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

연수기간 : 2008. 9. 17. ~ 2009. 3. 20. 연수국가 : 유 럽 ( 프랑스 , 독일 , 네덜란드 등 )

2009. 4. 1. 유럽 연수보고서. 연수기간 : 2008. 9. 17. ~ 2009. 3. 20. 연수국가 : 유 럽 ( 프랑스 , 독일 , 네덜란드 등 ) 분 야 : 수출 · 도입품목 , 농업정책 , 농식품 현황 보 고 자 : 화순군농업기술센터 배 상 국. 주요 방문지 및 내용. Ⅰ. 도입과제. Ⅳ. 국가별 접근 방향. Ⅲ. 수출 · 도입 가능품목. Ⅱ. 보고순서. HORTI FAIR 2008. Ⅰ . 주요 방문지 및 내용.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연수기간 : 2008. 9. 17. ~ 2009. 3. 20. 연수국가 : 유 럽 ( 프랑스 , 독일 , 네덜란드 등 )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2009. 4. 1. 유럽 연수보고서 • 연수기간 : 2008. 9. 17. ~ 2009. 3. 20. • 연수국가 : 유 럽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 • 분 야 : 수출·도입품목, 농업정책, 농식품 현황 • 보고자 : 화순군농업기술센터 배 상 국

  2. 주요 방문지 및 내용 Ⅰ 도입과제 Ⅳ 국가별 접근 방향 Ⅲ 수출·도입 가능품목 Ⅱ 보고순서

  3. HORTI FAIR 2008 Ⅰ.주요 방문지 및 내용 기 간: 2008. 10. 14. ~ 10. 17. 장 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RAI 개최규모 : 1,005개 업체 (49,837명 참관) 국내참여 업체: 13개 업체 내 용 - 세계 최신 원예 관련장비 전시 - 미래 화훼산업 이해 도입과제: 우리군 시설농가 현지 견학 통한 세계화 마인드 함양 3

  4. HORECAVA Ⅰ.주요 방문지 및 내용 기 간: 2009. 1. 12. ~ 1. 15. 장 소: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RAI 개최규모: 380개 업체 (54,738명 참관) 내 용 - 호텔 및 케이터링 서비스 전반 - 유럽 고급 음식문화 이해

  5. GREEN WEEK BERLIN Ⅰ.주요 방문지 및 내용 기 간: 2009. 1. 16. ~ 1. 25. 장 소: 독일 베를린 Messe Berlin 개최규모: 1,542개 업체 (466,129명 참관) 국내참여 업체: 1개 업체 (몽고간장) 내 용 - 식품, 원예, 농업분야 국제적인 전시회 - Bio Market 유기제품 섹션, 1차산물을 원재료로 하는 가공식품류 전반 적 용 : 우리군 인삼가공품 홍보 및 전시 5

  6. SIRHA 2009 Ⅰ.주요 방문지 및 내용 기 간: 2009. 1. 20. ~ 1. 24. 장 소: 프랑스 리옹 EURXPO 개최규모: 2,000개 업체 (170,000명 참관) 국내참여 업체: 대상㈜, 제네시스 BBQ㈜, CJ㈜ 신안메이드, 샘표식품㈜ 내 용 - 식품, 음료, 제빵제과, 호텔설비, 테이블웨어 - 세계요리경연대회, 제과경영대회, 제빵경연대회 - 한국 음식의 세계화 첫 디딤돌

  7. 인 삼 Ⅱ.수출 가능 품목 • 현 황: 유럽 내 인삼에 대한 관심도·판매율 증가 • -독 일 : 인삼 + 약초 ⇒ 4만 5천톤 (수출입 규모 세계 4위) • -뿌리보다 가공제품이 주류 • -독일 시장점유율 : 중국 90%, 한국 3.7% • 진출 과제 • - 우리군 인삼재배면적 확대(현재 5ha) • - 유통회사 및 연구기관을 통한 다양한 가공품 개발 • -독 일 : 홍보 (영·독일어 홈페이지 구축) • -스웨덴 : 인삼효능에 대한 객관적 Data 구축

  8. 인삼 수출가능 사례 Ⅱ.수출 가능 품목 • 업 체: Du××× (바로셀로나) • 취급항목: 건강기능식품, 동양의학 (서적) • 현 황: 스페인 전역 판매망 구축 • 시사점 • - 화순군 산양삼, 한약초, 가공식품 유럽 수출 가능성 • - 초기 수출 가능규모 : 3억 ~ 5억원 8

  9. 화순인삼 세계화 단계 1단계 2단계 • - 규모화, GAP, 생산이력제 • - 과학적, 객관적 Data 구축 • - 다양한 가공상품 출시 • - 화순인삼 홍보 : 외국어 홈페이지, 홍보책자 제작 • - 해외시장 개척 : 국제 박람회 참석 • - 10대 한약초 동일 접근 → 세계 한방산업의 메카 Ⅱ.수출 가능 품목 9

  10. 고 추 Ⅱ.수출 가능 품목 현 황: 유럽 내 마트에서 홍고추 형태로 고가에 유통 • 가 격 • - 네덜란드 Albert Heijn : 1€(1,850원)/1봉(2개) • - 스위스 Coop : 1.75€(3,240원)/100g • - 네덜란드 한국마트 : 1.13€(2,090원)/104g • 접근방향 • - 우리군 시설재배 면적 2위 • - 고부가가치 작물로 항공운송 통한 수출 10

  11. 단 호 박 Ⅱ.수출 가능 품목 현 황: 유럽 내 일본인, 한국교민 대상 판매 가 격: 2.90€(5,481원)/1kg • 당진군 해나루 농특산물 • - 2007 : 63만 5000$ • - 2008 : 1,171만 2000$ (1,840% 성장) • 접근방향 • - 단호박 연구회 조직화, 규모화 → 일본수출 → 유럽수출

  12. 버 섯 Ⅱ.수출 가능 품목 • 현 황: 국내 가격보다 10배 이상 높은 고부가가치 품목 • 가 격: '07. 1~10月 : 589만$ ⇒'08. 1~10月 : 1,578만$ • 해외 바이어 공동 대응 방안 • - 화순군버섯연합회 ⇒ 버섯류 수출협의회 • - 공동마케팅·홍보·브랜드를 통한 효율적 시장공략 • 과 제 : 재배면적 확대(3.5ha ⇒ 5ha이상)

  13. 벨지움 엔다이브 Ⅱ.도입 가능 품목 • 현 황: 유럽에서 인기있는 샐러드용 채소 • 이용부분: 잎 (15 ~ 20cm) • 가 격: 2.5€ (4,625원)/500g • 접근방향: 초기 국내시장 진출 후 일본시장 진입 13

  14. 루꼴라 <로켓> Ⅱ.도입 가능 품목 • 현 황: 샐러드, 샌드위치, 피자토핑 재료에 널리 이용 • 이용부분: 잎 (15㎝) • 식 미: 무 잎 + 깻잎 맛 • 접근방향 • - 국내 생산이 극히 미비 • - 군 도입 시 국내시장 선점 14

  15. 차 요 태 Ⅱ.도입 가능 품목 • 구 분: 박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식물 • 이용부분: 과일, 줄기, 잎, 뿌리 • 가 격: 2.5€(4,625원)/1kg(3개) • 접근방향 • - 지구 온난화 대체작물 • - 국내 시장 선점

  16. Ⅲ.국가별 접근 방향 • 네덜란드: 유통, 물류, 시설원예, 화훼, 네트워크 <FoodValley> • 독 일: 유기농업, Bio산업, 한방산업시장 • 프랑스: 음식, 주류, 식품박람회 <세계화 가능성 test>, 농촌관광 • 북유럽: 높은 GDP, 고급 소비시장 개척 • 러시아 • - 높은 수입증가율, 고급소비시장화 • - Korea Premium • - 파프리카, 토마토, 딸기, 과일류, 화훼류

  17. 내부적 접근 2. 3. 4. 1. • 국제적인 품질 경쟁력 제고 • 지속 가능한 공급체계 구축 • 수출 가능한다양한 가공품 개발 • 품목별 계열화, 규모화, 조직화 Ⅳ.도 입 과 제 17

  18. 새로운 시장 개척 • 국제박람회 참석 ⇒ 다양한 바이어와의 계약체결 • 해외 유관기관을 통한 시장개척 외부적 접근 2. 3. 1. • 새로운 틈새작목 도입 • 해외 시장조사 ⇒ 신품목 도입 ⇒국내 헤게모니 장악 • 지속적인 해외 벤치마킹 Ⅳ.도 입 과 제 18

  19. 감사합니다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