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0 likes | 824 Vues
Physical Education. - John Warren 이 처음 사용 (1840 년 ) “ Theoretical Treatise on Physical Education ” 라는 저서에서 사용 - ‘ 교육 ’ 에 중점을 두면서 ‘ 교육’을 강조한 ‘ physical education’ 을 대중적으로 사용 20C 초에 Luther Gulick, Thomas Wood, Clark Hetherington.
E N D
Physical Education - John Warren이 처음 사용(1840년) “Theoretical Treatise on Physical Education”라는 저서에서 사용 - ‘교육’에 중점을 두면서 ‘교육’을 강조한 ‘physical education’을 대중적으로 사용 20C 초에 Luther Gulick, Thomas Wood, Clark Hetherington
Physical Culture, Physica Training(1910년 이전) • Physical Culture, Physical Training 사용 - Hygienic Institute and School of Physical Culture(1800년대) - Doctor of Gymnasium and Assistant Professor of Physical Training (Sargent가 하버드 대학에 발령받은 명칭) - Director of Physical Training for the Boston Public School
Physical Education의 문제점 1. Dualism적 성격을 갖고 있다. - ‘신체의 교육은 운동장이나 체육관으로’ ‘마음의 교육 혹은 지적인 교육은 교실로’ 2. 교육에 종속내지 교사양성의 의미 포함 physical education에서 education 강조 3. 체육지도자의 지적인 면을 무시 - 체육의 학문적 영역이 독립된 학문(academic discipline)으로 발전되었음에도 ‘운동선생’, 혹은 ‘체조선생’으로 호칭
Physical Education의 문제점 해결방법 Physical education의 대체용어 사용 이론중심 체육학 전공과 실기중심으로 분류 kinegiology, movement education. biokinetics(생체역학), ergonomics(인간공학), anthropokinesiology, exercise science, department of sport studies. department of physical activity(Wynn Updike 등이 신체활동을 강조)
Education Of the Physical에서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 20C초 몸은 건강히, 아름답게, 그리고 강건하게 하기 위한 교육실시. - Hitchcock, Sargent, Edward hartwell 등이 healthy body, physical fitness강조, 질병예방을 위해 체육의 역할 강조 • 주입식 체육에서 진보적인 체육으로 변화 - child centered education - ‘new physical educaton’을 주장 인위적인 독일식 체조 및 스웨덴 체조에서 놀이, 게임,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체육 주장.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 Dualism에서 Wholism으로 변화 • 종전의 이원론적 사고에서 인간은 신체적,심리적 및 사회적인 요소가 함께 합쳐진 ‘whole child’라는 개념으로 변화 • Hetherington의 ‘Fundamental Education’ 에서 체육의 4대 목표 설정 - 유기적 발달, 정신운동의 발달, 인격의 발달 및 감정의 발달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 • Ed through the physical movement는 미국교육연합회가 주창한 미국교육의 7대 목표(7 cardinal principle)과 함께 추진. • 체육은 신체활동을 수단으로 민주시민의 일원이 될 자질을 키우는 목적으로 사회에서 환영받음. • 체육이 의학으로부터 탈피하여 교육과 유대관계를 갖게 됨. •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이 1930년 부터 1960년까지 Jay Nash및 Williams에 의해 확고한 기반을 다져 오늘날에 이름.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의 문제점 1. 체력발달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질 수 없다. - Kraus Weber Test - 2. 신체활동을 통한 지적 발달에 의문제기. - John Lawther가 ‘지능발달 및 운동학습과의 상관관계’에서 r은 0에서 0.50으로 평균 0.2에 불과하다고 발표함. 3. 신체활동을 통한 정서적 및 사회적 발달도 의문시 됨.
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의 문제점 • Gerald Kenyon의 신체활동의 참가와 사회적 발달의 상관관계 논문을 검토한 결과 r이 0.5를 초과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고 발표함. • Tom Tutko와 Bruce Ogilvie “운동경기 참가가 인격향상에 전혀 공헌하지 않는다”고 주장. - 체육심리학자 J.P Scott는 “Sport and Agress”에서 운동경기 참가는 오히려 호전적인(aggressive)한 성격을 기르게 한다고 주장.
Academic Discipline으로서의 체육 • 1964년 Berkeley대학의 Henry교수가 체육의 학문성 여부를 처음으로 시도 Journal of Health Physical Education and Recreation에 “Physical Education: An Academic Discipline” - 학교에서 배우는 지식의 총체를 가진 한 개의 독립된 학문분야라고 정의. - academic discipline은 profession과는 달리 지식이 인류의 번영에 도움이 되는 것과 관계없이 그 지식추구 자체가 의미 있는 것이다.
Discipline - reality를 이해- ontology – What is Profession - 인류의 행복증진을 위해 reality를 변경 – axiology – what ought to be Academic discipline은 focus of study가 필요함. 인류학: 인간의 신체적, 사회적 및 문화적 발 달과 행동을 연구. 철 학: 인간과 우주의 본질 및 기능을 연구 사회학: 인간의 사회적 행동과 사회를 연구, 심리학: 정신의 과정과 행동을 연구 체육학: ? Academic Discipline으로서의 체육
Art and Science of Human Movement • 무용가이며 안무가인 Rudolf Laban이 1937년 사용하기 시작,1950년부터 유행. • Eleaner Metheny가 선구적 역할 수행 - “Movement and meaning”에서 – • Human movement: gross muscle activities, large muscle activities. #체육: the art and science of human movement
Art and Science of Human Movement • The art of movement: 체육이나 스포츠에 서의 아름답고 예술적인 모든 움직임. • The science of movement 물리학, 역학, 생리학 등의 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총체적 활동. • Human movement가 focal study가 될때 academic discipline으로서 정당화되고, 대학내에서 학문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Warren Fraleigh의 저서 The Perplex Preofession에서-
Human movement 가 체육학의 연구의 초점(focus of study) 1.Human functioning과 performance와 관련한 human movement: 운동생리학, 운동기능학(biomechanics)및 운동학습 등. 2. 문화 및 사회와 관련한 human movement: 체육사회학, 체육사 등의 연구 3. 미적 경험으로서의 human movement: 인간의 몸이 표현하는 예술적인 움직임 ex) 기계체조, 마루운동, 싱크로나이즈 4.Human movement as a source of human meaning and significance ex) 체육심리학, 체육철학
Human movement 가 체육학의 연구의 초점(focus of study) • Subdiscipline: physiology of exercise, biomechanics, history and philosophy of physical education, sport psychology, sport sociology등으로 세분화.
- human movement는 신체활동을 통한 교육효과에서 신체활동을 포괄적으로 다룸 - Harold등 학자들은 human movement가 체육으로서 광범위하다고 지적하기도 함. -체육이 discipline화 될 때는 human movement 이며 profession이 될 때는 physical education 이다.
스포츠의 어원과 개념 • Slusher(1967): 스포츠에 대한 정의설정 거부, 스포츠는 해석할 수 있는 규정적 용어의 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며,식별 가능한 어떠한 실체도 가지고 있지 않다. • 어원: 중세로마에서 출발하여 deporter 나 desporter로 변해 남성명사 desport가 만들어짐disport (11C영국) sport(16C)
Webster 소일거리 혹은 유희(pastime), 즐거움(amusement), game, 기분전환(diversion), 즐거움(merry-making), 야외레크리에이션(out of door recreation), 욕망 만족(indulge) :스포츠를 유희성, 오락, 재미, 즐거움에 중심 을 두고 즐거움이 함축된 활동으로 봄
Huizinga, McIntosh, Aspin(유럽학자): ‘유희성’에 초점 • Kenyon, Edward, Coakley(미국학자): ‘경쟁성의 개념 추가’
역사적 관점에서의 스포츠(1) 고대에서의 스포츠 의미 • 사냥, 수렵, 자기방어 훈련 • 종교적인 행사: 신과 인간과의 교통 • 복싱, 레슬링(고대오리엔트의 벽화) • 볼링과 비슷한 경기용구 발견 ( 기원전 5200년 이집트 무덤) • 델포이(Delphoe)의 Pythia제, 네미아(Nemea)의 Nemea제, 코린트의 이스트미아(Isthmia)제가 4대 제전으로 열림
올림피아 경기가 열림 - 관중, 선수 모두가 남자 - 경기자는 나체 - 종목: 경주, 레슬링, 5종경기 (단거리, 멀리뛰기, 창던지기, 원반던지기, 레슬링) - 복싱, 전차경주,판트라티온(Pankration) - 이러한 경기는 기원전 3세기 이후 쇠퇴기 #그리이스: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위한 교육으로서의 체육 #스파르타: 군국주의적 성격에 따라 양병수단으로의 체육
(1)고대에서의 스포츠 의미-로마시대의 체육- • Gladiator의 시합과 사자의 싸움 - 콜로세움에서 실시 – • 써커스 막스무스(Circus Maxmus)에서의 전차경주와 경마. • 실업자의 눈을 현실에서 돌리기 위해 경기대회 이용
(2)중세에서의 스포츠 • 배경: 로마멸망 후 경기대회 열리지 않음. 신중심의 사고방식 금욕주의(신체는 죄의 근원) • 토너먼트(tournament) • 기사도 체육 • 폼(Jew de paume): 테니스의 원형 • 술레(Soule): 프랑스의 풋볼
(3)근대에서의 스포츠 • 인간의 신체에 대한 관심 증가 • 영국의 Locke나 독일의 Guts Muths의 ‘청년의 체조’를 거쳐 Jahn의 독일체조 계승. • 1618년: James 1세가 ‘스포츠 선언’ 발표. • 19C말 영국에서 근대스포츠가 성립하여 보급 • 퍼블릭 스쿨의 스포츠에서 럭비와 축구가 탄생 • 야구와 배구가 생겨남.Thomas Arnold • Curbertin에 의해 아테네에서 올림픽 부활
Thomas Arnold의 Public School • 엄격한 훈육주의에서 벗어나 젊은이들의 정열을 쏟을 수 있는 스포츠 활동을 교과과정으로 채택 • 주 3회, 하루의 절반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게 하여 단결, 복종, 규칙준수, 공명정대, 단결 등을 터득케 함. - 승리의 기준이 이기는 것만이 아니라는 정신을 가르킴. • 최선을 다하고 승리보다는 최상의 노력 추구를 강조 하여 패한 후의 패배감이나 허무감, 절망감에 결코 좌절하지 않고 스스로 통제하고 극복함으로써 자기완성을 위하여 노력하는 정신강조 • 영국의 번영과 발전에 기여
3)사회 문화적 관점에서의 스포츠(1)문화적 관점 • 기능이나 기록은 예술이나 학문 등의 업적과 비교될 때 전통적으로 그 가치가 낮게 인식 • 심신이원론에 근거한 신체멸시가 영향 - 신체는 사악한 욕망의 원인 • 신체의 복권과 함께 문화로서의 스포츠가 확립
(1)문화적 관점 • 스포츠는 건강유지와 체력 증진에 도움 • 경기를 통해서 용맹심, 공정성, 팀웍, 절제 등의 인격적 덕목을 형성하는 데 작용. • 스포츠는 신체활동 그 자체로서 기쁨 • 스포츠는 자기만의 고유한 세계를 만들어가는 자기발전의 원동력
(2) 사회적 관점 • ‘심신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하는 신체활동’ • 스포츠의 내용은 그것을 구성하는 기술, 규칙, 매너 등의 행동문화로 구성 - • 사람들은 이러한 스포츠의 행동문화를 내면화 함으로써 그 종목 특유의 스포츠 행동을 터득. • 스포츠의 가치를 인정함으로써 스포츠를 사회적으로 받아드림.
2.철학이란 무엇인가(I) • 대상과 범위가 인간생활 전반에 걸쳐있음. • 근원의 학문 • 로고스(logos)의 학문: 존재 세계의 보편 적 법칙에 대한 과학 • Pythagoras: philob(love:사랑) + sophia (wisdom) “지혜의 사랑(the love of knowledge or wisdom )”
2.철학이란 무엇인가(II) • 웹스터(Randolph Webster) “인간과 우주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사실과 가치들을 찾아서 객관적으로 해석하고 평가하려는 욕망” • 하이데거(Heidegger): 생존(dasein)에 의해 해석학에서 출발하는 보편적인 현상학적 존재 인간의 본질을 연구하는데서 출발하여 존재하는 일반의 문제를 다루는 것으로 봄 • 듀이(J.Dewey): 철학은 과학의 여러 결론을 종합시켜 사회적, 개인적 행위를 만족시키는 역할
▶ 철학의 정의 • 인간은 본성상 앎을 추구한다. - Aristoteles – 불확실하고 혼돈된 것을 탈피하여 確實하고도 明確한 앎을 획득하고자한다. • 인간은 다양한 행위의 영역에서 善을 행하려고 하며 복잡다단한 느낌과판단 속에서 아름다움에 관한 느낌과 판단 그리고 특정한 목적에 관한판단을 소유하고자 한다. ▷앎과 善과 美의 統一은 무엇이라로 할 수 있는가? 그것은 다름아닌 知慧이다. “모든 인간은 본성상 知慧를 추구한다.”
2.철학이란 무엇인가(III) • 토마스(C.E Tomas) 첫째, 철학은 사변적 활동이다. 둘째, 철학은 현상학적 활동이다. 셋째, 규범적이자 가치 평가적이다. 넷째, 철학은 분석적 활동이다.
2.철학이란 무엇인가(IV) • 티터스(Harold Titus) - 인생과 우주에 대한 개인의 주체적이 고 총체적 관점. - 사고의 보편성 및 합리성 추구 - 언어를 분석하고 단어와 개념을 분명히 하는 것 - 철학은 부분을 종합해서 전체로 만드는 시도 - 문제의 제기에 대한 진리의 타당성 제기
▶ 철학의 영역(34p) • (1) 형이상학(metaphisics) - 희랍어 meta(beyond: 초월해서)와 physics (물질)가 복합되어 ‘눈에 보이는 만물 을 초월한다.’ - 만물의 실재는 무엇인가를 다루는 철학의 분야. 겉모양(appearance)과 실재(reality)를 구별하려는 노력. ex1) 어느 달 밝은 밤에 달이 흘러가는 것은 그 주위에 떠 있는 구름을헤치고 나아가는 것이다.
ex2)물 속에 잠겨있는 막대기를 보면 굽어져 있는 것 같이 보이나 실제로는 똑바른 막대 기인 것을 알 수 있다. ex3) 정신적인 활동과 신체적인 활동은 어떤 관계가 있나? ex4)Suits의 게임이란 무엇인가? Slusher의 “스포츠의 성격”등 스포츠의 존재론족 입장에서 다룸.
▶ 철학의 영역(2) 인식론(epistemology) • 그리스어 episteme(지식: knowledge)와 logy(학문: logos)의 복합어로써지식의 근원, 본질 및 방법 등을 연구하는 철학의 한 영역 • 직관력, 추론, 경험 등을 통해 세상의 만물을 알게 된다. ① 경험(experience): 경험을 통해 어떤 사실을 알게 된다. ex1) 여름에 장마가 진다는 사실은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ex2) 스포츠에서 스포츠 경험(sport experience)에 대한 질적인 연구
(2) 인식론(epistemology) ② 합리성(rationality): 논리나 추론을 통하여 어떤 지식을 얻을 수 있다. ex1) 삼각형의 두 변의 합은 한 변보다 길다. ex2) 두 점을 이은 가장 짧은 선은 직선이다. ③ 직관(intuition): 어떤 느낌이나 직관에 의해서도 사실을 깨닫게 된다. ex1) 수사관이 범인을 찾아낸다 ex2) 첫눈에 신부감을 발견한다.
인식론에 대한 이론은 체육학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해결의 방안을 제시 해준다. • 우리가 운동기술을 어떻게 습득하는가?, 어떤 방법으로 배워야 하는가? 등의 문제는 특히 운동학습(motor learing)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갖는다.
(3) 가치론(Axiology) (1) 윤리학(ethics) • 일반적인 가치의 본질을 다루는 학문이다. • 도덕적인 옳은 것(right)과 그른 것(wrong) 혹은 좋은(good)것과 나쁜것(bad), 그리고 도덕적인 것(moral)과 비도덕적인 것(immoral)을 구별하는기준이 무엇인가에 대하여 연구한다. • 우리의 행동이 같은 행동이라 할지라도 처해진 상황에 따라 도덕적일 수도 있고 비 도덕적일 수도 있다.
ex) 사람을 죽이는 것은 마땅히 비도덕적이지만 전쟁에서 아군을 살리기위해서 적군을 죽이는 것도 비 도덕적이라고만 할 수 있는가? ① 펠리(Williamv Paley): 사람의 행동이 신의 의지에 따라 행해진 것이면옳고, 그렇지 않으면 그르다 ② 칸트(Immanual Kant): 의무(duty)나 당위(ought)의 개념으로서의 자기의 선 의지에 따라 행동하라. ③ 밀(John Stuart Mill): 한 사람의 행동이 결과적으로 만인의 행복을 가져다 주었을 땐 옳은 행동이고 그렇지 않으면그른 행동이다(최대다수의 최대행복).
(2)미 학 • 18C 중엽 철학자 바움가르텐(Alexnder G. Baumgarten)에 의해 처음 사용. • 희랍어인 aisthetica(감지할 수 있는 것)의 어원 • 어떤 대상에 대한 미적 판단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여 주는 철학의 한 형태 (Art and Science of Human Movement) Art: 스포츠 현장에서 운동선수들이 보여주는 예술적인 움직임
3.스포츠 철학이란 무엇인가?(13p) • 철학에 대한 관심은 ‘근본으로의 회귀’ • 1963년 James Conant ‘체육 분야는 기능 중심적인 교과로서 학문적인 지식은 다룰 수 없다.’는 주장에 놀라 과학화 추진 철학이 배제된 과학화. • 과학적 지식을 어디에 어떻게 적용시킬것인가?에 초점. • 모학문에의 의존이 지나쳐서 독자적인 연구영역과 방법이 개발되지 못함. • -스포츠의 정체성 상실의 원인제공 • 운동이 갖고 있는 내재적 가치를 음미
2)스포츠 철학의 역할 • 스포츠 철학의 연구 범위는 ‘무엇이냐(what is)’와 ‘왜’(why)가 연구의 핵심 • 존재론(what is): 스포츠를 하고 있는 인간 자체가 마음(mind)으로 되어 있는가, 아니면 몸(body)으로 되어 있는가에 대한 연구 스포츠 윤리(ethics), 스포츠 미학(aesthetics)등을 철학을 통하여 분석하고 그 의미를 천착하는 분야.
가치론(what ought to be) 스포츠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를 연구 •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 등으로 분류할 때에는 이세분야의 연구는 실재(reality), 지식(knowledge), 가치(value)에 대한 탐구
체육과학에서의 철학의 역할(20p)(1)철학은 과학의 방향 제시를 위한 역할을 한다. 지글러(Earl Zegler) - 체육학이 올바른 자기 위치를 찾기 위해서 는 일정한 목적과 방향이 없이 닥치는 데로 연구해서는 안 된다. -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은 체육의 의미(meaning) 를 부여하는 지식이어야 한다. - 중,고등학교의 체육목적에 따른 연구 중심 설정 - 체육철학은 체육과학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 가도록 유도한다.
(2) 철학은 과학을 통해 얻어진 여러 사실 들을 바탕으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 • 승리지상주의에 따른 사회적, 도덕적 판단 - 지나친 체중조절, 진통제 복용 - 어릴때 과도한 훈련으로 인한 성장발달 저해 및 인격형성의 문제점 • 엠피타민(amphetamine)의 부작용, Testestron의 부작용 등의 약물 복용 #.이러한 윤리적 문제는 객관적인 사실을 토대로 해서 주관적인 판단을 요구하는 철학에 의존한다. 비윤리적 행위에 대한 올바른 판단과 이해는체육철학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3) 철학은 과학에서 물건으로 여기는 인간을 아름답게 한다. • 스포츠나 체육은 참가하는 주체가 인간이며 인간에 대한 연구를 강조하기에 자아의식을 가진 인간을 수나 양적인 상태로만 표현할 수 없음. • 스포츠에 참가했을 때 본인이 경험하는 환희, 기쁨, 즐거움을 어떻게 수나 양으로만 해석할 수 있는가? • 체육교육이 지적, 신체적 및 정서적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인간의 가치를 연구하는 철학은 체육교육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