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2

Ch 9. Understanding work teams

Ch 9. Understanding work teams. 이 병 철. < 목 차 >. 팀의 개념과 유형 효과적인 팀 모델 개인에서 팀 플레이어로의 전환 및 팀관련 이슈들. 팀의 개념과 유형. 1. 팀 (team) 과 집단 (group). * 팀 (team) 과 전통적 조직의 차이점. 2. 팀 (team) 의 유형. 1) 문제해결팀 (Problem-Solving Teams). 구성 : 동일한 부서의 구성원 5-12 명으로 구성된 집단

chrissy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Ch 9. Understanding work teams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Ch 9. Understanding work teams 이 병 철

  2. <목 차> 팀의 개념과 유형 효과적인 팀 모델 개인에서 팀 플레이어로의 전환 및 팀관련 이슈들

  3. 팀의 개념과 유형 1. 팀(team)과 집단(group)

  4. * 팀(team)과 전통적 조직의 차이점

  5. 2. 팀(team)의 유형 1) 문제해결팀(Problem-Solving Teams) • 구성: 동일한 부서의 구성원 5-12명으로 구성된 집단 • 목적: 품질개선, 효율성 증진, 작업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 매주 몇 시간 정도 시간을 내서 토론하는 집단 2) 자율관리팀(Self-Managed Work Teams) • 구성: 서로 깊이 연관된 직무를 수행하는 종업원 10-15명으로 • 구성된 집단 • 목적: 계획, 작업스케줄, 작업 속도 조절, 운영상의 의사결정, • 문제에 대한 조치, 팀원의 선발과 성과 평가 등 감독자가 • 수행하던 권한을 그대로 부여 자율적으로 관리 하는 집단

  6. ** 참고: 기업의 자율관리팀 운영성과 출처: Leading self-directed work teams, Kimball Fisher, McGraw-Hill, Inc.

  7. 3) Cross-Functional Teams • 조직내에서 같은 직급에 있지만 다른 업무 영역을 가진 종업원들로 • 구성되어 과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으로 협력하는 집단 • ex> Task force, committees 4) Virtual Teams •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따로 떨어져 있는 구성원들을 •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묶어 놓은 팀 • ex> 비디오 화상회의, E-mail 활용

  8. 효과적인 팀 모델 1. A team effectiveness model 작업설계 구성 • 자율성 • 기술다양성 • 과업정체성 • 과업중요성 • 능력 • 성격 • 역할과 다양성 • 규모 • 유연성 • 구성원의 선호도 팀 효과성 상황 과정 • 적절한 자원 • 리더십 • 성과평가와 보상체계 • 공통의 목적 • 구체적 목표 • 팀 효능감 • 갈등 • social loafing

  9. 2. 작업설계(job design) • 직무특성이론(job characteristics theory)에 근거한 작업 설계 3. 구성(composition) • 능력: 전문지식, 문제해결능력, 의사결정능력, 대인관계 기술 등 • 성격: 외향성, 친화성, 성실성, 정서적 안정 등 • 역할과 다양성: 9가지 팀내 역할(뒷장 참조) • 규모: 효과적인 팀 규모는 4-12명 정도 • 유연성: 유연성이 높을수록 적응력도 높음 • 선호도: 혼자보다는 팀의 일원으로 일하기를 좋아함 4. 상황(context) • 적절한 자원(Adequate resources): 외부로 부터의 자원 지원 필요

  10. 리더십과 구조(Leadership and structure) • 성과평가와 보상체계(Performance evaluation and reward systems) • : 팀의 몰입과 노력강화를 위한 체계 마련 연결자 (Linker) 창조자 (Creator) 조언자 (Adviser) 조정과 통합 창의적 더욱 많은 정보 탐색 격려 아이디어 제시 촉진자 (Promoter) 제안된 아이디어의 촉진자 역할 Team 지원자 (Maintainer) 외부 공격으로 부터 팀을 지킴 대안에 대한 통찰적 분석 제공 보좌역 (Assessor) 세부사항 체크 조직화 및 규칙의 집행 방향 제공과 실행 담당 통제자 (Controller) 조직자 (Organizer) 프로듀서 (Producer)

  11. 5. 프로세스(Process) • 공통의 목적: 팀의 나아갈 방향과 추진력 제공 • 구체적 목표 • 팀 효능감 • 갈등: 순기능적 갈등 vs 역기능적 갈등 • social loafing

  12. 개인에서 팀 플레이어로의 전환 및 팀관련 이슈들 1. 팀플레이어로 전환시키기 위한 고려사항 • 선발: 선발시 기술적 능력 뿐만 아니라 팀의 역할을 완수할 수 있는 • 대인관계능력 고려 • 훈련: 워크샵 등을 통한 문제해결, 의사소통, 협상, 갈등 관리, • 코칭 지도 • 보상: 경쟁적이기 보다는 협력적 보상체계 필요 2. 팀 구성원의 다양성에 대한 장/단점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