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2

2004-2008 유통산업발전 5 개년 기본계획 연구

2004-2008 유통산업발전 5 개년 기본계획 연구. 2004. 4. 29. 최 장호 에프씨홀딩스 대표 안 승호 숭실대 교수. Ⅰ.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의 필요와 목적. 기본계획의 필요성.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2004-2008 유통산업발전 5 개년 기본계획 연구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4-2008 유통산업발전 5개년 기본계획 연구 2004. 4. 29 최 장호 에프씨홀딩스 대표 안 승호 숭실대 교수

  2. Ⅰ.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의 필요와 목적 기본계획의 필요성 • 유통산업발전법(제5조)에 의거하여 수립되는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99~’03년)이 ’03년 말에 만료됨에 따라 04~’08년의 5년동안 우리 유통산업의 발전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추진할 전략을 담은 차기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04~’08)을 마련해야 함. • 유통구조의 변화가 가속되어 가는 가운데, 대규모유통과 중소유통간, Off.line유통과 On.line유통간, 그리고 점포유통과 무점포유통간에 치열한 경쟁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 와중에서 지방유통업은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임. • 더욱이 우리 경제가 이전과는 달리 비교적 낮은 성장기조를 견지하고 있는 데다가 제조업의 해외이전이 활발해 짐에 따라 서비스산업이 우리 경제를 이끌어 나가는 역할이 더욱 중요해 지고 있음. • 따라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는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04~’08)의 수립을 통해 유통산업의 구조 변화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나가게끔 하여야 할 것임. 유통부문에 대한 정책이 여러 부처에 걸쳐 추진되고 있음에 비추어 기본적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과제들을 질서있게 정함으로써 유통산업이 우리 경제의 지속 성장에 밑받침이 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음. 2) 기본계획의 목적 동북아경제 중심 시현에 부합되는 유통산업의 방향 제시 유통산업발전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하는데 기여 지방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유통산업의 발전 유도

  3. II-1. 유통 산업의 역량과 기여도 • 유통산업은 생산과 소비의 중간영역에서 경제성장과 제조업의 경쟁력 제고 및 소비자 후생 의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 GDP의9.7%, 고용의 18.1% < 유통산업의 국민경제적 비중 > (단위 : %, ‘95기준 불변가격기준)

  4. II-1. 유통 산업의 역량과 기여도 • 유통단계의 축소에 의한 유통구조 변화로 소매가격 하락을 통한 소비자 물가안정에 기여 • 할인점의 가격하락과 경쟁업체의 가격인하로 소비자물가 하락 효과 : 1996년~1999년 마이너스 1.79%포인트( 연평균 0.45%, 한국은행, 2000.1) • 유통산업 0.1% 추가 성장시, 소비자물가 0.05%포인트 하락( 한국경제연구원, 2002) • 경제성장에 대한 기여도 증가 • 유통시장 개방 이전 (1990년~1995년) 연평균 9.3%, 개방 이후 (1996년~2001년) 연평균 11.2%로 연평균 성장기여율이 1.8%포인트나 증가(숙명여대, 경제경영연구소, 2002)

  5. II-1. 유통 산업의 역량과 기여도 •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유통시스템의 효율화를 통해 생산성 향상을 함. • 유통정보화 진전, 유통정보화 진전, 유통신업태 성장 등으로 인한 유통부문의 생산성 증가가 미국의 신경제를 주도(매킨지 보고서, 01.10월) •95~99기간중 미국의 전산업 생산성증가 기여도 1.33% 중 도․소매업이 0.71% 기여 • 고용창출효과가 크고 특히 여성의 고용이 활발 •홈쇼핑등 신업태의 경우 여성 고용창출에 큰 역할 담당하고, 특히 콜센터 등을 지역에 분산설치하여 지역고용에도 기여 •유통산업은 매출액 10억원당 50~60명의 취업을 유발 •유통산업이 산업규모에 비해 고용을 많이 하고 있는 특성을 나타냄

  6. II-2. 유통 산업의 구조적 취약성 • 국내유통산업의 영세성 • 대다수가 생계유지형 중소유통업 • 저생산성과 비효율성 •최근에 들어 급격히 향상되고 있으나 외국 그리고 타업종에 비해 아직 낮은 수준 •제조업 대비 노동생산성: ’01년에 60.5(제조업 = 100) • 유통, 물류 정보화 및 표준화 인프라 미비 • 해외진출 역량 및 경험의 부족 • 대규모 소매업체와 중소유통업체간의 갈등 문제 • 선진국에 미치지 못하는 유통거래시스템 •상거래질서, 소비자보호

  7. II-3. 유통정책의 평가 제1차 유통산업발전 기본계획 실행의 평가 • 유통산업의 경쟁력강화를 위해 • 유통구조의 선진화, • 유통효율화기반 구축, • 유통환경의 개선, • 유통산업의 국제화를 기조로 • 추진전략을 제시 정책기조 • 대형할인점, 편의점,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 신업태의 시장 진입 활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 재래시장 재개발․재건축, 경영현대화사업 추진 및 법적근거 마련, 중소상인 교육․연수사업 등 중소유통구조혁신사업 추진 • 전자카탈로그(23만건), 표준바코드(15,146업체), 표준전자문서 등 유통정보화 촉진 및 SCM 시범사업 추진 등 유통 효율화 촉진 • 국내유통업체의 중국진출(23개사) 및 외국인투자 확대 주요실적

  8. II-3. 유통정책의 평가 유효경쟁에 의한 유통정책 ○ 이론적으로 유통산업은 유효경쟁론에 의하여 시장매카니즘이 제대로 작동하게끔 하여 중소유통에게 불리한 경쟁조건을 보완해 주고 공정경쟁을 유도하는 유통조정정책이 필요함. 그 핵심은 신업태의 시장 진입장벽을 낮추어 경쟁 촉진하고, 중소유통의 자생력을 강화하여 경쟁력 제고하며 유통인프라의 구축과 정비로 유통 효율 증진. ○ 유통근대화로 시작된 유통산업정책은 전방위적 경쟁시대를 맞은 작금, 유통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경쟁을 촉진하고 각종 규제를 완화하면서 세제와 자금지원의 확대, 중소유통의 조직화와 협동화의 유도, 유통정보화와 산업물류체계 혁신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추진. 경쟁력이 취약한 중소유통업이 받게 되는 환경변화의 부정적인 영향을 제거 내지는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추진. 유통정책의 방향 유통정책의 평가 ○ 종합적으로 유통 정책은 “확대되어야 하는 정책”임. 신업태의 시장 진입을 통한 경쟁 촉진을 제고시키기 위한 정책의 추진과 함께, 선택과 집중의 원칙에 따라 성공가능성과 유통혁신의 의지가 있는 시장․중소점포를 대상으로 전문화 및 시설현대화 등 중소유통구조혁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점이 양호한 평가. 이와 함께 유통정보화의 촉진과 SCM과 같은 유통 효율을 위한 실천적 과제를 추진하고 산업물류의 혁신을 위한 다각적인 정책과 시책의 추진도 성과가 매우 큼 더욱이 중소유통지원사업은 새로운 유통환경 속에서 중소유통업으로 하여금 자생적인 경쟁력을 갖 추어 지역균형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 

  9. III-1. 국내 유통 산업의 동향 • ’96년 유통시장 개방과 IMF 이후, 재래식과 현대식의 이원적이었던 우리 유통산업은 새로운 유통업태의 확산으로 다원적 구조가 되었음. • 대형할인점 : 245개(2002년) , TV 홈쇼핑 : 5개사, 4조 2,749억원(2002년) • 재래시장․중소수퍼 등 생계의존형 유통구조에서 백화점․ 할인점․체인화 편의점 등 기업형 유통구조로 전환중 •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대형점의 지방진출 가속화와 지방중소유통업의 침체 가속 • IT 및 뉴미디어의 발달에 힘입어 카탈로그판매, TV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등 무점포업태가 새로운 유통채널로 등장

  10. III-1. 국내 유통 산업의 동향 • 유통산업내의 다면적 경쟁구조는 협력과 갈등을 발생시키고 있음. • SCM 추진에 의한 제조업과 유통업의 전략적 제휴 •대형할인점의 강한 구매력 발휘, 중소유통업의 공동구매와 조직화 강화로 인한 제조업과 유통업의 거래조건을 둘러싼 갈등. • 유통에 엔터테인먼트 개념이 부가된 엔터테인먼트 쇼핑몰, 체험 전문점 등이 각광받고 있음(ex. 코엑스몰, 바디샾 등) • 소비자 요구의 다양화 및 유통시장에서 고객파워가 증대되면서 고객관리기법(CRM) 등 첨단유통기법이 발전 • 외국과 FTA 체결, 글로벌 소싱의 확대, 글로벌 스탠더드의 도입 등 국내유통업계의 글로벌화 가속

  11. III-2. 선진국 유통 산업의 전반적 동향 • 다국적 유통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는 가운데, 글로벌 소싱이 중요한 경쟁 우위요소로 대두 •세계 100대 소매기업 중 미국․독일․영국․프랑스․일본 등 5개국이 89%를 점유(‘02년,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수 : 미국 44, 영국 10, 독일 9, 프랑스 9, 일본 9, 한국 : 없음 • 세계 유통산업의 리딩기업들은 유망시장 선점, 글로벌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해외진출을 경쟁적으로 추진 •월마트(03. 8.) : 전세계 4,777 점포(미국 3,468 점포, 중국 40 점포) •까르푸(03.12.) : 전세계 6,074 점포(프랑스 2,282 점포, 중국 31점포) •중국내 시장점유율(99년) : 월마트(15%), 까르푸(5%)

  12. III-2. 선진국 유통 산업의 전반적 동향 • 유통업계 전반에 걸쳐 정보화와 공급체인관리(SCM)전략이 진전되어 대형유통과 중소유통의 정보 격차 확대 • 최근 모바일 비즈니스, RFID, SCI(Supply Chain Intelligence) 등 새로운 유통정보화 기술이 등장하고, 선진 유통기업들은 RFID 활용을 확대하는 추세 •Wal-Mart(美)는 ‘05년부터 100대 물품 공급자에게 RFID부착을 의무화하고 Metro(獨)은 라인버그市에 Future store를 개설, 자동계산대, 지능형 진열대 등 내부 업무프로세스 향상 위한 프로젝트 추진 중 • 온라인쇼핑 등 전자상거래 규모 급성장으로 유통산업이 입지산업에서 정보산업으로 구조전환 진전 • 유통업체들의 사업다각화, 틈새시장 공략 추진으로 유통과 오락, 유통과 제조 등 이종업종간 융합 진전

  13. III-3. 선진국 유통 산업의 동향 일본의 유통 현황 • 경기하락에 따른 소매업계의 경영난 가중 • 2000년 약 130만 43점포로 1999년도(140만 688점포)에 비해 7.6%가 감소하였음.점포 수 감소는 종업원 4명 이하의 소규모 점포임 (1999년 대비 -9.8%) . • 도심의 중심시가지 공동화, 과도한 점포수, 이업종의 소매업 진출, 세계적인 대형할인점의 일본시장 진출로 경쟁심화 • 시장(상점가)의 정보화, 도시중심가, 상점가의 재개발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 미국의 유통산업은 유통업체들의 사업다각화 및 틈새시장 적극 공략 추진이 가속화되면서 유통과 오락산업, 제조업과 소매업, 그리고 숙박업과 판매업의 결합하고 있는 것이 추세임. 또한 대형 유통업체들이 첨단 재고관리 시스템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나, 이를 제조업체 및 중간도매상들에게 전가시키려 함. • EU는 지난 10년간 유럽의 유통시장은 창고형 대형매장 및 할인점의 급격한 성장, 유통점 자체 브랜드의 확대, 고객지향적 서비스의 발전, 바이오 식품과 환경친화적 상품의 매출증대 등으로 특징지워짐. 대형 유통점의 성장에 반해, 중소형 소매점은 감소를 지속하고 있음. 미국과 유럽의 유통 현황

  14. III-4. 선진국의 유통정책의 시사점 • 유통 가이드라인 제시 - 일본 : 대형점 출점 후, 주민들이 지자체에 직접 교통·환경 문제점 제기 및 지자체 답변시 가이드라인 제공- 유럽 : 영국 PPG6, 프랑스 Raffarin Lae 등 가이드라인 제시 및 국가의 전지역 통합 규제방식 보다는 지자체의 자율적 판단에 따른 규제 운영- 미국 : 연방정부는 거시적이며 시장경제의존 정책(정부의 직접금융지원보다 민간 금융기관의 전문성과 책임 강조 등)을 사용하고, 주정부 혹은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 개발 시행. • 정책의 통일성·일관성과 사회적 가치 보호- 일본 : 소매업,도매업,메이커의 전체적인 조화기조에서 각 기관의 통일적 정책 추진 - 유럽 : 도시계획, 노동자 후생, 소비자보호라는 정책목표 아래 점포의 개설과 증설,영업시간, 판매활동, 노동자 보호에 관한 규제 운영- 미국 : 소비자의 이익보호와 정부 개입의 최소화라는 원칙아래 “자유롭고 공정한 거래를 보증” 하기 위한 기술 혁신, 원활한 자본공급, 교육·훈련 지원

  15. III-4. 선진국의 유통정책의 시사점 • 도매업의 장기적 육성- 일본 도매업은공동배송을 통한 물류의 Low Cost 확보와 다수메이커 거래를 통한 상품구색력 확보 및 중소유통·점포에 대한 장기적 지원체제 보유- 도매업의 retail support 기능, 3PL 기능, 레이아웃 지원 기능 등- 프랑스 경우 구매그룹이 중소유통을 지원 (상위 6개 그룹이 97.7% 점유) - 미국의 경우 체인본부·도매업자와 메이커를 연결하는 Food Broker의 발달 • 점포진단 사업과 Brand 관리- 점포진단을 통해 점포의 객관적 현황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점포경영효율을 측정함으로써 점포발전모델 제공- 영국의 경우 슈퍼마켓 등 공동브랜드 사용, 프랑스의 경우 업태별 개별 브랜드 사용- 미국의 경우 대학 등 고등교육기관의 SBDC(Small Business Development Center,중소기업 개발센타)의 설립, 중소유통업 사업개발 지원, 퇴직임원 중심의 퇴직 경영자 봉사단 운영 및 전문가 Pool에 의한 중소유통업 자문 지원.

  16. III-5. 국내외 여건의 변화 수요의 다양성 확대와 인구통계학적 변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와 소비자구매 형태의 변화 • 낮아지는 출산율 • 높아지는 고령화 비율과 실비사장(2002년 7.2%→ 2010년 10.7%) • 부부중심의 세대, 젊은 층의 시장 증가, 독신세대 중가 • 주생활 소비 증가 • 퓨전 스타일의 소비생활 • 감성소비와 이성소비의 공존 • 비합리적 소비 위축 • 안정적, 그러나 • 저성장시대의 본격적 도래 • 생계 유지형 소비생활 패턴 • 사교육비와 노인부양의 증가 소비자 주권시대의 도래 • 주 5일제 실시 • 엔터테이먼트가 강화된 쇼핑 • 사회성 여가 활동의 증가 • 행복에 대한 진지한 노력 • 유통업에 대한 입지, MD, 서비스 의 변화 • 소비자 보호제고의 강화 • (PL과 집단소송제 등) • 청소년 유해상품의 철저 통제 • 소비자와 기업간의 정보의 비대칭성 사라져

  17. 전자상거래와 모바일 비즈니스의 확대 아웃소싱 물류의 확대와 물류인프라 중요 • 멀티 채널로 cross-shopper 증가 • 지방유통업체에 대한 부정적 영향 증대 • 대형유통과 중소유통과의 정보 격차 확대 •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출현 • 아웃소싱 대상물동량 확대(선진국 77%, 한국 10.4%, 2000) • 국제 물동량의 증가세 지속 • 물류인프라 구축이 개별기업의 경쟁력과 직결 • 글로벌화의 진전 • 글로벌 네트워크의 진전 • 글로벌 소싱의 확대 • 국가내 과점화 진전과 월마트의 영향력 확대 유통정보화와 SCM의 진전 • 물류산업구조의 변혁 • 각종 물류사업의 통합화 추세 • 새로운 사업구조의 물류업체 증가 • 외국기업의 국내 물류시장 진출 확대 • RFID, SCI등 신유통정보화 기술 등장 • 대형유통업체의 정보화 투자 확대 • 전자 카다로그 및 POS 보급율 확대 III-5. 국내외 여건의 변화

  18. III-6. 유통 산업의 성장 전망 • 유통산업의 실질규모(‘95년 기준)는 2001년 48.0조에서 연평균 7.8% 성장하여 2010년 94.4조로 약 2배 증가 •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9.7%에서 점차 증가하여 2010년에는 11.3%를 기록할 전망 • 그러나, 선진국에 비해 對GDP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 •미국 : 15.7%(‘97년), 일본 14%(’01년), 프랑스 15.0(‘96년), 이태리16.1(’90년) <표 1> 유통산업과 부가가치 생산 (1995 불변가격) 단위 : 십억원, %

  19. III-6. 유통 산업의 성장 전망 • 한국경제의 신성장엔진으로서의 유통산업 •2010년까지 유통산업의 연평균 성장률(7.8%)은 제조업(6.1%), 전기․가스 및 광업(7.0%)에 비해 매우 높음 • 유통업은 타산업에 비해 고용유발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 <표 > 2002-2010기간 연평균 성장률 (%)

  20. III-7. 유통업계 전망 • TV 홈쇼핑, 인터넷쇼핑몰 및 다단계판매 등의 무점포판매의 성장세 지속 • 대형할인점의 계속적인 다 점포화의 출점 • 대도시의 점포 과포화상태로 지방에의 출점을 위한 입지 선점 경쟁 • 중소유통업과 기업형인 편의점 및 대형슈퍼마켓(SSM)의 소규모상권에서 치열한 경쟁 심화 • 도심지에서의 대형상가형태의 쇼핑센터 개발 및 확충에 의한 판매면적 증대 • 재래시장 등의 침체 지속과 시장재건축·재개발 및 환경개선 활발 • 중소유통업은 상업협동조합의 결성을 통해 조직화와 협업화 강화 • 제조업체의 유통지배력 약화 가속 • 아파트 근린 상가와 지하상가의 상권 위축

  21. III-7. 유통 산업의 전망 <중소유통의 발전모습> • 조직화와 협업화의 강화 : 도매공동물류센터 30개 이상으로 확충 • 재래시장과 상점가의 환경개선으로 새로운 유통시설로 변신 • 중소유통업의 동네상권 지키기 가능 • 개별점포의 디지털유통점포로의 변신 : 정부의 유통점포 디지털화 지원 확대 • 제조업 및 우리 농산물(농협)과의 협력체제 강화 • 상인 의식 개혁 지속 : 직업만족도 증가 • 유통벤처의 확대로 중소유통에 대한 창업 활발 • 도시의 중심 및 부도심 등의 상업기능 재정비 재래시장과 상점가의 활성화를 통한 매력있는 중소유통집적시설 구축 조직화와 협업화를 통한 자생력 배양

  22. Ⅳ-1. 발전 목표 동북아 유통강국의 실현 소비자 후생증대 고용유지 및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유통산업 생산성 제고 1.유통구조의혁신 2.유통생산성의향상 3.지방유통업의 활성화 4.유통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사회적 과제에의 효율적 대응 5.유통거래시스템의 정비 • 상거래질서 유지 • 소비자보호 강화 • 창업촉진과 프랜차이즈 육성 • 유통 모니터링 및 통계개선 • 업태간 경쟁촉진과 신업태환산 •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촉진 • 도매업의 재활성화 • 협업적 유통시스템 의 구축 • 유통정보화의 확대 • 산업물류의 효율화 • 유통인력의 지식집약화 유도 • 물류네트워크의 구축 • 재래시장의 정비와 활성화 • 상점가의 재정비 • 중소유통과 대형점 의 공존 • 대도시에 복합상권 조성/동북아중심 시장육성 • TMO의 추진 • 지방유통업 지원 조직의 강화 • 해외시장의 진출 촉진 • 새로운 사회과제 에의 효율적 대응 • 고령화사회와 매력 있는 노동 환경의 실현

  23. Ⅳ-2. 지표로 본 목표(1) 2001년 2004년 2008년 거시적 지표 연도 지표 유통산업 부가가치 생산액 48 조 61 조 81 조 9.7 % 10.1 % 11.0 % 유통산업 對GDP 비중 정보화지표 250만명 270만명 310만명 유통산업 고용인구 - 17,000 개 50,000 개 바코드 부착 업체수 - 20% 40% 유통정보 서비스율 POS 시스템 설치 점포 25,129 개 40,000 개 70,000 개 3,000 평이상 100 % 1,000평~3,000평 80 % 300~1,000평 30 %

  24. Ⅳ-2. 지표로 본 목표(2) 2001년 2004년 2008년 연도 글로벌화 지표 지표 세계 100 대 유통기업 - 2 개 5 개 - 2 개 5 개 해외진출 기업 유통효율성 지표 - 40 % 50 % 재고 감소비율 - 30 % 감소 50 % 감소 서비스 실패율 - 15 % 감소 50 % 감소 주문배송시간 중소유통활성화 지표 상점가 환경개선 - 15 개 300 개 공동도매물류센터 - 10 개 40 개 재래시장 환경개선 75 개(2002년) 200 개 400 개

  25. Ⅳ-3.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 ‘동북아 유통강국’이라는 한국 유통산업의 새로운 국제적 위상 달성 ○ 이를 위해 • 국내 유통산업에 영향을 주는 국내외 환경 변화 예측 •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국내 유통산업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한 과제 발굴 • 국내 유통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동력, 즉 Driver와 Enabler를 • 파악 [ 동북아 유통강국을 위한 발전전략의 수립과정]

  26. Ⅳ-3.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 향후 5년간의 주요 환경변화]

  27. Ⅳ-3.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 환경변화에 대응한 시기별 주요추진과제 ]

  28. Ⅳ-3.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발전 동력 즉 Driver 혹은 Enabler로서의 전략적 주제로 크게 세 가지를 지적.- 지방 유통산업의 균형적 발전 - IT 강국으로서의 장점을 활용 - 우수 유통관련 인력의 육성 ○ 지방 유통산업의 균형적 발전을 추구하고 지방중소 유통업의 활성화를 위한 재래시장의 정비와 활성화, 상점가의 재정비, 중소유통과 대형점의 공존, 구시가지 상권 활성화 등을 추진함. 아울러 지방에서도 우수한 유통업체가 창업되고 성장할 수 있도록 창업을 촉진하고 프랜차이즈를 육성하도록 함. ○ IT 강국으로서의 장점을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Mobile Commerce의 활성화와, RFID등의 신기술의 활용 및 확대 그리고 TV홈쇼핑과 전자상거래 등의 해외진출을 촉진하도록 함. ○ 우수 유통관련 인력의 육성을 위해 유통인력의 지식집약화를 유도하고 유통관리사제도를 실무에 적합하도록 개선함. 그밖에 전문교육기관의 설립 및 유통 및 물류 기술의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함.

  29. Ⅳ-3.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 유통산업발전의 중점추진전략] ○생산성 높은 유통업태 성장촉진,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 도매업의 정비 등을 통한 유통구조 의 혁신을 통해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의 핵심시설과 서비스로서 유통산업의 발전을 유도- 21세기의 환경변화에 부응하면서 경쟁 촉진을 강화 - 시장 진입장벽을 완화하고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을 촉진하는 관련법규 및 제도 개선 ○ 유통정보화 확대, 산업물류의 효율화, 유통인력의 지식집약화를 통해 유통 생산성을 향상 - SCM, RFID 등 유통정보기술의 이용을 통해 협업적 유통시스템 구축, 개별점포 등의 유통디지탈화 추진 - 마케팅, 머천다이징, 소비자 보호, 물류아웃소싱 구축 등을 기획, 운영하는 지식집약형 유통인력 양성 ○ 대규모점포와 지방중소유통업의 상생에 의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유통산업 발전 -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적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유통산업 정책 개발하여 지역경제 활성화 - 재래시장 활성화, 구시가지 재개발 추진, 지역단위의 지자체 대형점포와 중소점포간의 협력에 의한 지방 유통산업의 활성화 ○ 글로벌화에 따른 유통산업의 국제화를 촉진하고 환경, 고령인구 등의 사회적 과제 대응 - 국내유통업체의 해외진출 적극 지원과 지원기관 설립, 해외관광객의 국내 상품 면세시스템 개선 - 유통업계의 친환경적이고 친사회적 경영 실현 촉진 유도 ○ 상거래 질서 및 소비자 보호를 강화하여 소비자 후생을 증대 - 다양한 소비자 욕구 충족위해 신업태의 개발과 발전을 유도하고 소비자 보호의 제도적 기반 구축 - 가격표시대상 확대, 자율적 공정거래질서 유지 등으로 유통질서를 확립

  30. Ⅳ-4.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31. Ⅳ-4. 환경변화에 따른 유통산업발전 전략과제

  32. Ⅳ-5. 중점 추진 전략 1) 유통구조의 혁신 업태간 경쟁촉진과 신업태 확산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 촉진 • 규제 완화: 신업태 출현 촉진, 기존 업태의 자유로운 시장 진입 • 불공정한 행위 시정: 공정한 경쟁환경 조성 중소유통업이 대형점과 균형발전을 하여 소비자 편의를 높이고 지역경제가 고르게 성장하도록 중소유통 부문에 대해서 선택과 집중의 원리에 의해 집중적인 지원 • 각 업태의 출점 촉진 - 할인점 및 종합쇼핑몰 등 대형 유통업체의 출점 촉진,- 대형 유통업체의 점포설립 •영업활동과 관련된 불합리한 규제의 획기적 완화 추진 • 유통 신업태의 도입 촉진 - 드럭스토어, 홈센터 등 도입- 팩토리 아울렛, 카테고리 킬러 등 파워센터 조성- 무점포 판매업 성장 지원 • 각종 불합리한 규제 완화, 특히 토지이용규제의 합리적 개선- 건축심의, 교통환경영향평가, 도시계획, 환경, 금융 등 • 무점포판매업의 성장 지원 • 중소유통의 조직화·협업화 지원 • 자금조달비용의 감소 • 매력 있는 개별 점포의 구축 • 소상인 공제제도 도입 • 중소점포 고유품목 확대 검토 (담배, 로또복권 등) • 실수요자 위주 점포공급정책 추진

  33. Ⅳ-5. 중점 추진 전략 1) 유통구조의 혁신 도매업의 재활성화 대형소매점 중심의 계열화된 유통시스템과 도매상 + 독립중소 소매상으로 연합된 유통시스템 간에 경쟁, 도매업의 재활성화를 통해 중소유통업의 구조개선 촉진 • 도매 구조의 혁신과 투자 확대를 통한 강한 유통구조 확립 • 도매업의 소매지원기능의 강화 • 도시외곽입지 도매업종의 단지조성과 이전촉진 • 도심입지 도매업종의 활성화 • 외국인투자 촉진 • 도매업 활성화를 위한 지속적 조사연구

  34. Ⅳ-5. 중점 추진 전략 2) 유통생산성의 향상 협업적 유통시스템 구축 유통정보화의 확대 제조 •유통 •물류기업간 협업적 유통정보화를 구축하여 유통시스템내의 재고자산을 축소하면서 생산과 최종 소비간의 연결 도관을 최적화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해소함 유통정보화 투자에 대한 적극적 인센티브 제공을 통해 대형유통업체와 중소유통업체의 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고, 고객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도모. • SCM의 확산과 투자 확대- SCM 투자에 대한 세제 및 금융지원 확대 - SCM 전시관 구축 - 유통-물류기업간 정보화 컨소시엄 실시 등 • 유통정보 인프라의 확대- 바코드 보급의 확대 • - 2차원 바코드의 보급 확대- 전자 카탈로그의 지속적 확충 - 유통정보화에 대한 투자 인센티브 확대 - 유통정보 표준화기구 설치 • RFID의 도입 확대 • RFID 센터의 설립 추진 • POS 시스템의 확산- POS 보급확산을 위한 인센티브, Net POS 보급 등 • POS 데이터 서비스의 확대- 업종별 PDS 시범사업 추진 • 유통정보 네트워크 구축- 재래시장 및 상점가 등 자체 정보네트워크 구축 유통점포 디지털센터 구축 • 유통정보화 진단과 지도사업 • 무인점포운영시스템 도입

  35. Ⅳ-5. 중점 추진 전략 2) 유통생산성의 향상 산업물류의 효율화 유통인력의 지식집약화 유도 산업물류의 비효율(물류시설의 부족, 소프트 물류 인프라의 취약성, 물류산업의 후진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종합적 체계적 지원 • 유통산업의 인적자본 확충을 통한 유통생산성 향상 • 기업의 수요와 변화에 대응하는 유통전문 인력 양성 • 중소상인에 대한 교육 훈련 확대 • 중소상인 의식개혁- 소매창업정신, 중소상인 교육연수, 상인 자긍심 등 • 유통교육 전문기관의 지원과 유통정보네트워크 구축- 유통전문대학원의 설립, 유통업체 연수원 및 유통 연수기관의 네트워크화, 산학연 네트워크 구성 등 • 종합소매업 등록 시 교육이수 우대 • 유통관리사의 내실화 • 중소유통점포 홈탁터제도의 도입 • 유통분야 e-learning 시스템 구축 추진 • 산업물류 혁신기반 요소의 지속적 확충- 물류설비 표준인증제도 도입, 물류정보화 기반기술 보급 촉진, 지능형 종합물류시스템 개발 등 • 지역혁신 차원에서 지역별 물류체계의 특성화 발전- 10대 도시권 배송권역별 중소기업 공동집배송센터 조성, 물류공동화 시범사업의 지속 확대 등 • 종합 물류업 육성을 통한 물류산업의 구조 고도화- 종합물류업 기준정립 및 금융·세제 지원 확대 등 • 동북아 물류 중심화 전략의 실현을 위한 물류기반 강화- 외국 선진물류기업의 국내 투자 촉진 등 • 남북교역 증대를 위한 공동집배송센타의 설치

  36. Ⅳ-5. 중점 추진 전략 2) 유통생산성의 향상 물류네트워크의 구축 • 공동구매와 공동배송시스템 구축을 통해 물류비용 감소와 구매단가 인하 달성 • 소비자의 다품종 소량구매에 대한 선호에 대응 • 공동도매물류센터의 지역별 구축- 지역별 공동도매물류센타 시범사업의 지속적 확대 - 지역별 업태별 통합콜센타 구축과의 연계 - 소기업 네트워크사업과 연계하여 추진 • 공동배송시스템의 구축- 농산물의 1차 상품의 공동배송시스템 구축 - 동네 상권 지키기와 우리 농산물 판매 강화의 전략 차원에서 추진 - 생산-유통-물류의 제판배 제휴의 모델로 시범사업 추진 • 도심 내 소규모 배송센터의 구축 • 공동도매물류센타와 중소점포의 디지털화의 통합

  37. Ⅳ-5. 중점 추진 전략 3) 지방유통업의 활성화 재래시장의 정비와 활성화 상점가의 재정비 • 지방유통업의 핵심유통 시설인 재래시장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역경제의 발전을 도모 • 재래시장을 한국 고유의 서민생활과 밀착된 유통모델로 탈바꿈해 자생력을 갖춘 시장으로 구조개선. • 상점가 환경개선을 통한 지방유통과 도시경제의 활성화 촉진 • 쾌적성과 편의성 측면에서 재정비 • 재래시장 시설현대화 확대 지속- 생활밀착형 종합쇼핑몰, 고객편의시설 확충 등 • 재래시장 평가시스템의 도입 • 재래시장 마케팅 향상- 시장 브랜드·로고·캐릭터 개발, 지자체별 통합 콜센터 구축, 다양한 마케팅 프로그램 구축 등 • 재래시장 경영현대화- 시장경영지원센터 확대, 지역특화시장으로 육성 등 • 재래시장과 지역전통문화와의 연계 • 상점가 환경개선사업의 추진- 상점가 시설현대화, 도심미관 정비 등 • 걷고 싶은 거리의 조성사업 추진- 도심형에 부합되는 업종의 특화 및 테마형 거리 조성,- 도심 거리조성 시범사업, 쾌적한 보행동선 등 • 노점상의 제도권 편입- 키오스크(kiosk) 형태를 기본적으로 지향하면서 사업자등록을 유도, 특정시간과 특정일 영업허가 권고 • 상점가 활성화 마케팅 프로그램의 구축

  38. Ⅳ-5. 중점 추진 전략 3) 지방유통업의 활성화 중소유통과 대형점의 공존 대도시에 복합상권 조성 • 대형유통업의 지방진출이 지방 유통업체 및 생산자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도록 지원. • 중소유통과 대형점의 공존을 통해 소비자 편의 제공, 지방경제의 활력 제고 동북아 경제중심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유통산업의 역할로서 각 도시의 복합상권을 동북아 핵심상권으로서 육성. • 동북아 중심 상권지의 육성- 유통클러스터 계획 마련과 추진 등 • 복합문화상권 조성 확대- 전통문화와 관광산업 등과의 연계를 통해 복합된 문화상권 조성 • 글로벌 시티에 부합되는 대형쇼핑센타 건설 • 동대문시장 ·남대문시장을 동북아 핵심시장으로 육성 • 국내 유통시설의 해외고객 유치능력 확대 • 지자체, 대형점포, 중소점포로 상생 공존시스템 구축 • 대형유통업체와 지역중소상인과의 협력모델 마련 • 유통분쟁조정위원회의 운영 활성화 • 대형점, 지자체, 지역중소상인들에 의한 지역축제 추진

  39. Ⅳ-5. 중점 추진 전략 3) 지방유통업의 활성화 구시가지 상권활성화 추진 지방유통업 지원조직의 강화 도시지역경제의 진흥을 위해 중심지를 활성화하는 지역경제 진흥사업으로서 시가지 정비와 유통 활성화를 추진. 지역경제에서 유통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나, 도시경제에서 차지하는 유통산업의 위치를 감안하여 지방자치단체에서 유통업을 지원하는 조직을 강화함. • 추진 주체의 결정- 산학관의 상호 협조- 법적, 제도적 기반 구축- 영국(TCM), 미국(BID), 일본(TMO) • 하드웨어 지원- 상점가 및 상업집적시설에 대한 환경정비사업·시설 정비사업, 고객편의시설·Community시설 정비 지원 등 • 소프트웨어 지원 : 중심시가지 실태조사 및 보급 개발 사업, Town Manager 양성 및 파견 사업, TMO 진단·평가, 조사연구사업, 테넌트 믹스 지원사업, 재래시장 및 상점가 매니지먼트 지원사업, 재래시장 및 상점가 마케팅 지원 사업, 재래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도사업 등 • 소매지원센터구축과 통합 : 조사, 연수, 정보제공, 상담 • 지방유통업활성화 기획단 설치(한시) : 산학관 협력을 통해 지방유통업의 기본계획 수립과 연구 조사 • 소비자정보 관리센터 설립- 판매정보의 공유, 신용정보 관리 대행, 지역특산품 판매 지원 • 지방공무원의 역량 강화- 지자체 공무원 인센티브, 지자체 공무원 연수 강화 - 유통에 대한 지자체의 차별적 지원에 의한 경쟁유도

  40. Ⅳ-5. 중점 추진 전략 4) 유통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사회적 과제에의 효율적 대응 해외시장의 진출 촉진 새로운 사회과제에의 대응 국내 유통사업자의 공동해외진출 유도와 다른 상품의 해외진출개척과 같이 초기학습비용을 정부가 일정부분 지원. 소비자 건강, 생활환경 및 생태계 보존, 적정에너지의 공급 및 효율 확보 등 사회적 도입 압력에 대한 대응 • 상품수출과 연계한 해외진출 추진- 상품해외시장개척과 같은 수준 지원, 시장개척자금 의 보조 • 국제유통지원센터 설립- 해외정보수집·제공, 애로 해결기능, 협의체 구성(한중유통물류정책협의회, 진출지원협의회) • WTO 유통부문 협상에 적극 대응- 중국의 WTO 가입에 따른 중국유통시장 진출전략수립 • 외국인투자 유치활동(Invest Korea)의 지속적 전개 • 중소유통을 위한 글로벌 소싱의 지원 • 소음, 공해와 같은 환경과제에 대한 효율적 대응 • 유전자변형식품과 같은 식품안전에 대한 대응 • 폐기물관리의 엄격한 요구에 대한 대응 • 제조물 책임에 대한 대응 • 지역사회의 사회적 기여 요구에 대한 대응 • 지역사회 지원에 대한 세제지원 검토 • 친환경을 고려한 점포시설의 구축

  41. Ⅳ-5. 중점 추진 전략 4) 유통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사회적 과제에의 효율적 대응 고령화사회와 매력 있는 노동환경 • 고령화사회가 급진전되면서 고령자에 대한 상품배송시스템, 상품의 표시 규격 검토, 점포의 적정 입지를 위한 유통시설 재정비 등 과제 출현 • 유통업을 보다 매력 있는 노동환경으로 구축 • 고령자를 위한 쇼핑편의 증진- 동네 쇼핑 편의시스템 확충 - 상품 배송시스템 구축 - 점포 시설의 개선 - 상품 표시 등의 개선 • 실버계층을 위한 점포시설의 개선 • 매력 있는 노동환경 실현 • -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보험 가입 • - 즐거운 일터 프로그램 마련 등

  42. Ⅳ-5. 중점 추진 전략 5) 유통거래시스템의 정비 소비자 보호의 강화 상거래질서 유지 취급상품의 안정성을 제고하고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에 대한 편익을 제고하면서 전자상거래와 특수거래등에서의 소비자 피해 구제와 유통질서 확립 상거래 질서를 확립함으로써 유통시스템 내에서 공정경쟁이 촉진되고 불공정거래 행위가 제한되도록 유도 • 가격표시 실시대상 확대- 단위가격표시 점포와 품목 확대- 권장 소비자가격 표시금지 대상자·품목 확대 등 • 대형유통업체의 과도한 경품제공 제한 • 허위광고·표시 및 미끼상품 염매행위 제한 • 제조업체들의 불공정 거래행위 금지- 시장우월적 지위의 남용 제한, 독점업체의 끼워팔기 등 제한 • 무자료 상품 지속적 근절 • 유통업의 지역독점 폐해 방지 • 자율준수프로그램 도입 등 유통업체의 투명,공정,윤리 경영 • 취급상품의 안정성과 유통기한의 철저한 확인- 담당자 교육 강화 • - 상품 마스파 파일에서 집중 관리 • 전자상거래 및 특수거래에서의 소비자 보호 강화 • 일부 1차 생식품의 생산-유통경로 추적시스템의 의무화 • 제품 정보 제공의 확대- 중요제품 정보 공개 운영- 가격표시에 대해 시장과 상가 등에 집중 이행 점검- 공산품 원산지 표시 질서 확립- 노인소비자 보호를 위한 제품 표시 지침 확립 • 농수축산물의 RFID 도입 추진

  43. Ⅳ-5. 중점 추진 전략 5) 유통거래시스템의 정비 창업촉진과 프랜차이즈 육성 유통모니터링 및 통계 개선 • 진입장벽이 낮은 소매업의 고용창출 증대 • 구조조정의 결과로 조기 퇴직이 일반화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창업시장의 활성화 유도 유통업 현실에 대한 변화를 파악하고, 환경변수와 유통업 내부변수의 영향을 추적함으로써 유통의 애로사항과 과제를 처치함. • 공점포 개선과 유통벤처 육성- 공점포 창업에 대한 일부 지원, 챌린지샵 육성 등 • 신규 시장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을 구현하는 효과가 큰 사업의 창업 지원 • 프랜차이즈 산업의 육성- 향토산업의 프랜차이즈시스템 보급을 위한 시범 사업 추진 - 경영가이드 제작 •보급, 전국순회 설명회 개최 등- 우수 프랜차이즈 인증제도 도입 • 중소유통 모니터링 제도의 도입- 중소유통실사지수, 경쟁력지수 개발 등 • 재래시장, 체인점포, 수퍼 등 중소유통업에 대한 정기적 실태조사 - 지역별·업종별·상권별 • 유통통계의 개선- 유통시설에 대한 세세분류 정의- 상권별, 입지별 통계조사- 지역별로 “지역유통조사위원회” 운영- 시계열 분석이 가능하도록 정기적·반복적 진행

  44. Ⅴ-1. 국내 유통 현황 <유통업태별 매출액 추이>

  45. Ⅴ-2. 유통정책의 평가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 신업태의 촉진을 통한 유통생산성의 증대와 같은 사업내용이 목표와 일치 • 중소유통업체들의 집적시설인 재래시장의 활성화라는 목표가 지원대상과 일치 • 유통정보화 촉진과 산업물류 개선은 지원의 수요에 대단히 부합함 • 재래시장과 같이 사업에서 국가의 보조와 융자를 적절히 배합하였음 ․ 지원규모가 유통산업의 규모에 비해 대단히 적음 정책의 적합성 • 중소상인의 교육에 대한 지원, 중소실태조사를 통한 명확한 과제 도출과 해결방안 마련 등에서 보듯이 정책의 투입요소는 적정 • 개방 이후(1996년~2001년) 대형할인점이 연평균 11.2%로 성장으로 국민경제기여도 큼 • ‘유통산업발전법’의 전면 개정, ‘중소기업의구조 개선과재래시장활성화를위한특별조치법’의 제정에서 보듯이 집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시장경영지원센터의 설치 이외에는 수요자가 정책지원의 접근 편의는 부족 ․ 유통통계의 정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효율적인 정책 추진 어려움 상존 정책의 효율성

  46. Ⅴ-2.유통정책의 평가 긍정적 평가 부정적 평가 • 신업태 촉진을 통한 경쟁촉진으로 신업태의 급성장 • 할인점의 가격하락과 경쟁업체의 가격인하로 소비자 물가 하락 효과 :  1996년~1999년  마이너스 1.79%포인트 • 이미 100여개 이상의 재래시장이 환경개선자금을 통해 현대화된 시장으로 변신 ․ 중소상인에게 정부 지원이라는 타성을 줄 수도 있음 ․ 대형할인점의 출점시, 지자체의 비협조와 행정절차상의 어려움 등 정책의 효과성 ․ 지원 방향에서 국제화는 높은 우선순위로서는 부적절 • 재래시장의 지원에서 보듯이 지원의 우선순위가 적절 • SCM의 확산 같이 지원 방향도 올바르고 적기. 정책의 시의성

  47. Ⅴ-3. 관련부처의 유통시책 유통구조의 혁신 유통생산성의 향상 부처 • 유통시설의 활성화: 시설보완과 기능활성화 • 농협유통센터간 경영통합 및 산지와 SCM구축 • 농업관측과 출하지원시스템 강화 • 파렛트 출하촉진 등을 통한 물류효율화 추진 • ; 02년 5% -> 07년 50% • 농산물 물류 표준화와 규격출하 등 물류효율 화 지속 지원 • 전자상거래 지원 강화 • 산지유통분야: 산지유통시설 평가와 지원시설의 통합지원 • 도매시장의 혁신: 도매시설의 시설 보완과 농수산물유통센터의 확대 • 산지유통조직의 혁신: 공동마케팅의 조직화 • 직거래 확산 농림부 유통 정책과 • 전국 5댁 권역에 내륙화물 기지 건설: 중부권과 영남권 사업시행자 모집(’04) • 유통단지의 지정과 개발 유통단지의 공급목표-> (’06) 1,215 만 ㎡ (’11) 1,749 만 ㎡ • 종합물류정보망 지속 확충 • 물류시설, 장비의 표준화 추진 • 미래형 물류기술의 개발 • 공동창고지 확대 지원 • 물류전문업체 육성 검토 • 포장/하역/보관 사업의 경쟁력 강화 건교부 물류 기획과 • 직거래 등 신유통분야 육성 수협직거래: 12%(’00) -> 20%(’04) • 유통시설의 규모 확대 - 부산(도매시장 건설과 가공단지 조성) - 광주(제 2 도매시장 건설) 해양 수산부 유통 가공과 • 수산물 정보 시스템의 구축

  48. 유통거래시스템의 정비 부처 Ⅴ-3. 관련부처의 유통시책 지방중소유통업의 활성화 유통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사회적과제에의 효율적 대응 • 농산물 수출기반 확충과 해외시장 개척 지원강화 • 식품안정성 제고: GMO 표시제 확대와 농산물 안정성 검사 • 품질인증: 생산 이력제 • 지리적 표시: 지역브랜드화 • 소비자 참여 정책유도: 리콜제, 농협시범운영 농림부 유통 정책과 • 산지유통 활성화에 지자체 참여 확대 • 국제 물류기업의 유치: 관세자유지역 등의 이용 • 대규모 물류시설에 대한 외국인 투자지역 지정 • 우수 화물운송사업자의 인증제도 도입 • 표준 약관 제정 건교부 물류 기획과 --- 해양 수산부 유통 가공과 • 5개지역(동해북부,동해남부,경남, 서남,서해) 에 지자체와 협의하여 대형 유통시설 건설 • 인천,여수,통영 등은 도매기능과 Seafood Market으로 연계 육성 --- ---

  49. Ⅴ-3. 관련부처의 유통시책 유통구조의 혁신 유통생산성의 향상 부처 • 출판물 종합유통센터 건립: 2004년 완료, 454억원(보조) • 전국서점 및 출판사에 대한 유통개선: 전국서점의 Network화와 온라인 전자 상거래화 • 전자출판 유통기반 구축: 2004~2007년(260억원 보조) • 출판유통 현대화를 위한 Software 및 단말기지원(’04~’07, 100억원) 문광부 출판 신문과 보건복지부 약무식품 정책과 --- --- 공정 거래 위원회 --- ---

  50. 유통거래시스템의 정비 부처 Ⅴ-3. 관련부처의 유통시책 지방중소유통업의 활성화 유통의 글로벌화와 새로운 사회적과제에의 효율적 대응 문광부 출판 신문과 • 불법복제 출판물 단속 강화: (’03~’07, 23.1억원) --- --- 보건복지부 약무식품 정책과 • 의약분업의 안정적 정착: 의약분업의 전략적 총보 실시 • 담합 등 불법행위 단속 강화 --- --- • 가맹사업거래 분쟁조정위 활동강화 • 특수거래에 대한 불공정행위 단속: 소비자 피해 예방장치 강화 • 대형유통업체의 중소입점, 납품업체에 대한 횡포 방지: 불공정거래행위(대규모소매점업 고시) • 소비자가 신뢰하는 전자 상거래 환경 구축 • 소비자 주권의 실현을 통한 실질적 권익보호: 허위, 과장광고시 • 경쟁정책과 소비자 정책의 연계강화 공정 거래 위원회 --- ---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