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27

Postdural Puncture Headache : Whose Headache is it ?

Postdural Puncture Headache : Whose Headache is it ? ( Robert R. Gaiser, M.D. Philadelphia, Pennsylvania, Refresher Course 2005;33:89-100 )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R4 백철민. 개론.

verity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Postdural Puncture Headache : Whose Headache is it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Postdural Puncture Headache : Whose Headache is it ? ( Robert R. Gaiser, M.D. Philadelphia, Pennsylvania, Refresher Course 2005;33:89-100 ) 경희의료원 마취통증의학과 R4 백철민

  2. 개론 • PDPHA(Postdural Puncture Headache)는 • Dural puncture時에 발생될 수 있는 Complication中 가장 흔히 발생된다. • 1898년, August Bier에 의해 • PDPHA는 CSF loss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처음 기술하였다. • 1999년판 ASA Newsletter에 의하면, • 산과마취영역에서 PDPHA가 3번째로(15%) 흔하게 발생되었고, • PDPHA는 ① Maternal nerve damage, ② 마취 중 Pain, ③ Maternal Brain Damage보다 흔하게 발생되었다.

  3. 개 론 • Costigan SN.은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63명의 환자를 조사하였는데, • Headache발생 후,Bed rest가 그들의 가장 큰 불만사항이었다. • 많은 환자에서 Supine position을 취해서 Headache를 약화시킬 수 있기는 하였지만 • 신생아에게 젖을 먹이고 돌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점이 큰 불만으로 조사되었다. • 86%에서는 Epidural analgesia를 다시는 선택하지 않겠다고 대답하였고 • 72%에서는 가족이나 친구에게 Epidural analgesia를 권하지 않겠다고 대답하였다. • 77%에서는 시술 전에 Risk에 대한 경고를 받은 바 없다고 대답하였다. • Tohmo H.는 • 22-Gauge Quincke Needle에 의한 Diagnostic Lumbar Puncture를 당한 218명의 조사에서, • 39%의 환자가 시술 후 7일 이상 일상 생활에서 장애를 겪었다는 사실을 발표하였다.

  4. Symptoms •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는 PDPHA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였다. • Lumbar puncture후 ① 7일 이내에 발생되어서 ② 14일 이내에 사라지는 Bilateral headache • PDPHA는 ① Upright position을 취하면 15분 이내에 악화되고 ② Recumbent position을 취하면 30분 이내에 회복된다. • Sx이 나타나는 부위는 • Head의 Frontal, Occipital area에서 • Neck, Upper shoulders에 걸쳐 나타날 수 있다. • Sx의 발생은 • Dural puncture가 된 지 보통 48시간 이내에 이나, • 3일 이후에 Sx이 나타난 Case도 25%에 이른다.

  5. Symptoms Symptoms • Vandam과 Dripps은 • 척수마취를 받은 10,098명中 8,460명에 대한 Study를 하였는데, • PDPHA의 Duration은 사용된 Needle의 Gauge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었다. ∵ PDPHA가 생긴 730 명의 환자 中, • 26-G Quincke needle을 사용한 군은 평균 4.9日간 두통이 지속되었고 • 27-G Quincke needle을 사용한 군은 평균 3.8日간 두통이 지속되었다. • PDPHA는 • Nausea, Vomiting, Visual disturbance, Hearing alteration이 동반될 수도 있다. • PDPHA에 동반되는 Visual disturbance의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는데, • Vandam과 Dripps은 : 외전신경마비(Abducens nerve Palsy) 때문으로 주장하고, • Lybecker H.는 ① Eyes의 Motor nerves (Ⅲ,Ⅳ번 뇌신경)의 일시적인 Paralysis에 의한, ② Extra-occular muscles의 Dysfuction으로 주장하고 있다.

  6. Symptoms • PDPHA에 동반되는 Hearing Alterations의 원인은 잘 밝혀져 있는데, • Fog J.는 척수마취를 받은 28명의 환자에 대해서 ① ‘수술 전’과 ‘수술 2일 후’에 Audiograms을 실시하였는데, ② 14명은 22-G Quincke needle을 사용했고, 나머지 14명은 26-G Quincke needle을 사용했다. • 10 Decibels 이상의 Hearing Loss는 ① 22-G를 사용한 14명中 13명과 ② 26-G를 사용한 14명中 4명에서 관찰되었다. • Hearing Loss는 Low-Frequency 영역에서 주로 발생되다. • Hearing Loss의 원인은 : CSF Loss로 인해 CSF Pr.가 감소되어서, Inner ear內 압력의 균형을 깨져서 Endolymphatic Pr.와 Perilymphatic Pr.사이의 Balance를 붕괴시키기 때문이다. • Ok은 22G Quincke needle로 척수마취를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① 척수마취 전 후에 청력에 변화가 왔는지를 조사해 봤는데 ② 특이한 변화가 관찰된 환자는 없었다. ③ 환자는 20~40세였고, PDPHA가 나타난 환자는 2명에 불과했다.

  7. Incidence • Incidence of PDPHA [Based on Review of Literrature and Data from Choi. (Can J Anesth 2003;11:4-15)] • Choi PT.가 정리한 오른쪽 표를 보면, • PDPHA의 Incidence는 사용한 바늘이 가늘수록 감소되었고, • Pencil point needle의 Incidence가 가장 낮았고 • Tuohy needle의 Incidence가 가장 높았다.

  8. Etiology • CNS에는 CSF가 대략 150 mL 정도 존재한다. • 이중 75 mL는 척수 Level 상위에 위치하고 • 나머지 75 mL는 척수 Level에 위치한다. • CSF는 평균 0.35 mL/min의 속도로 생산된다. • PDPHA의 발생에 대한 제1의 가설은 • Dural tear에 의한 CSF의 유출이 PDPHA의 원인이라는 것인데, • Kunkle의 자원자에 대한 실험에 의하면, • Lumbar needle을 통해 CSF를 약 10%정도 제거하면 두통이 발생되었고 • 제거된 것과 같은 용적의 Saline을 CSF에 채워주면 두통이 완화되었다. • PDPHA가 있는 환자의 MRI사진에서는 • CSF의 Extra-dural Collection을 관찰할 수 있다. • 즉, PDPHA의 원인이 CSF의 누출이 생산량보다 클 경우에는, • CSF Pr.가 낮아져서  두개강 內의 Cushion effect를 소실하게 되어 두통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 PDPHA의 발생에 대한 제2의 가설은, • 두개강內 Pain sensitive structures가 Traction되어 발생된다는 것인데, • 이 가설을 뒷받침할 증거는 아직까지 발견된 바 없다.

  9. Etiology • PDPHA의 발생에 대한 제 3의 가설은, • Cerebral Venous Dilation으로 인해 Pain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 CSF의 Loss가① CSF Pr.는 감소시키지만, ② Intravenous Pr.는 감소시키지 않기 때문에  Pr.의 차이로 인하여, Cerebral Venous Dilation되어 두통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 Loss-of-resistance technique 中 Accidental dural puncture가 발생한 경우에 대해 살펴본 Study에 따르면, • Aida S.는2955명의 환자에 대한 3730건의 Epidural blocks 시행을 분석했는데, • 총 1~5 mL의 Saline이나 Air를 이용한 Loss-of-resistance technique을 통해 Epidural Space가 확인되었고 • Resistance가 사라지면, 0.5 % Lidocaine이 10 mL Injection되었다. • Dural Puncture는 CSF의 Backflow나 Spinal Block이 된 것을 통해 확인되었고, • Dural Puncture가 의심되는 환자에 대해서는 CT Scan이 행해졌다. • Dural Puncture의 발생률은 Air (2.6%)와 Saline (2.7%)사용 군이 유사했으나, Headache의 발생률은 Air사용군(66.7%)과 Saline사용군(9.8%)간에 큰 차이가 발생되었다. • Air 사용군에서는, PDPHA가 생긴 환자의 78%에서, • CT scan상 Supraspinal Intrathecal Air Bubbles가 발견되었는데, • Intrathecal air에 의한 두통은 Rapid onset과 Shorter duration의 특징을 보였다.

  10. Risk Factors • Dural puncture를 당한 모든 환자에서 PDPHA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 Lybecker H.는 • 22, 25, 26 G Quincke needle을 이용하여총1021회 마취를 경험한 873명을 조사하였는데, • 환자의 연령과 PDPHA의 Incidence는반비례하였고, • PDPHA는 10세 미만에서는 발생되지 않았다. • 남녀 성별에 따른PDPHA의 Incidence는 차이는 없었다. • Vandam과 Dripps에 의하면, • 여성(18%)이 남성(9%)보다 PDPHA의 Incidence가 더 높았는데, • Migraines가 여성에서 더 빈번하고, 특히 월경 기간 中 빈번한 것에 착안한 것에 착안하여  PDPHA 역시 이런 경향을 따르지 않을까 하는 점을 연구하였다. • ① Menstrual cycle과 ② Hormonal Levels는 여성의 PDPHA 발생과는 무관하였다.

  11. Risk Factors • Technique과 Needle의 선택은 PDPHA의 발생에 큰 영향을 끼치는데, • Quincke needle의 경우에는 Technique이 중요하다. • Bevel의 방향은 Dural cylinder의 Longitudinal axis에 평행해야 한다. • Flaaten은 • 18~50세이고 27-G Quincke needle을 이용한 척수마취下에서 Minor non-obstetric surgery가 계획된 212명에 대해서, • 半(106명)은 Bevel의 사면이 Dural cylinder에 Parallel하게 시술하고 半(106명)은Bevel의 사면이 Dural cylinder에 transverse 하게 시술한 후, Headache의 발생 빈도의 차이에 대해 조사하였는데, • ① Parallel한 106명 중에선 4명에서 Headache가 발생되었고, ② Transverse한 106명 중에선 24명에서 Headache가 발생되었다. • Dura mater는 • Collagen과 Elastin fibers로 싸인 기저물질(ground substance)로 구성된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을 함유하고 있고, • 특별한 방향성이 없는 Fibers에 의해 강화된 Laminated structure이다.

  12. Risk Factors • Dittman은 • Cadavers 5구에서 추출된 Lumbar Dura를 20~29 G Quincke needles를 이용하여 Puncturing 한 후 살펴 봤는데, • 각 NeedleSize별로양철뚜껑현상(“Tin-lid” phenomenon)이 분명하게 관찰되었다. • Parallel perforation 時엔① 일부분만 경첩(hinged)이 된 ② 거의 완전히 열린 양철깡통의 상단처럼 보였으나, • Transverse perforation 時엔 매우 둥근 구멍을 형성하였다. • 이러한 양철뚜껑(Tin-Lid)은 Puncturing에 의한 구멍을 닫아줄 수 있기 때문에, 왜 모든 환자에서 PDPHA가 생기지 않는가를 설명해 줄 수 있다. • Parallel Puncture가 TransversePuncture보다 Tin-Lid를 만들기 쉽다. • Epidural needles의 사용시엔, • Bevel의 방향은 PDPHA의 발생률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18-G Tuohy needle에 의한 Puncture로 인한 Leakage의 경우에는 Parallel과 Transverse가 별로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 Lumbar Dura mater의 Thickness는 다양한데, • Needle Penatration에 의해 Hole형성 時 : 얇은 부위보다는 두꺼운 부위에 생긴 경우가 더 큰 Hole을 형성한다. ∴ PDPHA의 발생은 ① 어느 정도는 재수(財數)와 관계되고, 또 어느 정도는, ② Puncture가 생긴 부위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13. Risk Factors • Needle type,즉, Size와 design도 PDPHA의 발생률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 • Quincke needle사용시에는, • Needle이 가늘수록 Incidence가 감소되었다. • Vandam과 Dripps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① 20 G Needle 사용時엔 PDPHA의 Incidence가 16 %인데 비해 ② 24 G Needle 사용時엔 PDPHA의 Incidence가 6 %로 감소되었다. • Kang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① 26 G Needle 사용시엔 PDPHA의 Incidence가 9.6 %인데 비해 ② 27 G Needle 사용시엔 PDPHA의 Incidence가 1.5 %로 감소되었다. • Pencil Point needle의 경우에는, • 바늘의 굵기(Gauge)는 PDPHA의 Incidence에 별로 영향을 주지 않았다. • Headache中 일부는, : Local infiltration needle이 너무 깊이 들어간 것이 원인인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 Sprotte needle의 경우에는, • 22 G와 24 G needle의 incidence가 비슷하였다.

  14. Risk Factors • Second stage의 Management도 PDPHA의 incidence에 영향을 준다. • Angle PJ.은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33명의 산모 中 • 23명은 Active Pushing을 Second stage동안 시행하였고, 10명은 Active Pushing 없이 바로 C/sec을 시행하였는데, • Pushing Group인 23명 中 17명에서 Headache가 생겼고, Non-pushing Group인 10명 中 1명에서 Headache가 생겼다. (∵ Second Stage동안의 적극적인 압박이  CSF Pr.를 증가시켜서  CSFLoss를 보다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 • 이런 현상은 : 만산부(Parturients)가 일반인보다 PDPHA incidence가 높은 이유를 설명해준다.

  15. Prevention and Treatment • Dural Puncture後 PDPHA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 Bed rest가 권장되고 있다. • Thornberry가 • 22-G Quincke needle에 의한 Dural puncture後 ABR 시간과 PDPHA incidence간의 관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 Bed rest를 ① 4시간 한 경우 PDPHA incidence는 11.6 % 였고 ② 24시간 한 경우 PDPHA incidence는 11.9 % 였다. • Cook PT.이 • 25-G나 26-G Quincke needle에 의한 Dural puncture後 24시간 ABR後 PDPHA incidence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 ① 25-G Quincke needle에 PDPHA의 incidence가 55%이고, ② 26-G Quincke needle에 PDPHA의 incidence가 25%로서 • 4시간 ABR後 PDPHA incidence보다 높게 나왔다.

  16. Prevention & Tx. • Epidural analgesia시술 中 Dural Puncture가 된 경우, • Subarachnoid Space로 Catheter가 관통될 수 있는데, • 이 Dural tear에 있는 Catheter를 제거해서,  Dura의 Hole을 봉인할 수 있는 Inflammatory reaction을 유발해 줘야 한다. • Norris와 Leighton은 • Subarachnoid Catheter가 꽂힌 상태에서 발생된 PDPHA의 Incidence나 Severity가 Catheter가 꽂히지 않은 상태에서 발생된 PDPHA의 Incidence나 Severity와 별 차이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 이 Study에서 Catheter는 Delivery가 종료된 후 제거되었다. • Liu N.는 • ① Catheter를 12시간에서 24시간 사이에 제거하고, ② 피실험자를ⓐ평균나이 70세이면서(∵ 젊은 환자군 보다는 PDPHA의 Risk가 Low ) ⓑ정형외과 수술을 받는 환자로(∵ 만산부 보다는 PDPHA의 Risk가 Low ) Norris와 Leighton의 Study Design을 약간 변형시켰는데, • Intrathecal Catheter를① 유지시켰다가 제거하는 것보다는 ② 즉시 제거하는 것이 보다 낫다는 결론을 내렸다. • 하지만, 이 Study의 경우 : PDPHA Risk가 너무 낮은 집단에서 실험군을 모집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17. Prevention & Tx. • Ayad S.는 • Liu N.의 실험에서 피실험자를70세 이상의 고령자 대신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만산부(parturients) 115명으로 변경 後,  무작위로 다음의 3 군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하였다. ① Epidural Catheter의 위치를 옮겨준 群 ② 분만 즉시 Intrathecal Catheter를 제거해준 群 ③ 분만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Intrathecal Catheter를 제거해준 群 • 각 군의 PDPHA Incidence는 ① Epidural Catheter의 위치를 옮겨준 群이 91.1%, ② 분만 즉시 Intrathecal Catheter를 제거해준 群이 51.4%, ③ 분만 후 24시간이 경과한 후 Intrathecal Catheter를 제거해준 群은 6.2%였다. • 이 Study 결과에 따르면, ① Dural Puncture後 Subarachnoid Catheter를 24시간 정도 거치 後 천천히 제거해주는 것이 PDPHA Incidence를 낮췄다. ② 또한, Norris와 Leighton의 Study 결과가 신빙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18. Prevention & Tx. • Normal Saline의 경막내투약(Injection of intrathecal normal saline)이 • Accidental Dural Puncture後 PDPHA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 및 예방법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는데, • Charsley MM.는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산부인과 환자 28명(이중 6명은 Intrathecal Catheter가 삽입되어 있었음)에게 N/S 10cc 를 ‘경막내 투약’하였고, • 대조군으로서, 26명(이중 5명은 Intrathecal Catheter가 삽입되어 있었음)의 환자에겐 N/S의 ‘경막내 투약’을 하지 않았다. • 위 환자군 中 Intrathecal Catheter가 삽입되어 있지 않은 환자에 대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 N/S ‘경막내투약’群에선 22명 中 7명에서 PDPHA가 발생됐고, • 非 N/S ‘경막내투약’群에선 21명 中 13명에서 PDPHA가 발생됐다. • 위 환자군 中 ‘Epidural blood patch (EBP)’가 필요했던 환자는, • N/S ‘경막내투약’群에선 22명 中 1명이었고, • 非 N/S ‘경막내투약’群에선 21명 中 9명이었다. • 즉, Epidural Needle제거 前에 N/S 10 cc를 Intrathecal Injection하는 처치는, • PDPHA Incidence에는 영향을 비치지 않았으나 • ‘Epidural blood patch (EBP)’의 필요성은 감소시켰다. • 하지만, 대규모 인원에 대한 조사가 더 이뤄져야 할 것이다.

  19. Treatment • PDPHA의 Tx에는 3가지가 권장되고 있다. • Conservative Therapy. • Epidural Saline Administration • Epidural blood patch (EBP) • Conservative Therapy • 종류 : ① Bed rest, ② Analgesics, ③ Intravenous hydration, ④ 기타약물치료( Caffeine, Sumatriptan ) 1) Caffeine • PDPHA 치료용으로 널리 쓰임 (∵ Cerebral vascular resistance ↑  cerebral blood flow ↓  cerebral blood volume ↓ )

  20. Sechzer PH.는 • 22-gauge Quincke needle로 척수마취를 받은 1932명의 환자 中 PDPHA가 생긴 41명을 대상으로 해서, • 임의로 Saline을 IV하거나 Caffeine benzoate 500㎎을 IV하였는데, • Caffeine은 ① 85 %에서 효과적이었고, ② 2명에서는 한차례의 Repeat dose를 필요로 하였다. • 1932년에 Sechzer PH.에 의해 행해진 이 Study 이후 ① 임의의 피실험자에 대한 CaffeineIV를 하는 어떠한 Study도 행해진 적이 없고, ② Epidural needle에 의한 Accidental Dural Puncture에 Caffeine이 효과적인지 여부에 대한 어떠한 Study도 행해진 바 없다. • Camann WR.은 Oral caffeine 300㎎ 투약에 대한 Study를 시행하였는데, • 투약 후 4 시간까지는 PDPHA Sx.의 경중에 차이가 있었지만, • 투약 후 24 시간 후에는, ①PDPHA Sx.의 경중에 차이가 없었고, ② Epidural blood patch (EBP)의 필요성에도 차이가 없었다. • IV Caffeine 투약은 위험하다. • Caffeine benzoate를 IV한 後 Grand mal seizure를 일으킨 증례가 몇 건 학회에 보고되어 있다.

  21. 2) Sumatriptan • Migraines에 효과적인 Cerebral Vasoconstrictor이다. (∵ Sumatriptan이 Serotonin Receptors에 결합해서  Vasoconstriction을 유발 ) • Carp H.는, • PDPHA가 생긴 6명에 대해서, • Sumatriptan 6 mg을 Subcutaneous injection하였는데, • 6명 中 5명에서 치료 효과를 경험하였다. • 하지만, Connelly NR.는, • PDPHA가 있는 10명의 환자에 대해서, • Randomized Blinded Study를 하였는데, • Sumatriptan 6 mg을 Subcutaneous injection한 群과 N/S을 Subcutaneous injection한 群간에 차이점을 발견하지 못했다.

  22. Treatment • Epidural Saline administration • ‘경막외강’으로 Saline을 투약하는 것이 PDPHA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 ∵ Epidural Saline Administration Epidural Pr. ↑  CSF Outflow ↓ ) • Bart AJ는, • 25-G Needle에 의한 PDPHA환자 15명을 대상으로 • Epidural Space에 Saline 30 mL를 투약하였는데, • 15명 中 9명에서 Pain을 Relief시킬 수 있었다. • 하지만, 17-G Needle에 의한 PDPHA환자의 Pain Relief에는 효과가 없었다. • Epidural Saline은 • 주변 조직으로 흡수되기 전까지 일시적인 Pain Relief효과 밖에 없다. • Stevens RA.의 Study에 따르면, : Saline Continuous Infusion을 한 경우 Pain Relief에 큰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한다 • Barrios-Alarcon J.의 Study에 따르면, • Dextran은 ‘경막외강’에서 천천히 흡수되기 때문에 : PDPHA의 치료時 사용되고 있는데, • 단점으로서 • Injection Site에서 Burning sensation을 느낄 수 있고(3.5%), • 감각이상(dysesthesia)이 발생될 수 있다 (7.1%).

  23. Treatment • Epidural blood patch (EBP) • Gormley는 • 1960년에 Blood가 Sealing Material로서 쓰일 수 있다는 추론 下에 • 7 cases에서, Blood 2~3 mL를 Dural Puncture가 된 같은 level에서 Lumbar epidural space로 주입하였고 • Pain Relief 효과를 봤다고 학계에 보고하였다. • Taivainen은 • Gormley와 같은 방식으로 시술하되 Blood 10 mL를 주입하였고 • 91%에서 효과를 봤으나, 30%에서는 Pain이 재발되었다. • Crawford는 • Gormley나 Taivainen과 같은 방식으로 시술하되 • Back이나 Leg pain이 생길 때까지, Blood를 20mL 이상 주입하였는데, • 98명 中 97명에서 완벽한 Pain Relief를 했다고 학계에 보고하였다. • EBP의 작용기전은 크게 2가지인데, 1) Thecal space를 압박  Subarachnoid Pr. ↑ 2) Clot을 형성하여 더 이상의 CSF leak를 막아서 치료효과를 유지시키는 것

  24. Treatment • ‘경막외강’으로 들어간 Blood는 • 7~14 Spinal segments 정도 퍼지는데, • 평균적으로는, 상방으로 6 Segments, 하방으로 3 Segments 정도 퍼진다. • Blood Patch後 MRI 촬영을 해보면, • 주로, ① Posterior Extradural Space內에서 Large Blood Collection을 관찰 할 수 있으나, • ② Anterior Epidural Space, ③ Intervertebral Foramina 근처(外部), ④ Paravertebral Space 안쪽 (內部)에서도 Blood Collection을 관찰 할 수 있다. • Complications • Back pain (35%의 환자에서 처음 48시간 내에 발생되고 16 %의 환자에서 평균 27일간 지속된다. ), • Bradycardia, • Cauda equina syndrome, • Pneumocephalus, • Cerebral ischemia

  25. Treatment • 기타 : 1) Tom DJ.는 • HIV(+)인 환자에서 Adverse Sequealae없이 EBP를 시술하였다. 2) Hebl JR.는 • 이전에 EBP시술을 한 환자에서의 EBP 재시술이 Contrindication이 아니라고 발표하였다. • EBP시술의 적절한 Timing은 학계에서 논쟁에 빠져 있다. 1) Loeser EA.는 • Dural Puncture24시간 이내에 EBP시술 時 실패율이 71%인데 비해 • Dural Puncture24시간 이후에 EBP시술 時 실패율 4%의 치료성과를 얻었다. 2) 반면에, Williams EJ.는 • Dural Puncture 24시간 이내에 EBP시술 時, • 33% complete relief, 50% partial relief의 치료성과를 얻었다.

  26. Treatment 3) Banks S.는, • Dural Puncture 48시간 이내에 EBP를 시술한 경우에 • PDPHA의 재발률이 상당히 높은 점에 주목하였다. 4) Safa-Tisseront V.는, • 504명에게, Pain relief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EBP를 시술하여, • 75% complete relief, 18% incomplete relief, 7% no relief 의 치료성과를 얻었다. • 이 결과를 바탕으로 해서, Dural puncture 3일 이내에 EBP를 실시하는 것이, 교차비(odds ratio) 2.63으로서, PDPHA 치료 실패의 위험인자(risk factor)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는데, • 이는, 치료 성공을 정의하기에 따라서, EBP의 치료성공률이 75~95%에 이른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러한 결론에서 문제가 되는 점은, EBP를 Dural Puncture 3일 이내에 실시한 환자군은 3일 이후에 실시한 군에 비해서, 아마도, ① Sx.이 보다 심했을 것이고, ② CSF leak가 더 컸으리라는 점을 간과했다는 점이다.

  27. Treatment 5) Scavone BM.은,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만산부(Parturients)中 • 임의로64명을 선발하여 ① 32명에게는 prophylactic EBP 20 mL를 실시하였고 ②32명에게는 헛주사(sham injection)을 실시하였다. • PDPHA는 ①,② 각 群에서 32명中 18명에서 발생되어서, • 치료 성과면에서 볼 때, ①,② 각 群의 차이가 없었다. • 정리해보면, • Accidental dural puncture를 당한 모든 환자에서 PDPHA가 생기는 것은 아니고, • PDPHA가 생긴 모든 환자에서 EBP시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 오히려, Prophylactic EBP를 실시함으로 인해서, ① 일부 환자에서는 별 이득 없이, 불필요하게, ② EBP로 인한 Risk Factor에만 노출될 수도 있음을 염두에 둬야 한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