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51

건설 Value Engineering

건설 Value Engineering. 2 0 1 1.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현 창 택 ( 공학박사 , 기술사 , AVS, CVP). 목 차. VE 의 일반적 개념 - 정의 , 발전과정 및 국내외 동향. 2. 건설 VE - 건설프로세스와 VE, 실시시기와 효과 , VE 사고방식. 3. VE 추진절차 - 준비단계 , 분석단계 , 실행단계 4. 마무리 - CM 과 VE, 기대효과 , Q & A. VE 의 정의.

harmo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건설 Value Engineering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건설Value Engineering 2 0 1 1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현 창 택(공학박사, 기술사, AVS, CVP)

  2. 목 차 • VE의 일반적 개념 • - 정의, 발전과정 및 국내외 동향 2. 건설 VE - 건설프로세스와 VE, 실시시기와 효과, VE사고방식 3. VE 추진절차 -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 4. 마무리 - CM과 VE, 기대효과, Q & A

  3. VE의 정의 “ 최저의 생애 주기비용 (Life Cycle Cost ; LCC)으로 필요한 기능을 확실히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이나 서비스의 기능분석에 쏟는 조직적인 노력 ”

  4. 가치의 척도 기능( F ) 가치(V) = 비용( C ) • 가치(Value) : 사용자가 원하는 품질을 유지하면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할 • 수 있는 최적비용효과(the most cost-effective) • 기능(Function) : 설계/부품(Design/Item)이 수행하여야만 하는 • 특정역할 • 비용(Cost) : 제품 또는 프로젝트의 생애주기 비용(LCC)

  5. 기능과 비용의 상관관계

  6. Value Engineering is • Life Cycle Oriented • User Oriented • Function Oriented • Multidisciplined Team Approach • Proven Management Technique • - Larry W. Zimmerman + C.T. Hyun

  7. Value Engineering is NOT • Design review • A Cheapening Process • A Requirement Done on All Designs • Quality Control • - Larry W. Zimmerman

  8. 격 이윤 절 감 Individual Efforts 경비 PM 설계자 발주자 사용자 엔지 니어 외주비 노무비 프로젝트 재료비 일반적 원가절감 방식

  9. 팀에 의한 기능중심의 원가절감 방식 (VE)

  10. VE의 실시시기와 효과

  11. V E의 출 현 • 1947년 미국 GE사 도장공장 보수 및 확장 공사 시 • 불연 바닥재인 Asbestos 구입 난관 봉착 • 자재 업체의 질문 ‘석면의 사용 목적이 무엇입니까?’로 부터 • 기능분석, 장애극복(사규개정)등 사고의 전환을 통해 • 대체자재활용 및 전후 물품 부족 현상 타개 • 원가절감 효과 수반 • 당시의 구매과장 L.D.Miles가 이 경험을 정리하여 • Value Analysis로 발전 • 1949년 『가치분석계획(Value Engineering Program)』발표

  12. 석면(Asbestos)사건의 교훈 대책보다 기능을 먼저 생각한다. 목적(기능)추구 최신 정보를 얻지 못하면 경쟁에 뒤진다. 전문가의 지식활용 다양한 대안을 생각해본다. 사고의 전환 관습을 바꾸고 장애를 극복한다. 상식이나 습관에 도전 기능이 같은 다른 대체안을 관철한다. 문제해결/가치향상

  13. 미국의VE 추진경위 1947. Miles에 의해 VA 창안 1954. 미해군 선박국 도입 (VE라 개칭) 1959. 미국 VE 협회(SAVE) 결성 1961. 미육군 공병단에 도입 1962. 미국방성 산하기관 10만달러 이상 공사에 적용 1970. 미 연방정부 조달청 용역계약에 포함 1973. 공인가치 전문가(CVS) 제도 도입 1988. 예산관리청(OMB) 지시로 연방정부기관 VE적용 의무화 1997. 연방도로청 2500만불 이상 프로젝트 VE적용 의무화

  14. 한국의 VE 추진경위 1964. 학문적 성격으로 VE 최초 소개 1967. 제1회 VE 양성코스 개설 (한국능률협회) 1982. 제조업체에 VE컨설팅 최초실시 (한국 공업표준협회) 1984. 건설업 프로젝트에 VE 최초실시 (S건설) 1985. 한국 VE 협의회 설립 1998.「공공건설사업 효율화 종합대책」에 설계VE 도입검토 2000. 설계단계 VE 의무화 (500억원 이상 주요공사) 건설VE연구회 발족 2006. 100억원 이상 건설공사(T/K,민자포함) 설계VE 적용 의무화 한국VE협회 출범, 한국건설VE연구원 창립 및 인가 2007. 제1회 한국VE대회 개최 ’08~. ’08,’09,’10 공공발주청 설계VE경진대회/VE대회 개최

  15. 관 련 법 령 설계 VE : “설계 경제성등 검토 ” • 건설기술관리법 시행령 제38조의 13 (2000.3. 28, 2006.1.1) • -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 실시 의무화 • - 100억원 이상 건설공사의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 • 설계의 경제성등 검토 시행지침(2000.9.1)(2005.12.23) • - 100억원 이상 건설공사의 기본설계, 실시설계(일괄입찰,대안입찰공사 포함) • - 수행자 : 발주자, 설계 감리자 / 외부전문가(외국인도 가능) 1인 이상 포함 • - 대가지급 : 설계감리 대가기준의<별표 2> • - 절차 : 준비단계, 분석단계, 실행단계 15

  16. 관 련 법 령 시공 VE : “기술개발보상제도 ” • 건설기술개발 및 관리등에 관한 운영규정 (2001.5.29, 2006.1.20) • “제3장 기술개발보상” • 국가계약법 시행령 제65조(1999.9.9, 2003.12.1) • - 발주기관의 설계와 동등이상의 기능효과를 가진 기술, 공법, 기자재 • 사용시 절감공사비 70:30배분 • 공사계약 일반조건 제19조의 4(2001.2.10) 16

  17. 일본의 VE 추진경위 1955. 원가절감의 합리적인 기법으로 최초 소개 (생산성본부) 1962. 일본능률협회, 자재 관리협회, 산업능률 단기대학등에 소개 1965. 일본 VE 협회 (SJVE) 설립 1967. 건설 프로젝트에 VE 최초 실시 1968. 제1회VE 전국대회 개최 1997. 건설성 산하 건설공사 설계 VE 도입 명시 (공공공사 비용 절감대책에 관한 행동계획) 2010. 제43회 VE 전국대회 개최

  18. 건설 VE 적용대상

  19. VE의 사고방식 • 고정 관념의 제거 • 우리의 지혜는 무한  창의적 개선안 도출 • 지속적 개선  WINS • LCC 측면의 고려 • 발주자(사용자) 중심의 사고 • 기능중심의 접근 • 조직적 노력

  20. 창조성의 진행과정

  21. 다양한 배경의 팀

  22. 팀조직 활성화요인 • 팀원으로서의 임명 자체가 값진 것이어야 한다. • 선정된 팀원은 필요한 능력의 소유자이어야 한다. • 팀원으로 임명된 것을 스스로 이해하고 동의하여야 한다. • 팀이 대외적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 팀원은 좌절에 대한 극복능력이 있어야 한다. • 팀원은 기대 수준의 업무수행을 하여야 한다. • 팀은 유머감각이 있어야 한다. • 팀의 규모는 한정되어야 한다.

  23. 습관과 태도의 변화 • 습관: “굳어진 버릇이나 평소의 행태”……“자주 반복됨으로써 • 얻어진 행동양식”…“거의 또는 완전히 무의식적인 행동 • 유형” • 태도: “어떤 사실에 관련된 정신 자세” • 변화: “어떤 것에서 다른 것으로 교체 시키는 것”……“다르게 • 만들거나 다르게 되는 것” • - 태도는 습관을 유지시킨다. 오래된 습관은 변화시킬 수 있고, 새로운 습관은 없앨 수 있다. • - 변화는 위험을 수반하므로 거부반응을 일으킨다 • - 좋은 인간관계를 통해 상호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24. 경직된 사고의 오류 • 고층건물 (강철의 수축, 팽창) • 가스라이터 (야간의 주간화) • 기관차 (인간과 동물에 공포) • 자동차 (지나친 방종) • 전화 (목소리 운반 기구) • 고속도로 (차와 타이어 한계)

  25. 건설VE 추진단계

  26. 설계VE 추진단계

  27. 설계 VE • 팀구성 : 당해프로젝트의 계획이나 설계에 참여하지 않았던 다양한 전문가 • 대 상 : 생애주기비용(LCC) 전반 • 자 세 : 설계 오류를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대안 제시(VEP) • 시 행 : 발주자의 승인 후 설계변경(수정) 시공 VE • 팀구성 : 시공자 조직의 전문가로 구성 • 대 상 : 시공계약 범위 한도내에서 선정 • 자 세 : 동등이상의 기능효과를 가진 신기술,신공법적용 제안(VECP) • 시 행 : 심사 후 계약변경, 절감액 배분(70:30)

  28. Key Points • 적용시점 : 설계 의사결정 전 • - 기본설계 1/2 ~ 2/3 • - 실시설계 1/2 ~ 2/3 • 참여자 • - VE전문가 • - 설계전문가, 시공전문가 : 분야별 전문가 • 시공성분석팀, 유지관리성분석팀 운영

  29. Key Points • 주요 개념 • - 고정관념의 제거 • - 발주자 요구, LCC • - 기능분석, 팀 노력 • 정보 / 전문가 활용 - 단계별 정보 수집 - 분야별 전문가 참여

  30. VE 표준절차 • 준비단계: 오리엔테이션, VE팀 구성, 자료수집 • 분석단계: 정보수집단계, 기능분석단계, 아이디어창출(창조)단계, • 평가단계, (중간협의단계), 대안의 구체화(개발)단계, • 제안단계 • 실행단계: 제안서 검토, 승인, 후속조치

  31. 기능분석 절차 및 내용

  32. Customer or Task FAST Diagram

  33. 창조 단계 (Creative Phase) • 개선대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체안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능한 • 많이 창출해내는 단계 • 주요 활동 • - 아이디어의 수량을 늘린다. • - 아이디어를 다양화한다. • - 여러가지 창조기법을 응용한다. • - 비판이나 토론을 금한다. • - 습관, 전통, 부정적 태도, 가정, 특정기능으로부터 탈피한다.

  34. 브레인스토밍 원칙

  35. 평가 단계 (Evaluation Phase) • 창출된 아이디어를 선별, 정리, 평가하여 비용절감이 가능하도록 • 발전시킬 아이디어를 선정하는 단계 • 활 동 • - 불합리한 아이디어 삭제 • - 아이디어 분류, 유사 아이디어 조합, 수정 및 정리 • - 장단점 나열 및 순위 결정 • - 경합되는 안에 대해서는 매트릭스법을 활용 비교 평가 • - 구체화시킬 아이디어 선정

  36. 평가 단계 절차 및 내용

  37. 개발 단계 (Development Phase) • 최선의 대안을 선정하여 관련자료를 구비하고 제안서를 작성하는 단계 • 활 동 • - 가장 우선 순위가 높은 대안부터 초기투자비, 생애주기비용, 시행비용, • 이윤분석 • - 각 대안에 대한 기술자료 검토, 종합 • - 시행 계획 수립 (일정계획, 시행주체, 관리방법 등) • 보고서에 포함할 사항 • - 원 설계 및 건의안에 대한 요약 • - 건의안의 장·단점 및 논리적 근거 • - 도면, 공사비 견적서 및 근거자료

  38. LCC (Life Cycle Cost) • 시설물의 생애주기 (Life Cycle)동안 시설물에 투입되는 비용의 합계 • LCC분석 : 시설물의 경제적 수명 전반에 걸쳐 발생하는 총비용을 • 일정한 시점으로 등가환산한 가치로 경제성을 평가하는 • 방법

  39. LCC 분석절차

  40. LCC 비용항목의 분류

  41. VE활동과 LCC: 설계VE에서 LCC 분석절차

  42. 제안 단계 (Presentation Phase) • 건의 안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동의와 참여를 얻어내기 위한 • 구두보고를 실시하는 단계 • 활 용 • - 개발한 건의안에 대한 설명 • - 발주자, 설계자의 질문, 토의 • - 발주자의 승인 획득, 또는 건의안에 대한 보완 방향 설정

  43. 국가 예산절감일본 정부의 건설공사비 절감 By ToshiakiShishido at [Value World] (2000 Summer) • 1997년 • 공공건설공사의 10% 원가절감 계획 수립 • 1998년 • 약6% 건설비 절감 • VE에 의한 절감: 이중 약1/2 (약 20억$)

  44. 국가 예산절감 미국의 highway and transportation departments (SAVE International) • 1997년 : 연방 보조 도로사업 중 2,500만불 이상 • 프로젝트에 VE의 적용을 의무화 • 2000년 : VE에 의하여 약 $20억 절감 • Return On Investment : $121 / $1

  45. 발주기관 예산절감, 성능향상 국해부 설계VE 효율화방안/설계VE 활성화방안/ 설계VE 내실화방안 건교부 CM 시범사업 대한주택공사,한국도로공사,수자원공사,철도시설공단, 대전청,익산청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등국방부, 지식경제부(정보통신부), 교육과학기술부, 행정안전부서울시, 부산시, 인천시, 광주시등 지자체 SH공사, 경기지방공사, 부산시/인천시도시개발공사 등 민간투자사업: B T L, B T O, B O T 기술제안입찰 : 행정도시 정부청사, 확대 예정 설계시공일괄사업: 설계시, 실시설계 적격 심의시주)○○건설 설계VE, 주)○○산업, ○○건설 시공VE 등

  46. 기술력 향상 • 발상 전환 아이디어 • 계획 보완, 공법 개선, 재료 개선 • Constructability • Maintainability  • 기술개발

  47. CM vs. VE • 건설생산 주요요소의 최적화 • VE==⇒ Q & C 의 최적화 • 건설생산 Life Cycle의 통합 • Constructability ⇒ 설계, 시공 연계 / 통합 • Maintainability ⇒ 설계, 유지관리 연계/통합 • 건설생산 주체의 협조 및 조정 • Partnering==⇒ “Same Boat ! ”

  48. VE활용을 통한 기대 • 비용절감 / 성능향상 • 효율적 건설 • 기술력 향상 • 자기계발 (예: 전문가화) • 지속적 개선: W I N S • Work Improvement Never Stops • 한국 건설산업의 경쟁력 향상

  49. 건설VE & CM 기대효과 VE활용을 통한 기대 • 기술력 향상을 통한 건설기술의 개발 • 비용절감 / 품질향상을 통한 건설 생산성 향상 • 체계적 관리기법 정착을 통한 국내 건설관리기술의 선진화 • 부족한 국가자원의 효율적 사용 • 건설산업 발전 / 국제경쟁력 강화 • Hardware적 건설기술, Software적 건설관리기술 • 생산성 향상 (품질향상, 비용절감) • 자원의 효율적 활용  다른 필요분야에 사용  어려운 이웃들을 위한 자원 투자 • 건설산업 발전과 국제경쟁력 강화  국가 발전에 기여 성공적인 프로젝트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