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4

소아의 고위 질요도 누공 수술에서 후방 시상 접근술 ( Posterior saggital approach) 의 유용성에 대한 보고 -_2 예

연세대학교 의과대한 외과학 교실 ,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송영해 , 홍영주 , 장혜경 , 오정탁 , 류선애 , 한석주. 소아의 고위 질요도 누공 수술에서 후방 시상 접근술 ( Posterior saggital approach) 의 유용성에 대한 보고 -_2 예. Introduction.

Télécharger la présentation

소아의 고위 질요도 누공 수술에서 후방 시상 접근술 ( Posterior saggital approach) 의 유용성에 대한 보고 -_2 예

An Image/Link below is provided (as is) to download presentation Download Policy: Content on the Website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and may not be sold / licensed / shared on other websites without getting consent from its author. Content is provided to you AS IS for your information and personal use only. Download presentation by click this link. While downloading, if for some reason you are not able to download a presentation, the publisher may have deleted the file from their server. During download, if you can't get a presentation, the file might be deleted by the publisher.

E N D

Presentation Transcript


  1. 연세대학교 의과대한 외과학 교실, 세브란스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송영해, 홍영주, 장혜경, 오정탁, 류선애, 한석주 소아의고위 질요도누공 수술에서 후방 시상 접근술(Posterior saggital approach)의 유용성에 대한 보고 -_2예

  2. Introduction • 일반적으로 질과 요도의 누공이 있을 때 질을 통한 접근이 사용되나 소아의 경우 성인에 비한 질의 공간적 제한성으로 누공의 위치가 방광 가까이 고위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질을 통한 접근 방법으로는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 본 연구자는 고위 질요도누공을 가진 소아에서 직장항문기형수술 시 항문직장 성형술을 위한 접근 방법인 후방시상접근술을 시행하여 고위질요도누공의 수술을 소아에서 성공적으로 진행할 수 있었기에 증례를 보고한다.

  3. Case 1 • F/3Y • Birthhistory • IUP 38wks, BW 3.99kg, C-sec • PI: 3세 여아로 특이 과거력 없었으며 자전거 탑튜브에회음부가 걸쳐지는 수상을 입었으며 질-요도-방광 누공으로 소아비뇨기과로 입원하였으며 3차례 방광경을 이용하여 누공 봉합을 시도하였으나 시야확보의 어려움으로 소아외과로 수술의뢰 되었다.

  4. Primary repair of urethrovaginal fistula by Posterosagittal approach (Pena operation)

  5. Progress • POD# 3 Stool passing • POD# 9 SOW • POD#10 SD, foley removal • POD#14 Discharge

  6. Case 2 • F/5Y • Birthhistory • IUP 40wks, 3.6kg, c-sec • PI: 5세 여아로 타병원에서복부내림프관종으로 복강경 림프관종제거술을 시행 받던 중 질-요도-방광 손상을 입어 개복 수술로 전환하여 방광 봉합술 및 요도-질 누공봉합술을시행받았다. 7개월 후 질-요도-방광 1차 봉합한 곳이 새면서 재 개복술을 시행 받았으며 3개월 뒤 재발하여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7. Repair of baldder neck vagina fistula with posterioarsagittal approach

  8. Progress • POD# 5 Stool passing • POD# 7 Foley removal • POD# 9 SOW start • POD#10 SD • POD#14 Discharge

  9. Conclusion • 후방 시상 접근술은 개복술이나 질을 통한 접근방법에 비하여 요도-질-방광 누공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수술시야가 좋아 고위 질요도누공의 수술에서 효과적인 접근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10. Urinary Fistulectomy-Between Urethra And Vagina요루절제술행위코드: M48360, 보험분류번호: 자316차, 보험EDI코드: RB161 • 적응증: 예전에 산부인과에서 anterior repair을 받았거나 아니면 urethral diveriticulum을 받았던 환자에서 배뇨시 vagina 쪽으로 나올경우 • 실시방법: [질식수술]1. 치골상부에 도뇨관을 설치하고 요도 도뇨관을 통한 배뇨도 같이 한다. 2. 변형쇄석위자세을 취한다음 음순을 stay suture을 통해 안쪽 허벅지에 고정시킨다.3. 박리을돕기위해 자가고정견인기로 질을 견인하고 작은 풍선도관을 누공에 설치한다. 만약 도관이 안들어가면Soundation을 통해 넓힌 다음 설치한다.4. 질 절개는 누공의 기저부와 피판을융합시킬수 있게 U자 혹은 J자 모양으로 절개한다.5. 누공 주위의 질점막과perivesicalfasica을 절개한 다음 요루을 노출시킨다.6. 전질벽피판으로질상피와 그 밑의 방광 주위 및 요도 주위근막사이박리면을통해 방광경부 부분까지 들어올린다.7. 요실금 시술을 계획하고 있다면 슬링을 유치하고 봉합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측면박리로 골반 내 근막을 뚫어야 한다.8. 누공은 윤상절개하고경계부는 3-0 또는 4-0흡수성 봉합사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고정흡수 봉합을 실시한다.9. 누공 경계부는봉합선을 적절히 밀착시켜 긴장이 없게 해야한다.10. 누공은 2-0 또는 3-0의polyglycolic봉합사로 봉합한다.11. 봉합선이나질조직의 상태가 만족스럽지 못하면 조직삽입을 고려한다. 확실하게 복구하기 위해 중재조직을 사용할 것을 추천하며, 비흡수성 봉합사로 연속적으로 봉합하여 전방 질피판을 전 봉합선에 밀착시키면 시술이 끝난다.12.적절한 질피판과 중첩되는 봉합선을 피하기 위해서는 질상피를여유있게 제거한다. 13. Lembert술식과 3-0흡수사를 사용하여 두 번째 층과 위를 덮고 있는 요도주위근막을 결합시킨다. 14. 그 다음 방광내에 물을 넣고 질을통해 누공을 재검사함으로써 봉합이 잘되어 있는지 확인한다.15. 질충전(vaginal packing)을 시행하고 치골상부 및 요도도뇨관을 유지시킨다. • 의사업무량: 563.79

More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