문화, 기술 등의 변화와 연관 디지털 경제의 출현배경

  12. 2. 지식정보에 대한 중요성 증대  인류문명의 성장과 진보  지적인 창조와 기술적 혁신에 의해서 영향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습득 능력은 인류 문명의 발전을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동인 인류문명의 진화과정 -핵심 기반구조(infrastructure)와 원동력(driving force)에 의해 구분 디지털 경제의 출현배경

  13.  컴퓨터와 통신망에 기반하여 산업사회에서 지식정보화 사회로 전이  디지털경제에서 경쟁력 형상의 핵심은 효과적인 인적자원과 지식관리 능력 -과거의 경제성장 핵심: 산업생산 –디지털경제의 핵심적 경제자원: 정보와 지식  지식/정보 사슬모형  데이터(data): 전후 관계의 사실(fact)이나 혹은 묘사(descriptions) 정보: 데이터가 의미 있는 문맥으로 정리된 것  지식: 데이터나 정보를 해석하기 위한 이성, 경험, 노하우를 포함  지혜: 지식에 기반하여 지적인 결론을 이끌어 내는 능력 디지털경제에서 조직들의 핵심 역량: 양질의 데이터 확보와 정보 축적, 그리고 축적된 정보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잘 이용하느냐에 달려 있음. 지식정보화 사회의 도래

  14. 디지털의 특징 • 디지털 경제에서는 정보가 아날로그 형태에서 디지털 형태로 전환 • 아날로그와 디지털: • 아날로그(analog): 자연현상의 상태를 표현, 즉 연속적인 신호나 현상을 그 자체의 물리량으로 나타낸 것 • 디지털(digital)은 이진법의 수치인 0과 1을 통해 모든 정보를 표현 • 디지털의 특징:

  15. 디지털 경제의 개념 • 디지털 경제란? • 디지털 통신 네트워크, 컴퓨터, 소프트웨어, 기타 정보기술에 기반한 경제 • 정보와 지식에 기반한 지식기반 경제(knowledge-based economy)도 디지털 경제에 포함 • 디지털 경제는 새로운 경제적인 체계, 사회적 변혁, 그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등 요구 • 디지털 네트워킹과 통신 인프라스트럭쳐는 사람과 조직이 상호 교류하고 통신하며, 협력 및 정보를 찾기 위한 글로벌 플랫폼을 제공  이런 플랫폼에 기반하여 뉴스, 정보, 책, 잡지, TV, 영화, 전자게임, 음악, 그리고 소프트웨어와 같은 디지털 제품을 언제 어디서나 전달 가능

  16. 디지털 경제의 특징 • 디지털 경제의 특징: 경제적 측면 • 정보의 디지털화와 인터넷을 통한 디지털정보의 네트워크화  디지털화되고 네트워크화된 정보와 지식이 새로운 변화 주도  정보와 지식은 디지털경제에서 주요한 경제적인 가치를 창출  제품거래에 있어 거래비용(transaction cost)과 탐색비용(search cost) 감소 •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과 생산성 증대에 의한 변혁이 촉진  산업경제: 수확체감의 법칙(diminishing returns scale) 따라 운영  디지털경제: 지식과 정보의 디지털화를 통해서 제품을 생산해 내는 경제 수확체증의 법칙(incresing returns to scale)이 지배  기업의 규모 및 사업범위,고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수익이 점점 커지는 현상  경영의 중심이 생산 지향적이기보다는 미션 지향적, 조직구조도 수평화로 바뀜

  17. 디지털 경제의 특징(계속) • 디지털 경제의 특징: 사회적 측면 • 연계된 사회 (wired society)  정보통신기술과 인터넷, 그리고 웹의 기술적 발전으로 인해 개인과 조직들이 밀접하게 연계(intensely interlink)  국가의 경계나 지리적인 거리는 디지털경제에서는 별로 중요한 요인이 되지 못함  지역이나 시간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정보를 엑세스, 처리, 전달, 그리고 저장  전자시장을 통하여 다양한 기업들과 전자적인 연계가 가능  기업의 어떤 유형의 데이터이던지 특정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달이 가능  작업 방식, 비즈니스 프로세스, 일상생활, 레져, 기타 인류의 모든 생활에 일대 혁신을 불러일으킴.

  18. 디지털 경제의 특징(계속) • 디지털 경제의 특징: 문화적 측면 • 개인들의 삶이 영향을 받음  필요한 정보를 입수, 영화를 본다든지, 책을 읽는다던지, 음악을 듣는다던지, 기타 등등의 일들을 가정을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도래  홈네트웍킹, 원격제어 등을 통해 단순히 정보를 가공해 전달해 주는 단계에서 창조적으로 만들어 보다 인간의 삶을 편안하게 해주는 단계로 나아감. • 직업적인 측면  지식 정보화 분야에 근무하는 지식근로자들의 숫자가 공장이나 농장 그리고 건설현장 등에서 일하는 육체적인 근로자들의 숫자보다 능가.  지식 근로자들은 그들의 대부분 작업을 온라인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디지털 비즈니스와 관련되어 새롭게 출현하는 기업들의 제품과 서비스도 전자적으로 제공.  정보통신기술 기반구조와 인터넷과 웹사이트에 기반한 새로운 유형의 신종 직업군 등장

  19. 디지털 경제의 특징(계속) • 디지털 경제의 특징: 비즈니스 측면 • 무형의 제품거래  국가간 경계를 넘나들며 판매와 구매가 수행 ex. 소프트웨어와 같은 무형의 제품 -본질은 아이디어 이고, 물리적인 형태가 없음, 정신적인 노력과 창의성의 산물 • 디지털 제품의 거래  소프트웨어,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DVD 등  판매자의 서버에서 구매자의 서버로의 전자적인 전송  전세계에 산재한 소비자들과 별도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 제품 판매 가능 ex. 미국에서 책 구입: 물리적인 책 -> 몇일 소요 디지털 형태 -> 수초 이내에 전송 • 디지털 경제: 개인과 조직들이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에 기반하여 새로운 부(Wealth)와 가치(Value)를 창출하면서 글로벌한 변혁 촉진

  20. 디지털 경제의 영향 • 대기업과 중소기업 • 모든 기업에게 동일한 비즈니스 환경 제공  디지털 경제는 중소기업들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제공  저렴한 비용으로 온라인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수행 가능  대기업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간접비 부담  보다 저렴한 가격의 제품과 서비스를 인터넷을 통해 판매  대기업과 비교하여 유연한 조직 구조 -> 새로운 경향이나 고객의 요구에 신속 대응 • 고객선호도의 전환  산업경제의 대기업에서 디지털 경제의 신생기업으로 고객선호도 전환 ex. Amazon.com, eBay.com, Dell.com. • 디지털 경제에서 중소기업의 강점과 약점  강점: 조직의 유연성, 사용자 친화력, 개인화 등 약점: 주요 기반구조(infrastruccture)의 확립이 요구 됨  보안, 물류, 통신기술, e-비즈니스 계획 등.

  21. 디지털 경제의 영향(계속) • 구매자와 판매자 • 산업경제와 비교하여 매우 다른 관계  산업경제: 구매자-> 수동적 판매자-> 능동적  판매자들은 시장점유율 유지 및 향상 목적으로 고객 유인  산업경제에서는 고객충성도가 안정적  디지털 경제  구매자: 인터넷을 이용하여 적정 가격대의 제품을 쉽게 탐색  선호하는 가격이나 요구조건 등을 구체화하는 경향  판매자: 고객들의 신뢰도와 충성도를 유지하기 위한 구매자 행위 분석 필수  가격결정  산업경제: 하나의 제품이 생산되기 위해 얼마 정도의 원가가 소요되는가에 의해 가격이 결정  디지털 경제: 고객들이 어느 정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에 따라 가격이 결정  광고유형 기존의 대중매체에 의한 광고에서 역광고 형태로 변화  구매자들이 자신들의 요구사항이나 구체적인 판매자 조건 등을 제시

  22. 디지털 경제의 영향(계속) • 고용자와 근로자 • 웹에 기반한 우수 인력 채용이나 특정 기술 프로젝트 팀 구성 가능 • 근로자들에게도 작업 패턴의 향상된 유연성 제공 • 디지털 경제에서 고용자들이 유의해야 될 몇 가지 사항  투명한 경영과 유연한 노사관계 정립 근로자들에게 동기의식 고취  고객지향적인 기업문화 정립  조직내의 정보나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기업문화와 시스템 개발  웹개발이나 IT관리 및 운영 등에 필요한 교육 수시 제공 • 디지털 경제에서 근로자 측면의 기회적 요인 작업에서 유연성 향상  향상된 자율성  높은 책임감  작업자들과 유대감 향상 높은 작업만족 • 디지털 경제의 기회를 인식하고 새로운 도전을 준비하는 고용자와 근로자는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도모

  23. 디지털 경제의 영향(계속) • 기성세대와 새로운 세대 • 기성세대(old generation)  인터넷의 혜택으로 부터 소외  대부분의 기성세대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지 못하거나 낮은 흥미  디지털 경제가 점점 확대될 수록 기성세대의 생활의 폭이 줄어듬 • 신세대 (new generation)  컴퓨터와 함께 성장  삶의 모든 측면에서 사회생활을 위한 자연적인 수단으로 컴퓨터 인식  디지털 경제는 젊은 세대에게 새로운 부를 창출 할 수 기회제공 ex. Dot.com 기업: 창업자 및 이사진 연소  e-비즈니스 기업: 젊은 세대들을 목표 고객 -> 개인화된 웹사이트 개발  문제점  온라인 쇼핑에서 충동 구매나 카드남발  인터넷의 과다 사용에 따른 중독 • 기성세대와 신세대간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에 대한 대책 요망

  24. 디지털 경제의 영향(계속) • 부자와 가난한 계층 • 디지털 경제의 확산은 개인의 경제적인 능력과 지적인 수준에 영향  가난한 계층의 구매력을 떨어드리는 요인  고가의 PC가격, 높은 통신 비용, 신용카드 결제 등  가난한 계층은 정보와 지식을 액세스하는 데에도 제한적 • 사회의 발전은 참여하고 있는 사람들의 지적인 능력에 좌우  정보화에 소외된 계층에 대한 교육과 사회적인 지원이 필요  정보통신기술에 대한 계속적인 홍보와 교육은 부의 불균형 문제 완화

  25. 디지털 경제의 영향(계속) • 여성과 남성 • 인터넷에 의한 유연한 작업환경 • 사이버 공간은 남성과 여성에게 동일한 작업환경 제공 • 여성들은 사이버 공간에서 많은 일자리 확보 가능  자신들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근무 가능, 재택근무 등 • 디지털 경제의 근로 환경에서 여성들에 관련된 흥미있는 이슈  1) 여성 전용 사이버 공간의 필요성 주장  2) 이러한 편의는 오히려 여성들의 잠재적인 역량을 떨어 드리는 요인 • 디지털 경제에서 요구되는 여성상  기존 산업경제에서의 여성의 위치, 여성의 능력, 여성의 요구와 관련된 동시대인들의 편견에 대하여 실력과 능력으로 극복

  26. 1. 디지털 경제의 패러다임 • 디지털 혁명 (digital innovation).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개인의 삶과 기업 환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 • 디지털 경제 (digital economy).인터넷 및 웹 기술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 정보 기기와 디지털 정보기술을 기반으로 한 정보와 지식을 경쟁력의 원천으로 강조하는 경제. • 인터넷 경제 (Internet economy), 신 경제 (new economy), 웹 경제 (Web economy), 지식기반 경제 (knowledge-based economy), 네트워크 경제 (network economy), E-conomy와 같은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 • 디지털 경제 패러다임의 변화. • 제품 및 서비스의 변화. • 산업구조의 변화. • 기업의 가치인식의 변화. • 기업 간 협력관계의 변화.

  27. 1.1 제품 및 서비스의 변화 • 제품의 디지털화. • 아날로그 시대의 제품들이 디지털 기술 원리를 적용한 제품으로 대체. • 디지털화는 제품 간의 데이터 교환을 용이하게 함. • 새로운 서비스의 등장. • 컨텐츠 자체도 디지털화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서 거래 비중이 급증. • 새로운 형태의 디지털 기반 서비스 탄생. • 인터넷 쇼핑몰. • 커뮤니티, 이메일, 정보검색, 인터넷 게임. • 온라인 상 방송 시청 및 신문, 잡지 구독. • 온라인 음악감상. • 가상교육 (e-learnning).

  28. 1.2 산업 구조의 변화 (1) • IT산업의 성장. • IT 서비스 산업은 새로운 산업 분야로 부상. • SI 업체, IT컨설팅 업체, IT솔루션 업체, ASP (Application Service Provider) 업체들이 급성장. • 닷컴 기업의 출현. • 닷컴 기업.온라인 기반으로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업체. • 닷컴 기업은 정보검색, 인터넷 쇼핑몰, 커뮤니티, 인터넷 서점 등의 서비스를 제공. • 장점: 설립 비용이 적음. • 단점: 수익모델 빈약, 가격경쟁력 심화, 비즈니스 모델 모방 용이성 등.

  29. 1.2 산업 구조의 변화 (2) • e-Transformation 확산. • e-Transformation: 브릭앤모타르 기업이 클릭앤모타르 기업으로 변화되는 현상. • 브릭앤모타르 (brick-and-mortar): 전통적인 오프라인 기업. • 클릭앤모타르 (click-and-mortar): 오프라인과 온라인 전략 모두를 활용하는 기업. • 산업재구성 촉진. • 과거에 독립적인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매체들의 결합 에 의한 촉진. • 음반산업의 구조 급변. • 사진산업의 재구성 촉진. • 웹TV 출현 가능성. • 고객 관점에서의 촉진. • 자동차 기업 GM의 금융서비스. • 전기전자업종인 GE의 금융서비스. • 국민은행의 보험회사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새로운 금융서비스.

  30. 1.2 산업 구조의 변화 (3) • 가치사슬의 변화. • 디지털 경제 환경에서는 기존의 가치사슬이 급격하게 변화. • 가치사슬 변화의 특징. • 탈중개화 (disintermediation). 가치사슬에서 중개상들이 사라지는 현상. • 재중개화 (reintermediation) . 여러 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묶어 새로운 중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과 같은 현상.

  31. 1.3 기업의 가치인식의 변화 • 고객 중심적 관점의 강화. • 정보기술을 통한 고객 관리 역량 향상. • 고객관계관리(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CRM)의 구현에 막대한 재원 투자. • IT기술의 적극적 활용. • 정보시스템을 비즈니스 인프라 또는 경영혁신 도구로 인식하고 막대한 예산을 투자. • ERP(Enterprise Resource Management)전사적 관점에서 기업의 다양한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 • SCM(Supply Chain Management)자사의 입력물 및 산출물에 관련된 기업들과의 비즈니스를 지원. • CRM고객의 반응을 분석하고 고객관계를 강화시키는 다양한 활동 지원. • 지식자산의 가치 중시. • 기업은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선발하며, 지식을 기반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관리 활동들을 수행.

  32. 1.4 기업 간 협력관계의 변화 • 기업 간 네트워킹 강화. • 인터넷과 SCM시스템을 기반으로 공급사슬 상의 경제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이 가능. • 네트워크 경제.기업들이 어떤 기업과 손잡고 일하느냐가 주요한 전략적 이슈로 대두. • 닷컴 기업은 링크를 통한 협력관계가 일반화 되어 있음. • 아웃소싱의 증가. • 아웃소싱기업의 어떤 기능 자체를 다른 기업에게 위탁하는 것. • 최근 기업들의 대표적인 아웃소싱 분야로는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 MRO와 같은 소모성 자재 구매, 물류 제공, 컨텐츠 제공 등이 있음. • 비용 절감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아웃소싱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음.

  33. e-비즈니스 Electronic Commerce 2.1 e-비즈니스의 정의 (1) • e-비즈니스(e-business, e-biz) 정의.개인, 기업, 정부 등을 비롯한 모든 경제 주체들이 디지털 기술에 기반 한 전자적 정보교환 방식으로 경제활동을 수행하는 것. <Laudon and Traver, 2002> e-비즈니스: 거래 활동과 간접적인 기업 내부 활동.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EC): 외부와의 상업적 거래 중심 활동. e-비즈니스 Electronic Commerce <Kalakota and Robinson, 2001> e-비즈니스가전자상거래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 Electronic Commerce e-비즈니스 <Rayport and Jaworski, 2001> e-비즈니스와 전자상거래를 같은 개념으로 정의.

  34. E-비즈니스에 대한 개념 정의 • E-Biz ; 전자 비즈니스가 아니라 확장된 (extended) 개념의 비즈니스, 즉 기존의 비즈니스를 확대한 개념, 시장, 도메인, 인터넷이 중요한 도구 • B2B, B2C, P2P등을 포함하여 기존 사업의 영역 및 시장의 확장을 위해 사업 모델을 변형시키는 전술적/전략적 관점 가진다. • 전자상거래(e-Commerce) 인터넷을 교환의 매개로 하는 개별 사업거래(B2B, B2C포함), e-비즈니스의 특정분야로 파악됨 • 인터넷 비즈니스(i-Business) • 인터넷을 활용하거나 또는 인터넷 자체를 사업의 대상으로 하는 일체의 비즈니스

  35. e-비즈니스 기업(e-Enterprise) • 기업의 모든 프로세스를 네트워크을 기반으로 하고 상품/서비스/정보에 대한 재설계를 통해 Digital Value Chain화 하며, 동종/이종산업과의 연합을 통해 산업변형을 추구하기 위하여 “전략, 사업모델, 사업조직, 사업 인프라를 재구축하는 기업”

  36. 2.2 e-비즈니스의 구성요소 (1) 그림 1.1 e-비즈니스 프레임워크

  37. 2.2 e-비즈니스의 구성요소 (2) • 지원 요소 • 사람(인적) 요소e-비즈니스를 참여하는 일반 개인 및 참여조직. • 공공정책 요소 가상 공간에서의 법률 효력인정문제, 개인 프라이버시 보호 문제, 기술표준 등. • 마케팅과 광고 요소 오프라인과 마찬가지로 중요한 역할. • 공급사슬 요소 물류와 비즈니스 파트너들을 포함.

  38. 2.2 e-비즈니스의 구성요소 (3) • 기반 요소 • 비즈니스 공통서비스 요소거래와 관련된 기술들을 의미. • 메시지 전달과 정보유통 요소 텍스트 또는 멀티미디어 형태로 제작된 메시지와 정보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 •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네트워크 출판 요소웹 상에서 표현되는 컨텐츠 출판 기술들을 의미. • 네트워크 요소 e-비즈니스 활동을 위한 정보전달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공간 및 이와 관련된 정보기술.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