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9

Fast / 기가 비트 이더넷

Fast / 기가 비트 이더넷. 20001051 박성호 20001037 김효재 20031405 김명금 20041292 문창호. 이더넷 표준의 발전 Fast 이더넷 1) Fast 이더넷 개요 2) Fast 이더넷 구조 3) MII, 자동 절충 4) 물리적 계층. 기가 비트 이더넷 1) 기가 비트 이더넷 개요 2) 기가 비트 이더넷 구조 3) 매체 접속 제어 4) GMII 5) 물리 계층. 목 차. 이더넷 표준의 발전.

mitch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Fast / 기가 비트 이더넷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Fast / 기가 비트 이더넷 20001051 박성호 20001037 김효재 20031405 김명금 20041292 문창호

  2. 이더넷 표준의 발전 Fast 이더넷 1) Fast 이더넷 개요 2) Fast 이더넷 구조 3) MII, 자동 절충 4) 물리적 계층 기가 비트 이더넷 1) 기가 비트 이더넷 개요 2) 기가 비트 이더넷 구조 3) 매체 접속 제어 4) GMII 5) 물리 계층 목 차

  3. 이더넷 표준의 발전

  4. 패스트 이더넷(fast ethernet)은 저비용으로 100Mbps에서 동작하는 이더넷 호환의 LAN을 제공하기 위해 IEEE 802.3 위원회에서 개발되어진 표준의 집합 이들 표준을 포괄하는 것은 100BASE-T 위원회는 다양한 전송 매체에 대해서 사용 될 수 있는 다수의 대안들을 정의 Fast 이더넷의 개요

  5. Fast 이더넷의 개요

  6. Fast 이더넷 구조

  7. MII

  8. 자동 절충

  9. 물리적 계층

  10. 100BASE-X 정의된 모든 매체는 단방향 전송시에 100Mbps의 속도가 나온다. 4B/5B NRZI 의 신호 인코딩 방법에 의해서 효율적인 고속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100BASE-TX 와 100BASE-FX의 두가지 물리적 매체의 정의를 포함하고 있다. 물리적 계층

  11. 100Base-TX Category 5 UTP나 STP 사용 한 쌍은 지국에서 허브, 다른 한 쌍은 허브에서 지국으로 가는 프레임 전달 부호화 : 4B/5B 신호방식 : NRZ-I 지국과 허브의 거리 : 100M 이하 물리적 계층

  12. 100BASE-TX의 구현 물리적 계층

  13. 100Base-FX 두개의 광섬유 이용 하나는 지국에서 허브로, 다른 하나는 허브에서 지국으로 프레임 전달 부호화 : 4B/5B 신호방식 : NRZ-I 지국과 허브 사이의 거리 : 2000미터 이하 물리적 계층

  14. 100BASE-FX의 구현 물리적 계층

  15. 100Base-T4 4 쌍의 Category 3 UTP사용 4 쌍중 2쌍은 양방향, 2쌍은 단방향 각 방향으로 동시에 3쌍이 데이터 전송에 사용 하나의 쌍은 오류의 검출을 위해 사용된다. 100Mbps 데이터 흐름을 3개의 33.66Mbps흐름으로 나누어 전송 부호화 : 8B/6T 물리적 계층

  16. 100BASE-T4의 구현 물리적 계층

  17. 기가 비트 이더넷은 802.3z에 처음 정의되었고 1998년 7월에 발표 802.3z는 다양한 네트워크 매체로 반이중 또는 전이중 방식의 1000Mbps 네트워크를 규정 패킷 캡슐화에 사용된 프레임은 802.3 이더넷과 동일하고, 프로토콜(전이중방식)도 다른 이더넷과 마찬가지로 CDMS/CD MAC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기가 비트 이더넷 개요

  18. 표준 및 fast 이더넷처럼, 기가비트 이더넷 표준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요소들은 포함하고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모든 IEEE 802 프로토콜처럼 LCC(논리 링크 제어) 부계층과 MAC(매체접속제어) 부계층으로 구성된다. LCC 부계층은 다른 이더넷 표준과 동일하고, IEEE 802.2를 보면 된다. MAC 부계층은 개념상 CSMA/CD 매커니즘으로 근본적으로 다른 이더넷이라 Fast 이더넷 네트워크와 같지만 구현 방식에 있어서 몇 가지 차이가 있다. 기가 비트 이더넷 구조

  19. 패스트 이더넷에서는 최대 케이블 길이를 100m로 줄였고 최소 프레임 크기와 슬롯타임 그대로 기가 비트는 같은 슬롯의 크기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길이를 10m로 줄어야 하는데 그러면 사용할수 없기 때문에 512바이트의 더 큰 슬롯의 크기를 사용한다. 작은 패킷을 보낼때에는 효율성이 떨어질수 있는데 이를 방지 하기 위해서 패킷-버스팅(Packet-Busting)기능을 캐리어 확장기능과 함께도입 매체 접속 제어(MAC)

  20. GMII는 물리 계층과 MAC 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어떤 물리 계층에서도 MAC 계층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고속 이더넷에서 사용하고 있는 MII(Media Independent Interface)를 확장한 것으로 1000M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한다 GMII는 독립된 8 비트의 데이터 송 수신 경로를 가지고 있어서 전이중과 반이중을 공히 지원 할 수 있다. GMII

  21. GMII

  22. 물리계층

  23. 1000Base-SX 770~860 나노미터 사이의 단파장 레이저 전송 짧은 백본이나 수평 배선용임. 1000Base-LX 길이가 더 긴 단일모드의 광케이블 1270~1355 나노미터 범위 내에서 장파장 레이저 전송 상대적으로 긴 거리를 가지는 백본을 위한 것이다. 둘다 8B/10B의 부호화 방법을 사용 물리 계층

  24. 1000BASE-SX / LX 의 구현 물리 계층

  25. 1000Base-T 별도의 다른 802.3ab의 표준을 가진다. 4쌍의 모든 선을 사용하여 같은 방향으로 전송하여 속도를 얻는 방식이다. 8B1Q4(8bit Quinary Quraret, 8비트 -1 5레벨 4조)라는 새로운 부호화 방식을 기반으로 사용한다. 물리 계층

  26. 1000BASE-T 의 구현 물리 계층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